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계자본주의와 한국의 자본축적  :  국제적 패권구조, 국가와 생산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 World Capitalism and Capital Accumulation in Korea : Focusing on the linkage among the International Hegemonic Structure, State, and Produ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123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자본축적과정에 있어서 세계 자본주의체제의 패권구조 및 국제분업구조라는 외생적 요소와 국내의 정치연합, 국가의 축적전략이라는 내생적 요소가 서로 어떻게 역 동적으로 상호작용했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세계자본주의 구조속에서 선진 자본주의 국가는 경제위기의 극복수단으로 생산의 국제화 뿐만 아니라 금융의 세계화를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은 국제분업구조와 국제금융체제에 편입됨으로써 발전의 기회와 제약을 동시에 부여받았다. 그러나 한국은 세계 자본주의체제의 규정을 단순하게 수용한 것이 아니라 자본축적의 주체로서 외적 구조에 내적 전략을 역 동적으로 결합시켰던 것이다.
      1960년대 경공업 중심의 노동집약적 생산, 1970년대 중화학공업으로의 산업 전환, 1980년대 경제안정화 정책, 자율화 · 개방화 정책은 다국적기업의 확장, 브레튼우즈체제의 붕괴, 석유위기, 보호무역주의 등과 같은 세계자본주의 체제의 지형변화에 대응하여 경제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한국의 자본축적과정에서 외생적 요인들이 처음에는 자본, 기술과 시장을 제공함으로써 기회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내생적으로 재벌위주의 양적 팽창, 산업구조의 불균형, 과도한 외채누적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고 이에 따른 정부 · 대기업의 유착은 더욱 심화되었다.
      특히 1990년대에 들어와 그 동안 누적되어 온 구조적 제약요인들이 자본축적의 한계를 노정시키게 하였다. 또한 선진국의 투자가 동남아시아 및 중국에 집중되면서 한국은 점차 국제분업구조에서 이탈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고 이에 따라 독자적인 기술개발이 요청되었다. 그러나 구조적 제약에 따른 기술축적의 부족, 선진국의 기술이전 회피 등으로 한국의 자본축적 전략은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던 것이다. 첨단산업으로의 전환을 제약한 구조적 요인은 금융위기를 야기시킨 근본적 원인으로도 작용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제분업구조에서의 이탈, 사회구조의 변화, 정치적 민주화 등과 같은 대내외적 요인을 고려해 자본축적의 질적 전환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자본축적과정에 있어서 세계 자본주의체제의 패권구조 및 국제분업구조라는 외생적 요소와 국내의 정치연합, 국가의 축적전략이라는 내생적 요소가 서로 어떻게 역 ...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자본축적과정에 있어서 세계 자본주의체제의 패권구조 및 국제분업구조라는 외생적 요소와 국내의 정치연합, 국가의 축적전략이라는 내생적 요소가 서로 어떻게 역 동적으로 상호작용했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세계자본주의 구조속에서 선진 자본주의 국가는 경제위기의 극복수단으로 생산의 국제화 뿐만 아니라 금융의 세계화를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은 국제분업구조와 국제금융체제에 편입됨으로써 발전의 기회와 제약을 동시에 부여받았다. 그러나 한국은 세계 자본주의체제의 규정을 단순하게 수용한 것이 아니라 자본축적의 주체로서 외적 구조에 내적 전략을 역 동적으로 결합시켰던 것이다.
      1960년대 경공업 중심의 노동집약적 생산, 1970년대 중화학공업으로의 산업 전환, 1980년대 경제안정화 정책, 자율화 · 개방화 정책은 다국적기업의 확장, 브레튼우즈체제의 붕괴, 석유위기, 보호무역주의 등과 같은 세계자본주의 체제의 지형변화에 대응하여 경제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한국의 자본축적과정에서 외생적 요인들이 처음에는 자본, 기술과 시장을 제공함으로써 기회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내생적으로 재벌위주의 양적 팽창, 산업구조의 불균형, 과도한 외채누적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고 이에 따른 정부 · 대기업의 유착은 더욱 심화되었다.
      특히 1990년대에 들어와 그 동안 누적되어 온 구조적 제약요인들이 자본축적의 한계를 노정시키게 하였다. 또한 선진국의 투자가 동남아시아 및 중국에 집중되면서 한국은 점차 국제분업구조에서 이탈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고 이에 따라 독자적인 기술개발이 요청되었다. 그러나 구조적 제약에 따른 기술축적의 부족, 선진국의 기술이전 회피 등으로 한국의 자본축적 전략은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던 것이다. 첨단산업으로의 전환을 제약한 구조적 요인은 금융위기를 야기시킨 근본적 원인으로도 작용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제분업구조에서의 이탈, 사회구조의 변화, 정치적 민주화 등과 같은 대내외적 요인을 고려해 자본축적의 질적 전환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how the process of capital accumulation in Korea has been affected by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external factors such as hegemonic structure of the world capitalist system and internal factors such as domestic coalition and industrial policy.
