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만 5세 하늘반 유아들의 마당놀이 경험 = 현상학적 이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045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하늘반 유아들의 마당놀이 과정에서 겪는 유아들의 경험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 현상학적 연구로서, 유치원 교실의 자유선택 활동, 이야기나누기, 국악놀이, 마당놀이 공연 등에 관한 참여 관찰과 서술기록을 통해 2014년 4월부터 7월까지 4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만 5세 26명의 하늘반 유아들의 마당놀이 경험을 담았다. 하늘반 유아들의 마당놀이 경험은 첫째,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우리 악기, 춤 등의 국악과 함께 하는 유아들의 경험으로 시작된다. 둘째, 유아들은 주제와 국악을 연결한다. 셋째, 유아들은 마당놀이를 통해 모두가 함께 하며, 마당놀이의 역할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경험을 한다. 넷째, 유아들은 많은 경험과 놀이로 만들어진 마당놀이를 새롭게 변형한다. 다섯째, 유아들은 마당놀이를 통해 협동을 경험을 한다. 여섯째, 엄마, 아빠 혹은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을 통해 유아들은 성취감을 경험한다. 이 같은 경험들은 유아에게 있어 복잡하지만 구체적으로 유아의 놀이에 재창조를 이끌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유아들의 마당놀이는 이런 현상학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유아들의 삶의 변화와 총체적인 방법으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연구되어야 한다는 접근 방법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하늘반 유아들의 마당놀이 과정에서 겪는 유아들의 경험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 현상학적 연구로서, 유치원 교실의 자유선택 활동, 이야기나누기, 국악놀...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하늘반 유아들의 마당놀이 과정에서 겪는 유아들의 경험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 현상학적 연구로서, 유치원 교실의 자유선택 활동, 이야기나누기, 국악놀이, 마당놀이 공연 등에 관한 참여 관찰과 서술기록을 통해 2014년 4월부터 7월까지 4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만 5세 26명의 하늘반 유아들의 마당놀이 경험을 담았다. 하늘반 유아들의 마당놀이 경험은 첫째,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우리 악기, 춤 등의 국악과 함께 하는 유아들의 경험으로 시작된다. 둘째, 유아들은 주제와 국악을 연결한다. 셋째, 유아들은 마당놀이를 통해 모두가 함께 하며, 마당놀이의 역할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경험을 한다. 넷째, 유아들은 많은 경험과 놀이로 만들어진 마당놀이를 새롭게 변형한다. 다섯째, 유아들은 마당놀이를 통해 협동을 경험을 한다. 여섯째, 엄마, 아빠 혹은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을 통해 유아들은 성취감을 경험한다. 이 같은 경험들은 유아에게 있어 복잡하지만 구체적으로 유아의 놀이에 재창조를 이끌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유아들의 마당놀이는 이런 현상학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유아들의 삶의 변화와 총체적인 방법으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연구되어야 한다는 접근 방법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while five-year-old children in Sky class through Ma-dang play. This study had been executed for four months, from April to July, through close observation and written documents while having free-choice activities time, story telling,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and Ma-dang play. Here we show the experiences of 5-year-old 26 children in Sky class. The first, outdoor activity is started with childrens experiences with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s such as Korean musical instruments or dances during free-choice activities time. Second, the children can do experiences connecting the subject with Ma-dang play. Third, the children can think that Ma-dang play is played together with others and also the roles in that Ma-dang play are important. Fourth, the children change the Ma-dang play that is made with a lot of experiences and plays to new plays. Fifth, the children can learn cooperative spirit through Ma-dang play. Sixth, the children may feel a sense of achievement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ir mother, father or others. These experiences tells us that they lead re-creation of childrens play in complicated but concrete ways. Therefore, I propose that children Ma-dang play should be observed in a way that deals with the change of their lives and overall mean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phenomenological stud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while five-year-old children in Sky class through Ma-dang play. This study had been executed for four months, from April to July, through close observation and written documents w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while five-year-old children in Sky class through Ma-dang play. This study had been executed for four months, from April to July, through close observation and written documents while having free-choice activities time, story telling,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and Ma-dang play. Here we show the experiences of 5-year-old 26 children in Sky class. The first, outdoor activity is started with childrens experiences with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s such as Korean musical instruments or dances during free-choice activities time. Second, the children can do experiences connecting the subject with Ma-dang play. Third, the children can think that Ma-dang play is played together with others and also the roles in that Ma-dang play are important. Fourth, the children change the Ma-dang play that is made with a lot of experiences and plays to new plays. Fifth, the children can learn cooperative spirit through Ma-dang play. Sixth, the children may feel a sense of achievement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ir mother, father or others. These experiences tells us that they lead re-creation of childrens play in complicated but concrete ways. Therefore, I propose that children Ma-dang play should be observed in a way that deals with the change of their lives and overall mean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phenomenological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만 5세 하늘반 유아의 마당놀이 경험
      • Ⅳ. 결론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만 5세 하늘반 유아의 마당놀이 경험
      • Ⅳ. 결론
      • Bibliography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실, "유아기 감상교육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0 (10): 85-117, 2003

      2 Lee, Y. M., "The principle and characteristic of Madanggeuk Style" Sigongsa 2002

      3 Lim, K. A.,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CBA to young children's Madang nori and its educational effec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2008

      4 Jo, E. J., "The influence of madang play upon young children's sociality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2010

      5 Choi, Y. H., "The effect of traditional ground pla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physical strength"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1

      6 Kim, B. O., "Stylization problems of Madang-guk" Korean Theater Studies Association 6 (6): 65-, 1981

      7 Jun, G. I., "Phenomenological study of phenomenological study in free activitie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University 2013

      8 MINISTRY OF EDUCATION, "Outline of Nuri process by age from 3 to 5 year-old"

      9 Yoo, H. R., "Minority Kids' Life in Nursery Schools: A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2 (2): 139-170, 1999

      10 Seo, Y. H., "Game culture and Festival-Nolimadang. Modern possibility of Madangnori"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1996

      1 김인실, "유아기 감상교육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0 (10): 85-117, 2003

      2 Lee, Y. M., "The principle and characteristic of Madanggeuk Style" Sigongsa 2002

      3 Lim, K. A.,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CBA to young children's Madang nori and its educational effec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2008

      4 Jo, E. J., "The influence of madang play upon young children's sociality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2010

      5 Choi, Y. H., "The effect of traditional ground pla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physical strength"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1

      6 Kim, B. O., "Stylization problems of Madang-guk" Korean Theater Studies Association 6 (6): 65-, 1981

      7 Jun, G. I., "Phenomenological study of phenomenological study in free activitie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University 2013

      8 MINISTRY OF EDUCATION, "Outline of Nuri process by age from 3 to 5 year-old"

      9 Yoo, H. R., "Minority Kids' Life in Nursery Schools: A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2 (2): 139-170, 1999

      10 Seo, Y. H., "Game culture and Festival-Nolimadang. Modern possibility of Madangnori"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1996

      11 Bori, "A Korean language dictionary of bori" Bori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컨텐츠기술연구원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5 1.463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