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韓 ․ 中 ․ 日 近世時期 度量衡制 比較 硏究 - 朝鮮前期․明․室町時期를 중심으로 - = A Comparative Study on System of Weights and Measures in Early Modern Korea, China and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69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system of weights and measures in early modern Korean, China and Japan by the comparative method.
      Firstly, Korean, China and Japan in early modern used the same units of the measurements such as ‘Pun, Chon, Cheok and Jang’(‘分․寸․尺․丈’). Although units and types of the measurements were similar, but they also varied slightly by each countries. The early Joseon dynasty set the ruler for musical instruments(黃鐘尺) as a standard and used the ruler of Zhou dynasty(周尺) as the land surveying ruler(量田尺), the fabric measuring ruler(布帛尺) for receiving fabrics as a tax, the ruler for the manufacture of ritual vessels(造禮器尺), and the woodworking ruler(營造尺) for the construction of mountain fortress and other structure, etc. In the Ming dynasty(明代), the rulers like the woodworking ruler(營造尺), the land surveying ruler(量地尺) and the tailor ruler(栽衣尺) came into use. In the Muromachi period(室町期), there were the carpentry ruler and the traditional clothing ruler(呉服尺), etc. The type and length of a Cheok(尺) varied by each countries.
      Secondly, the measuring bowls included Hop, Seung, Du anc Suck(合, 升, 斗, 石).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volume of one Suck was 15 Du as the ordinary Suck(平石) and was also 20 Du as the perfect Suck(全石). On the other hand, the volume of one Suck in the Ming dynasty and the Muromachi period were 10 Suck.
      The volume of one Seung is estimated at about 0.6ℓthrough standards of Gok, Du, Seung and Hop(斛․斗․升․合) established in the 28th year of the King Sejong. And the volume of one Seung was about 1ℓ in the Ming dynasty and was about 1.44ℓ in the Muromachi period, but varied a little by region.
      Thirdly, one Geun(斤) as a scale unit was 16 Ryang(兩). According to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the units less than Ryang in the early Joseon were used with decimal system like in the case of China. The weight of one Geun was similar in the early Joseon, Ming dynasty and the Muromachi period.
      번역하기

      This paper deals with system of weights and measures in early modern Korean, China and Japan by the comparative method. Firstly, Korean, China and Japan in early modern used the same units of the measurements such as ‘Pun, Chon, Cheok and Jang’(...

