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현대문학에 나타난 표절의 세 국면 = Three aspects of plagiarism in Korean modern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671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현대문학에 나타난 표절의 문제를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누어 고찰하고자 한다. 표절은 사실 근대문학의 탄생과 함께한 개념으로 그 이전의 문학에서 표절은 오히려 저자의 교양과 창작 능력의 기본기로 판단했다. 그러나 이러한 광의의 의미로써 표절은 독창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생겨난 근대에 이르러 부도덕한 것으로 치부되기 시작했고, 문학 창작에 있어 독창성은 핵심개념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표절의 문제는 우리 문학에서도 예외가 아니며 근대문학 형성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금, 여기’의 창작 현장에 있어 매우 논쟁적인 사건으로 다뤄지게 된다. 표절 문제는 주로 현재적 사건으로 다뤄지기 때문에, 작품의 완성도와 수준보다는 문단과 개인 작가의 욕망이 혼종적으로 드러난 사건으로 진행되기 마련이다. 때문에 표절 문제를 검토하는 것은 당대 작가들의 문학 창작에 대한 인식과 ‘그룹’ 또는 ‘문학장(文學場)’으로서 문단의 정체를 파악하는 구체적이며 용이한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표절의 문제를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시점으로 나누어 살피고자 한다. 근대문학 초기 문학사에 새겨진 대표적인 표절 사건, 그리고 최근 현대문학의 현장이 떠들썩했던 표절, 그리고 심사제 자체가 이런 표절에 대해 취약한 것은 아닌지 심사제의 구조적인 지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근대문학 초기, 특히 시단에서 최초의 표절 사건으로 불거진 노자영의 「잠!」에 관해 살핀다. 다음으로 비교적 최근 문단 전체의 주요한 이슈였던 「우국」을 표절한 신경숙의 경우를 검토한다. 끝으로 현재 여러 신인상과 문학상에 드러난 표절 이슈를 살펴 한국현대문학이 통시적이자 계보학적으로 표절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그에 대해 대응했는지 그 면면을 살피고자 한다. 또한 그러한 과정이 종당에 어떠한 결과로 도출되었는지, 그리고 문학의 존재 양상이 다변화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하에 그 해결방안에 대한 제언을 제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국현대문학에 나타난 표절의 문제를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누어 고찰하고자 한다. 표절은 사실 근대문학의 탄생과 함께한 개념으로 그 이전의 문학에서 표절은 오히려 저자의 교양...

      본고는 한국현대문학에 나타난 표절의 문제를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누어 고찰하고자 한다. 표절은 사실 근대문학의 탄생과 함께한 개념으로 그 이전의 문학에서 표절은 오히려 저자의 교양과 창작 능력의 기본기로 판단했다. 그러나 이러한 광의의 의미로써 표절은 독창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생겨난 근대에 이르러 부도덕한 것으로 치부되기 시작했고, 문학 창작에 있어 독창성은 핵심개념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표절의 문제는 우리 문학에서도 예외가 아니며 근대문학 형성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금, 여기’의 창작 현장에 있어 매우 논쟁적인 사건으로 다뤄지게 된다. 표절 문제는 주로 현재적 사건으로 다뤄지기 때문에, 작품의 완성도와 수준보다는 문단과 개인 작가의 욕망이 혼종적으로 드러난 사건으로 진행되기 마련이다. 때문에 표절 문제를 검토하는 것은 당대 작가들의 문학 창작에 대한 인식과 ‘그룹’ 또는 ‘문학장(文學場)’으로서 문단의 정체를 파악하는 구체적이며 용이한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표절의 문제를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시점으로 나누어 살피고자 한다. 근대문학 초기 문학사에 새겨진 대표적인 표절 사건, 그리고 최근 현대문학의 현장이 떠들썩했던 표절, 그리고 심사제 자체가 이런 표절에 대해 취약한 것은 아닌지 심사제의 구조적인 지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근대문학 초기, 특히 시단에서 최초의 표절 사건으로 불거진 노자영의 「잠!」에 관해 살핀다. 다음으로 비교적 최근 문단 전체의 주요한 이슈였던 「우국」을 표절한 신경숙의 경우를 검토한다. 끝으로 현재 여러 신인상과 문학상에 드러난 표절 이슈를 살펴 한국현대문학이 통시적이자 계보학적으로 표절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그에 대해 대응했는지 그 면면을 살피고자 한다. 또한 그러한 과정이 종당에 어떠한 결과로 도출되었는지, 그리고 문학의 존재 양상이 다변화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하에 그 해결방안에 대한 제언을 제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blem of plagiarism in modern Korean literature by dividing it in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Plagiarism is actually a concept that began with the birth of modern literature, and in literature before that, plagiarism was considered a fundamental element of the author's culture and creative ability. However, in this broad sense, plagiarism began to be regarded as immoral in modern times when a new awareness of originality arose, and originality became a core concept in literary creation.
