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휴대인터넷에 활용 가능한 지능형 캐릭터 제작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651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기존 온라인상에서 제공되고 있는 캐릭터의 개념을 벗어나, 와이브로의 높은 전송속도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온라인 공간에서 인맥을 형성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바...

      본 논문은 기존 온라인상에서 제공되고 있는 캐릭터의 개념을 벗어나, 와이브로의 높은 전송속도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온라인 공간에서 인맥을 형성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바탕으로 지능형 캐릭터 제작 시스템 설계에 목표를 두고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메타정보를 이용한 캐릭터의 자동 조합, 기능과 활용이 편리한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사용자별 개성, 취향, 기분에 맞추어 웹 브라우저나 휴대 단말기에서 캐릭터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표현된 캐릭터의 모션은 사용자의 감정과 스케줄, 패턴 등의 데이터 변형에 따라 패션, 배경, 표정 등이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다양한 사용자의 감성과 생활패턴 등의 정보에 대응하고 인터랙션할 수 있는 진보된 지능형 캐릭터 시스템을 개발하여 본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서 다양한 콘텐츠에 활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ign an intelligent character manipulation system suitable for the wireless broadband network environment named as Wibro and for the recent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The main feature of our proposed system is an au...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ign an intelligent character manipulation system suitable for the wireless broadband network environment named as Wibro and for the recent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The main feature of our proposed system is an automatic synthesis of a character utilizing the meta data which is attached to each component stored in a character database. It is the second advantageous feature that a user can make or modify his or her own character by modifying the component animation clip of its character. Once the character database is created, it can be represented and utilized in several ways by utilizing the meta data which is related to personal properties including emotion, life style, favorite things, and so on. The system can be evolved to a more powerful one by adopting the more user-related information and the more intelligent synthesis modu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기존 캐릭터의 이론적 배경과 개요
      • Ⅲ. 휴대인터넷의 발전과 파생 서비스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기존 캐릭터의 이론적 배경과 개요
      • Ⅲ. 휴대인터넷의 발전과 파생 서비스
      • Ⅳ. 지능형 캐릭터 시스템 설계
      • Ⅴ. 결론
      • 참고문헌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vatar, (218) : 1998

      2 정문석, "휴대인터넷 도입에 따른 시장동향 및 사업전망" 하나경재연구소 2004

      3 오세근, "최근 와이브로 추진 동향과 전망" (1288) : 2007

      4 이승주, "최근 SNS 산업 동향" 정보통신연구진흥원 (1334) : 2008

      5 황대훈, "인터넷에서의 가상현실 구현 기술" 1 (1): 1998

      6 김진용, "아바타 통신에서의 얼굴 표정의 생성 방법"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0 (10): 55-64, 2005

      7 이양선, "가상현실 아바타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관한 연구" (7) : 2000

      8 C. Greenhalgh, "Introducing Regions into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s" 1997

      9 김정식, "Autostereoscopic 3D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가상 장면의 인터랙티브 네비게이션" 2006

      10 원용태, "3D 아바타 애니메이션에 대한 연구" 35 : 1-2, 2004

      1 Avatar, (218) : 1998

      2 정문석, "휴대인터넷 도입에 따른 시장동향 및 사업전망" 하나경재연구소 2004

      3 오세근, "최근 와이브로 추진 동향과 전망" (1288) : 2007

      4 이승주, "최근 SNS 산업 동향" 정보통신연구진흥원 (1334) : 2008

      5 황대훈, "인터넷에서의 가상현실 구현 기술" 1 (1): 1998

      6 김진용, "아바타 통신에서의 얼굴 표정의 생성 방법"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0 (10): 55-64, 2005

      7 이양선, "가상현실 아바타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관한 연구" (7) : 2000

      8 C. Greenhalgh, "Introducing Regions into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s" 1997

      9 김정식, "Autostereoscopic 3D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가상 장면의 인터랙티브 네비게이션" 2006

      10 원용태, "3D 아바타 애니메이션에 대한 연구" 35 : 1-2,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