      This paper deals with system of weights and measures in early modern Korean, China and Japan by the comparative method.
      Firstly, Korean, China and Japan in early modern used the same units of the measurements such as ‘Pun, Chon, Cheok and Jang’(‘分․寸․尺․丈’). Although units and types of the measurements were similar, but they also varied slightly by each countries. The early Joseon dynasty set the ruler for musical instruments(黃鐘尺) as a standard and used the ruler of Zhou dynasty(周尺) as the land surveying ruler(量田尺), the fabric measuring ruler(布帛尺) for receiving fabrics as a tax, the ruler for the manufacture of ritual vessels(造禮器尺), and the woodworking ruler(營造尺) for the construction of mountain fortress and other structure, etc. In the Ming dynasty(明代), the rulers like the woodworking ruler(營造尺), the land surveying ruler(量地尺) and the tailor ruler(栽衣尺) came into use. In the Muromachi period(室町期), there were the carpentry ruler and the traditional clothing ruler(呉服尺), etc. The type and length of a Cheok(尺) varied by each countries.
      Secondly, the measuring bowls included Hop, Seung, Du anc Suck(合, 升, 斗, 石).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volume of one Suck was 15 Du as the ordinary Suck(平石) and was also 20 Du as the perfect Suck(全石). On the other hand, the volume of one Suck in the Ming dynasty and the Muromachi period were 10 Suck.
      The volume of one Seung is estimated at about 0.6ℓthrough standards of Gok, Du, Seung and Hop(斛․斗․升․合) established in the 28th year of the King Sejong. And the volume of one Seung was about 1ℓ in the Ming dynasty and was about 1.44ℓ in the Muromachi period, but varied a little by region.
      Thirdly, one Geun(斤) as a scale unit was 16 Ryang(兩). According to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the units less than Ryang in the early Joseon were used with decimal system like in the case of China. The weight of one Geun was similar in the early Joseon, Ming dynasty and the Muromachi peri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중일 근세시기의 도량형제를 비교 검토하였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세의 척의 단위는 ‘分․寸․尺․丈’으로 동일함을 알 수 있고, 척의 종류는 유사한 측면도 있지만, 각국의 특성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었다. 조선전기의 척은 黃鐘尺을 기준하여 周尺(=量田尺), 布帛尺(=포의 수취), 造禮器尺(=의례용), 營造尺(=산성·건물의 축조) 등이 있었고, 明代는 營造尺․量地尺․栽衣尺 등이 사용되었고, 室町期는 曲尺과 함께 吳服尺 등이 존재하였다. 이처럼 척의 종류와 길이는 국가마다 달랐다.
      둘째, 양기는 合(홉)․升(되)․斗(말)․石(섬) 등이 있었고, 조선전기의 석은 1석=15두(平石)와 1석=20두(全石)가 사용되었지만, 명대와 실정기는 1석 10두였다. 1승의 용적은 세종 28년에 제정된 斛․斗․升․合을 통해 약 0.6ℓ로 추정되고, 명대는 1승=약 1ℓ, 실정기는 약 1.44ℓ이지만 지역마다 다소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저울의 단위는 1斤=16兩이었다. 兩이하의 단위는 조선전기는 『경국대전』에 중국의 경우처럼 십진법이 운용되었다. 1근의 중량은 조선전기와 명대와 실정기가 비슷하였다.
      번역하기

      한중일 근세시기의 도량형제를 비교 검토하였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세의 척의 단위는 ‘分․寸․尺․丈’으로 동일함을 알 수 있고, 척의 종류는 유사한 측면도 있지만...

      한중일 근세시기의 도량형제를 비교 검토하였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세의 척의 단위는 ‘分․寸․尺․丈’으로 동일함을 알 수 있고, 척의 종류는 유사한 측면도 있지만, 각국의 특성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었다. 조선전기의 척은 黃鐘尺을 기준하여 周尺(=量田尺), 布帛尺(=포의 수취), 造禮器尺(=의례용), 營造尺(=산성·건물의 축조) 등이 있었고, 明代는 營造尺․量地尺․栽衣尺 등이 사용되었고, 室町期는 曲尺과 함께 吳服尺 등이 존재하였다. 이처럼 척의 종류와 길이는 국가마다 달랐다.
      둘째, 양기는 合(홉)․升(되)․斗(말)․石(섬) 등이 있었고, 조선전기의 석은 1석=15두(平石)와 1석=20두(全石)가 사용되었지만, 명대와 실정기는 1석 10두였다. 1승의 용적은 세종 28년에 제정된 斛․斗․升․合을 통해 약 0.6ℓ로 추정되고, 명대는 1승=약 1ℓ, 실정기는 약 1.44ℓ이지만 지역마다 다소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저울의 단위는 1斤=16兩이었다. 兩이하의 단위는 조선전기는 『경국대전』에 중국의 경우처럼 십진법이 운용되었다. 1근의 중량은 조선전기와 명대와 실정기가 비슷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朴興秀, "李朝尺度에 關한 硏究" 성대 대동문화연구소 4 : 1967

      2 남문현, "한국의 물시계"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3 朴興秀, "한국사-조선전기의 경제구조- 24" 국사편찬위원회 1994

      4 이종봉, "한국 도량형사" 소명출판 2016

      5 朴興秀, "서울六百年史" 서울시사편찬위원회 1987

      6 한은희, "韓服에 사용되는 布帛尺에 관한 硏究" (51) : 2001

      7 李宗峯, "韓國中世度量衡制硏究" 혜안 2001

      8 朴興秀, "韓·中度量衡制度史"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9

      9 宮本佐知子, "考古學による日本歷史-交易と交通 9" 雄山閣 1997

      10 "經國大典"