      The problem of plagiarism is no exception in our literature, and from the formation of modern literature to the present, it has been treated as a very controversial incident in the creative scene of ‘here and now.’ Since the plagiarism problem is mainly treated as a current incident, it tends to proceed as an incident in which the desires of the literary community and individual writers are revealed in a hybrid manner rather than the completeness and level of the work. Therefore, examining the plagiarism problem can be a specific and easy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literary creation of contemporary writers and the identity of the literary community as a ‘group’ or ‘literary field.’ In this article, we will examine the problem of plagiarism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by dividing the representative cases of plagiarism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into three categories: early literature, recent modern literature, and debut works of new writers and literary award winners.
      First, we will examine Noh Ja-young's "Sleep!", which was the first plagiarism case in the early modern literature, especially in the poetry world. Next, we will examine the case of Shin Kyung-sook, who plagiarized "Patriotism," which has been a major issue in the literary world relatively recently. Finally, we will examine the plagiarism issues that have been revealed in various new writer awards and literary awards, and examine how modern Korean literature has recognized and responded to the problem of plagiarism in a diachronic and genealogical manner. In addition, we will present suggestions for solutions to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aspects of literature's existence are diversifying, as well as what results such a process ultimately led to.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blem of plagiarism in modern Korean literature by dividing it in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Plagiarism is actually a concept that began with the birth of modern literature, and in literature before that, plagiarism w...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blem of plagiarism in modern Korean literature by dividing it in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Plagiarism is actually a concept that began with the birth of modern literature, and in literature before that, plagiarism was considered a fundamental element of the author's culture and creative ability. However, in this broad sense, plagiarism began to be regarded as immoral in modern times when a new awareness of originality arose, and originality became a core concept in literary creation.
      The problem of plagiarism is no exception in our literature, and from the formation of modern literature to the present, it has been treated as a very controversial incident in the creative scene of ‘here and now.’ Since the plagiarism problem is mainly treated as a current incident, it tends to proceed as an incident in which the desires of the literary community and individual writers are revealed in a hybrid manner rather than the completeness and level of the work. Therefore, examining the plagiarism problem can be a specific and easy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literary creation of contemporary writers and the identity of the literary community as a ‘group’ or ‘literary field.’ In this article, we will examine the problem of plagiarism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by dividing the representative cases of plagiarism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into three categories: early literature, recent modern literature, and debut works of new writers and literary award winners.
      First, we will examine Noh Ja-young's "Sleep!", which was the first plagiarism case in the early modern literature, especially in the poetry world. Next, we will examine the case of Shin Kyung-sook, who plagiarized "Patriotism," which has been a major issue in the literary world relatively recently. Finally, we will examine the plagiarism issues that have been revealed in various new writer awards and literary awards, and examine how modern Korean literature has recognized and responded to the problem of plagiarism in a diachronic and genealogical manner. In addition, we will present suggestions for solutions to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aspects of literature's existence are diversifying, as well as what results such a process ultimately led to.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