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정열, "遼西 지역 청동문화의 전개 -기원전 15세기부터 기원전 5세기까지-" 숭실사학회 (42) : 81-117, 2019
2 한국고고학회, "한국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2007
3 최영희, "춘천 하중도 제방공사구간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한림대학교 2002
4 강원문화재연구소, "춘천 중도 순환도로부지 내 유적 발굴(정밀)조사 약식보고서" 2017
5 고려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H구역(고려H3)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7
6 국토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H구역(H2)내 유적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7
7 한백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H구역(H1⋅4구역) 내 유적 발굴조사 완료약보고서" 2017
8 국토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G3구역 내유적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7
9 강원문화재연구소,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G2구역 내유적 발굴(정밀)조사 약식보고서" 2016
10 예맥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G1구역 내유적 정밀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6
1 김정열, "遼西 지역 청동문화의 전개 -기원전 15세기부터 기원전 5세기까지-" 숭실사학회 (42) : 81-117, 2019
2 한국고고학회, "한국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2007
3 최영희, "춘천 하중도 제방공사구간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한림대학교 2002
4 강원문화재연구소, "춘천 중도 순환도로부지 내 유적 발굴(정밀)조사 약식보고서" 2017
5 고려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H구역(고려H3)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7
6 국토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H구역(H2)내 유적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7
7 한백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H구역(H1⋅4구역) 내 유적 발굴조사 완료약보고서" 2017
8 국토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G3구역 내유적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7
9 강원문화재연구소,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G2구역 내유적 발굴(정밀)조사 약식보고서" 2016
10 예맥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G1구역 내유적 정밀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6
11 강원문화재연구소,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F구역 내 유적 발굴(정밀)조사 약식보고서" 2017
12 고려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D5구역 내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7
13 예맥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C구역 내 유적정밀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7
14 한백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B구역 내 유적발굴조사 완료약보고서" 2016
15 한백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B5구역 내유적 문화재 발굴조사 완료약보고서" 2017
16 한강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A구역 내 유적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7
17 한얼문화유산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A-E구역내 문화재 발굴조사-한얼E구역 약식보고서" 2017
18 고려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A-E 구역내 유적(D구역) 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7
19 강인욱, "초기 고조선 네트워크의 형성과 비파형동검문화 —기술, 무기, 제사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106) : 46-75, 2018
20 강원대학교박물관, "중도유적 지표조사보고" 강원대학교 1984
21 국립중앙박물관, "중도 1-5" 국립중앙박물관 1984
22 김대환,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한국상고사학회 97 (97): 79-100, 2017
23 양시은, "일제강점기 고구려 발해 유적조사와 그 의미 :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고구려발해학회 38 : 155-192, 2010
24 이후석, "요령지역 비파형동검의 등장과 그 배경" 한국고고학회 (111) : 46-85, 2019
25 장우순, "시라토리 구라키치의 ‘만선’과 ‘동양’" 한일관계사학회 (70) : 287-318, 2020
26 강인욱, "고조선을 말하는 청동기 문화 : 고고학, 고조선을 말하다" 문하재청 2016
27 정인성, "韓國考古學史에서 ‘原三國時代’와 김해패총" 한국고대학회 (46) : 165-192, 2015
28 朱宇迅, "红山文化玉器研究" 中国书店 2012
29 郭大顺, "牛河梁红山文化遗址巨型礼仪建筑群综合研究" 科学出版社 2015
30 박영구, "江原嶺西地域 靑銅器時代 聚落의 展開樣相" 숭실사학회 (36) : 49-86, 2016
31 이형구, "春川 中島의 古代 共同體社會"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1) : 371-438, 2015
32 문안식, "古朝鮮의 遼西地域 진출과 土着社會의 動向" 고조선단군학회 36 (36): 47-90, 2017
33 조진선, "中國 東北地域의 靑銅器文化와 古朝鮮의 位置 變動" 동양학연구원 (56) : 103-131, 2014
34 단군학회, "(남북 학자들이 함께 쓴)단군과 고조선 연구" 지식산업사 2005
35 김정배, "(남북 학자들이 함께 쓴) 단군과고조선 연구" 지식산업사 24-, 2005
36 허정호, "(남북 학자들이 함께 쓴) 단군과 고조선연구" 지식산업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