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남송우, "환경시의 현황과 과제" 현대시 1993
2 상찬경,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문명관" 현대문학 1993
3 도정일, "풀잎, 갱생, 역사" 문예중앙 1993
4 이경호, "풀무치의 눈에 보이는 초록의 길" 다산글방 1991
5 송희복, "푸르른 울음, 생생한 초록의 광휘" 현대시 1996
6 정효구, "최근 생태시에 나타난 문제점" 시와사람 1996
7 신덕룡, "초록생명의 길1" 시와사람사 1997
8 김진수, "자연시와 생태시 점검" 포에지 2001
9 정효구, "우주공동체와 문학" 현대시학 1993
10 김진수, "에코-포에틱스 한계와 가능성" 포에지 2001
1 남송우, "환경시의 현황과 과제" 현대시 1993
2 상찬경,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문명관" 현대문학 1993
3 도정일, "풀잎, 갱생, 역사" 문예중앙 1993
4 이경호, "풀무치의 눈에 보이는 초록의 길" 다산글방 1991
5 송희복, "푸르른 울음, 생생한 초록의 광휘" 현대시 1996
6 정효구, "최근 생태시에 나타난 문제점" 시와사람 1996
7 신덕룡, "초록생명의 길1" 시와사람사 1997
8 김진수, "자연시와 생태시 점검" 포에지 2001
9 정효구, "우주공동체와 문학" 현대시학 1993
10 김진수, "에코-포에틱스 한계와 가능성" 포에지 2001
11 홍용희, "신생의 꿈과 언어" 시와사상 1995
12 이건청, "시적 현실로서의 환경오염과 생태파괴" 현대시학 1992
13 양동식, "시적 상상력과 오류" 현대시학 2001
14 도정일,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민음사 1994
15 장석주, "시의 생태학적 상상력을 위하여" 현대시학 1992
16 김종철, "시의 마음과 생명공동체" 녹색평론 1991
17 송희복, "서정시의 화엄경적 생명원리" 시와사상 1995
18 송희복, "서정성과 생태주의" 오늘의 문예비평 1999
19 이숭원, "생태학적 상상력과 우리시의 방향" 실천문학 1996
20 장경렬, "생태페미니즘 시의 현재와 미래" 시와사람 2001
21 김용민, "생태사회를 위한 문학" 현대문학 2000
22 남송우, "생명시학을 위하여" 시와사람 1996
23 이숭원, "생명시의 현황과 전망" 동강문학 2001
24 신덕룡, "생명시에 나타난 생명활동의 양상과 의미" 시와사람 2001
25 신덕룡, "생명시 논의의 흐름과 갈래" 시와사람 1997
26 이희중, "새로운 윤리적 문학의 요청과 시의 길" 현대시 1996
27 정과리, "문학과 환경" 불휘 1996
28 구중서, "문학과 생명운동" 태학사 1993
29 신정현, "문명비판과 환경에 대한 관심" 문학사상 1992
30 이동승, "독일의 생태시" 외국문학 1990
31 정효구, "도시에서 쓴 자연시의 의미와 한계" 21세기문학 1999
32 정호웅, "녹색사상과 생태학적 상상력" 문학사상 1995
33 이남호, "녹색문학을 위하여" 포에티카 1997
34 김정란, "근대시의 소명" 포에지 2001
35 신덕룡, "걸어온 길과 가야할 길" 현대시 1998
36 최동호, "21세기를 향한 에코토피아의 시학" 나남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