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行政立法에 대한 民主的 統制 - 특히 의회입법의 실패와 소위 “시행령 정치”의 문제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20대 국회에서는 여야의 극한 대립으로 의회입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법률로 규율해야 할 사항을 시행령의 개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를 소위 “시행령 정치”라고도 부른다. 이러한 현상은 시행령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시행규칙이나 행정규칙(훈령·고시 등)의 방식에 의해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의회입법의 실패로 인한 행정입법의 남용 현상은 법치국가적 관점에서 큰 우려를 낳고 있으며, 이에 대해 민주적 통제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현행법상 위법한 법률하위규범에 대한 사법적 통제는 불완전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위적 규범통제제도가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또한 “명령국가(命令國家)로의 도피”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절차적 통제를 강화하여야 한다. 위법한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의 동의절차가 도입되어야 한다. 행정입법절차에 있어서 관련된 자료나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공중의 참여와 의견제출 등을 충분히 보장하여야 한다. 현대사회의 불확실성과 리스크의 증가로 인해 국회와 집행권의 협력적 법제정은 매우 절실하다. 2019년은 시대를 앞서간 난세(亂世)의 모범적 헌법의 하나이었던 바이마르헌법이 10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었다. 바이마르공화국 말기에 수권법(授權法)에 의해 집행권의 법제정 남용이 초래되고, 이로 인해 파국으로 이른 역사적 교훈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지난 20대 국회에서는 여야의 극한 대립으로 의회입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법률로 규율해야 할 사항을 시행령의 개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를 소위 “시행령 정치”라고도 부른다...

      지난 20대 국회에서는 여야의 극한 대립으로 의회입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법률로 규율해야 할 사항을 시행령의 개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를 소위 “시행령 정치”라고도 부른다. 이러한 현상은 시행령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시행규칙이나 행정규칙(훈령·고시 등)의 방식에 의해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의회입법의 실패로 인한 행정입법의 남용 현상은 법치국가적 관점에서 큰 우려를 낳고 있으며, 이에 대해 민주적 통제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현행법상 위법한 법률하위규범에 대한 사법적 통제는 불완전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위적 규범통제제도가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또한 “명령국가(命令國家)로의 도피”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절차적 통제를 강화하여야 한다. 위법한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의 동의절차가 도입되어야 한다. 행정입법절차에 있어서 관련된 자료나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공중의 참여와 의견제출 등을 충분히 보장하여야 한다. 현대사회의 불확실성과 리스크의 증가로 인해 국회와 집행권의 협력적 법제정은 매우 절실하다. 2019년은 시대를 앞서간 난세(亂世)의 모범적 헌법의 하나이었던 바이마르헌법이 10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었다. 바이마르공화국 말기에 수권법(授權法)에 의해 집행권의 법제정 남용이 초래되고, 이로 인해 파국으로 이른 역사적 교훈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parliamentary legislation was not carried out properly due to extreme confrontation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and what should be regulated by law was achiev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This is also called “presidential enforcement decree (executive order)” politics. This phenomenon is not limited to the executive order, but is also carried out by the methods of the ministerial decree or administrative rules (instructions, public notices, etc.). The phenomenon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abuse resulting from the failure of parliamentary legislation is causing great concer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ule of law, and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strengthen democratic control over it. Under the current law, judicial control over illegal administrative legislation is incomplete, and the abstract norm control system must be actively introduced to solve these problems. In addition, democratic legitimacy must be secured and procedural control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avoid the phenomenon of “escape into an ordered state”. The parliamentary procedures for consent to illegal administrative legislation should be introduced. In administrative legislation procedures, relevant data or information should be disclosed transparently and fully guaranteed public participation and comments. Due to the uncertainty and increased risk in modern society, the cooperative legisl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executive powers is very urgent. The year 2019 marke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Weimar Constitution, which was one of the exemplary constitution of the turbulent era. At the end of the Weimar Republic, the law led to the abuse of the enforcement authority’s legislative power,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historical lessons that led to the catastrophe.
      번역하기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parliamentary legislation was not carried out properly due to extreme confrontation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and what should be regulated by law was achiev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ordi...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parliamentary legislation was not carried out properly due to extreme confrontation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and what should be regulated by law was achiev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This is also called “presidential enforcement decree (executive order)” politics. This phenomenon is not limited to the executive order, but is also carried out by the methods of the ministerial decree or administrative rules (instructions, public notices, etc.). The phenomenon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abuse resulting from the failure of parliamentary legislation is causing great concer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ule of law, and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strengthen democratic control over it. Under the current law, judicial control over illegal administrative legislation is incomplete, and the abstract norm control system must be actively introduced to solve these problems. In addition, democratic legitimacy must be secured and procedural control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avoid the phenomenon of “escape into an ordered state”. The parliamentary procedures for consent to illegal administrative legislation should be introduced. In administrative legislation procedures, relevant data or information should be disclosed transparently and fully guaranteed public participation and comments. Due to the uncertainty and increased risk in modern society, the cooperative legisl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executive powers is very urgent. The year 2019 marke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Weimar Constitution, which was one of the exemplary constitution of the turbulent era. At the end of the Weimar Republic, the law led to the abuse of the enforcement authority’s legislative power,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historical lessons that led to the catastroph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問題의 狀況
      • Ⅱ. 執行權의 法制定과 法治國家原理
      • Ⅲ. 民主的 方式에 의한 行政立法 統制
      • Ⅳ. 結論
      • 〈국문초록〉
      • Ⅰ. 問題의 狀況
      • Ⅱ. 執行權의 法制定과 法治國家原理
      • Ⅲ. 民主的 方式에 의한 行政立法 統制
      • Ⅳ. 結論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