      1 朴興秀, "李朝尺度에 關한 硏究" 성대 대동문화연구소 4 : 1967

      2 남문현, "한국의 물시계"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3 朴興秀, "한국사-조선전기의 경제구조- 24" 국사편찬위원회 1994

      4 이종봉, "한국 도량형사" 소명출판 2016

      5 朴興秀, "서울六百年史" 서울시사편찬위원회 1987

      6 한은희, "韓服에 사용되는 布帛尺에 관한 硏究" (51) : 2001

      7 李宗峯, "韓國中世度量衡制硏究" 혜안 2001

      8 朴興秀, "韓·中度量衡制度史"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9

      9 宮本佐知子, "考古學による日本歷史-交易と交通 9" 雄山閣 1997

      10 "經國大典"

      11 小泉袈裟勝, "秤" 法政大出版局 2001

      12 "樂律全書"

      13 小泉袈裟勝, "枡" 法政大出版局 1998

      14 小泉袈裟勝, "東洋尺度史의 諸問題" (351) : 1977

      15 李恩卿, "朝鮮時代의 布帛尺에 관한 硏究" 16 : 1991

      16 이은경, "朝鮮時代 前期의 布帛尺에 관한 硏究(上)-朝鮮王朝實錄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53 (53): 87-99, 2003

      17 李宗峯, "朝鮮前期 度量衡制 硏究" 국사편찬위원회 (95) : 2001

      18 田大熙, "朝鮮代 度量衡器의 實크기에 관한 硏究" 한국해양대 18 : 1983

      19 "明會典"

      20 "明史"

      21 水鳥川和夫, "日本度量衡制の硏究-面積·尺度編" デザイエツグ株式會社 2018

      22 望月長與, "日本人の尺度" 六藝書房 1971

      23 阿部猛, "度量衡의 事典" 同成社 2006

      24 朴興秀, "度量衡과 國樂論叢" 대방문화사 1980

      25 小泉袈裟勝, "度量衡の歷史" 原書房 1967

      26 "太宗實錄"

      27 宮本佐知子, "大阪市文化財論集" 大阪市文化財協會 1991

      28 "大明律"

      29 "大日本租稅志"

      30 須股孝信, "大尺に關する考察" 計量史學會 17 (17): 1995

      31 "多聞院日記"

      32 "增補文獻備考"

      33 今村豁子, "園城寺尺について" 計量史學會 9 : 1987

      34 남문현, "同律度量衡-조선시대척도용역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92

      35 "令義解"

      36 丘光明, "中國歷代度量衡考" 科學出版社 1992

      37 丘光明, "中國科學技術史-度量衡卷" 科學出版社 2003

      38 邱隆, "中國度量衡圖集" 法仁文化社 1993

      39 吳承洛, "中國度量衡史" 商務印書館 1937

      40 丘光明, "中國度量衡" 新華出版社 1993

      41 丘光明, "中國古代度量衡" 商務印書館 1996

      42 岩田重雄, "中國·朝鮮·日本の長さ標準" 計量史學會 16 : 1994

      43 寶月圭吾, "中世量制史の硏究" 吉川弘文館 1961

      44 水鳥川和夫, "中世西日本における使用升の容積と標準升" 社會經濟史學會 76 (76): 2011

      45 水鳥川和夫, "中世畿內における使用升の容積と標準升" 社會經濟史學會 75 (75): 2010

      46 水鳥川和夫, "中世東日本における使用升の容積と標準升" 社會經濟史學會 78 (78): 2012

      47 山岸素夫, "中世大袖の規格化と甲冑用鷹バカリについて" 9 : 1987

      48 "世宗實錄"

      49 小泉袈裟勝, "ものさし" 法政大出版局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01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