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춘천 중도유적의 역사적 가치와 한국사회의 인식 = The Historical Value of The Remains of Jungdo Island in Chuncheon and Perception of Korean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427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mains of Jungdo Island in Chuncheon are the largest Bronze Age city ruins foun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Considering the size of the remains and the nature of the relic, it is very likely that this relic is related to the power of the state level. Chinese and Korean documents documenting this period mention Gojoseon as the only state power in the region at that time. It is probably the remains of Gojoseon or local powers related to Gojoseon.
      The conflict between the development forces and civil society over Jungdo Island development has condensed all contradictions in Korean society. Preservation should be prioritized over development, and development should be carried out in which relics and historical values are preserved even if inevitably developed.
      번역하기

      The remains of Jungdo Island in Chuncheon are the largest Bronze Age city ruins foun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Considering the size of the remains and the nature of the relic, it is very likely that this relic is related to the p...

      The remains of Jungdo Island in Chuncheon are the largest Bronze Age city ruins foun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Considering the size of the remains and the nature of the relic, it is very likely that this relic is related to the power of the state level. Chinese and Korean documents documenting this period mention Gojoseon as the only state power in the region at that time. It is probably the remains of Gojoseon or local powers related to Gojoseon.
      The conflict between the development forces and civil society over Jungdo Island development has condensed all contradictions in Korean society. Preservation should be prioritized over development, and development should be carried out in which relics and historical values are preserved even if inevitably develop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열, "遼西 지역 청동문화의 전개 -기원전 15세기부터 기원전 5세기까지-" 숭실사학회 (42) : 81-117, 2019

      2 한국고고학회, "한국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2007

      3 최영희, "춘천 하중도 제방공사구간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한림대학교 2002

      4 강원문화재연구소, "춘천 중도 순환도로부지 내 유적 발굴(정밀)조사 약식보고서" 2017

      5 고려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H구역(고려H3)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7

      6 국토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H구역(H2)내 유적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7

      7 한백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H구역(H1⋅4구역) 내 유적 발굴조사 완료약보고서" 2017

      8 국토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G3구역 내유적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7

      9 강원문화재연구소,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G2구역 내유적 발굴(정밀)조사 약식보고서" 2016

      10 예맥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G1구역 내유적 정밀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6

      1 김정열, "遼西 지역 청동문화의 전개 -기원전 15세기부터 기원전 5세기까지-" 숭실사학회 (42) : 81-117, 2019

      2 한국고고학회, "한국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2007

      3 최영희, "춘천 하중도 제방공사구간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한림대학교 2002

      4 강원문화재연구소, "춘천 중도 순환도로부지 내 유적 발굴(정밀)조사 약식보고서" 2017

      5 고려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H구역(고려H3)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7

      6 국토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H구역(H2)내 유적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7

      7 한백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H구역(H1⋅4구역) 내 유적 발굴조사 완료약보고서" 2017

      8 국토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G3구역 내유적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7

      9 강원문화재연구소,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G2구역 내유적 발굴(정밀)조사 약식보고서" 2016

      10 예맥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G1구역 내유적 정밀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6

      11 강원문화재연구소,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F구역 내 유적 발굴(정밀)조사 약식보고서" 2017

      12 고려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D5구역 내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7

      13 예맥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C구역 내 유적정밀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7

      14 한백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B구역 내 유적발굴조사 완료약보고서" 2016

      15 한백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B5구역 내유적 문화재 발굴조사 완료약보고서" 2017

      16 한강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A구역 내 유적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7

      17 한얼문화유산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A-E구역내 문화재 발굴조사-한얼E구역 약식보고서" 2017

      18 고려문화재연구원,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A-E 구역내 유적(D구역) 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7

      19 강인욱, "초기 고조선 네트워크의 형성과 비파형동검문화 —기술, 무기, 제사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106) : 46-75, 2018

      20 강원대학교박물관, "중도유적 지표조사보고" 강원대학교 1984

      21 국립중앙박물관, "중도 1-5" 국립중앙박물관 1984

      22 김대환,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한국상고사학회 97 (97): 79-100, 2017

      23 양시은, "일제강점기 고구려 발해 유적조사와 그 의미 :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고구려발해학회 38 : 155-192, 2010

      24 이후석, "요령지역 비파형동검의 등장과 그 배경" 한국고고학회 (111) : 46-85, 2019

      25 장우순, "시라토리 구라키치의 ‘만선’과 ‘동양’" 한일관계사학회 (70) : 287-318, 2020

      26 강인욱, "고조선을 말하는 청동기 문화 : 고고학, 고조선을 말하다" 문하재청 2016

      27 정인성, "韓國考古學史에서 ‘原三國時代’와 김해패총" 한국고대학회 (46) : 165-192, 2015

      28 朱宇迅, "红山文化玉器研究" 中国书店 2012

      29 郭大顺, "牛河梁红山文化遗址巨型礼仪建筑群综合研究" 科学出版社 2015

      30 박영구, "江原嶺西地域 靑銅器時代 聚落의 展開樣相" 숭실사학회 (36) : 49-86, 2016

      31 이형구, "春川 中島의 古代 共同體社會"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1) : 371-438, 2015

      32 문안식, "古朝鮮의 遼西地域 진출과 土着社會의 動向" 고조선단군학회 36 (36): 47-90, 2017

      33 조진선, "中國 東北地域의 靑銅器文化와 古朝鮮의 位置 變動" 동양학연구원 (56) : 103-131, 2014

      34 단군학회, "(남북 학자들이 함께 쓴)단군과 고조선 연구" 지식산업사 2005

      35 김정배, "(남북 학자들이 함께 쓴) 단군과고조선 연구" 지식산업사 24-, 2005

      36 허정호, "(남북 학자들이 함께 쓴) 단군과 고조선연구" 지식산업사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5-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仙道文化 제6집 -> 仙道文化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4-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선도문화연구원 -> 국학연구원
      영문명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kukhak Institute
      2006-11-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Korea Sundo & Culture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996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