      Korea, which was selected and integrated into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apital, has taken advantage of the opportunity to accumulate capital with preparing proper strategies. In the 1960s,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Japan, shifted the production site into the developing countries, to avoid the rise of wages and the fall of productivity. Korea, focusing on the production of low-value added, labor-intensive products, actively attracted foreign firms and accumulated capital in labor-intensive industries. In the 1970s, after the first oil crisis, the HCIs (heavy-chemical industries) was declining in developed countries and transferred to developing countries. Korea again took advantage of this change through the industrial transformation from the light to the HCIs. In the 1980s, the U.S., which was concerned of chronic deficit of current account, changed from the high-dollar to low-dollar policy in the monetary area. and pressed Japan and the NICs to open their domestic markets. The Korean government, which was also faced with the pressure of political democratization, changed industrial policy from sector specific to neutral one and responded to these external and internal pressures with more general macroeconomic policies such as stabilization policy and market opening and liberalization policy.
      On the other side of token, during the process of capital accumulation, unwanted problems such as imbalanced development of industrial structure, high dependency on foreign technology, weak financial structure, and huge foreign debt have been produced and acted as a structural constraint to further development. Especially, in the 1990s these problems have been worsened and Korea faced with economic bottleneck in continuing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As the U.S and Japan shifted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China and the South-East Asia, Korea began to be disintegrated from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and needed to transform into high-value added and technology-intensive industries. The structural constraint made the transformation difficult and eventually become one of underlying reasons of the financial crisis in Korea.
      External factors initially provided Korea with an opportunity to access new capital, new technology, and new markets. But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hem, its political and economic structure have become too inflexible to adapt to changing international environment. To overcome the structural constraint, Korea needs to adopt a more flexible political and economic structure and change its strategy of capital accumulation from quantitative to qualitative one.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how the process of capital accumulation in Korea has been affected by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external factors such as hegemonic structure of the world capitalist system and internal factors such as domestic coalition and i...

      This paper examines how the process of capital accumulation in Korea has been affected by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external factors such as hegemonic structure of the world capitalist system and internal factors such as domestic coalition and industrial policy.
      Korea, which was selected and integrated into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apital, has taken advantage of the opportunity to accumulate capital with preparing proper strategies. In the 1960s,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Japan, shifted the production site into the developing countries, to avoid the rise of wages and the fall of productivity. Korea, focusing on the production of low-value added, labor-intensive products, actively attracted foreign firms and accumulated capital in labor-intensive industries. In the 1970s, after the first oil crisis, the HCIs (heavy-chemical industries) was declining in developed countries and transferred to developing countries. Korea again took advantage of this change through the industrial transformation from the light to the HCIs. In the 1980s, the U.S., which was concerned of chronic deficit of current account, changed from the high-dollar to low-dollar policy in the monetary area. and pressed Japan and the NICs to open their domestic markets. The Korean government, which was also faced with the pressure of political democratization, changed industrial policy from sector specific to neutral one and responded to these external and internal pressures with more general macroeconomic policies such as stabilization policy and market opening and liberalization policy.
      On the other side of token, during the process of capital accumulation, unwanted problems such as imbalanced development of industrial structure, high dependency on foreign technology, weak financial structure, and huge foreign debt have been produced and acted as a structural constraint to further development. Especially, in the 1990s these problems have been worsened and Korea faced with economic bottleneck in continuing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As the U.S and Japan shifted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China and the South-East Asia, Korea began to be disintegrated from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and needed to transform into high-value added and technology-intensive industries. The structural constraint made the transformation difficult and eventually become one of underlying reasons of the financial crisis in Korea.
      External factors initially provided Korea with an opportunity to access new capital, new technology, and new markets. But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hem, its political and economic structure have become too inflexible to adapt to changing international environment. To overcome the structural constraint, Korea needs to adopt a more flexible political and economic structure and change its strategy of capital accumulation from quantitative to qualitative o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 Ⅱ.국제적 패권구조, 국가와 생산의 이론적 연계
      • 1.국제적 패권론
      • 2.생산주기론
      • 3.국가주의론과 정치연합론
      • Ⅰ.서론
      • Ⅱ.국제적 패권구조, 국가와 생산의 이론적 연계
      • 1.국제적 패권론
      • 2.생산주기론
      • 3.국가주의론과 정치연합론
      • Ⅲ.전후 팍스 아메리카나와 한국의 노동집약적 생산
      • Ⅳ.1970년대 세계자본주의의 위기와 한국의 자본집약적 생산
      • Ⅴ.신자유주의체제하에서 한국의 기술집약적 생산
      • Ⅵ.미국의 패권전략과 한국의 경제위기 : 생산의 위기와 금융위기
      • Ⅶ.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