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노동시장 권역 식별과 그 정책적 함의 : 경남 지역의 사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409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남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노동시장 권역의 식별을 시도하였다. 통계청의 지역별고용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근권을 기준으로 지역노동시장 권역을 식별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경남 지역의 18개 시군을 기초 공간 단위로 하고, 중심 권역과의 유출입 이동 건수를 고려하여 단계별로 권역 을 알아본 결과, 5개 지역노동시장 권역이 잠정적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수요자급률, 공급자급률, 거주지- 근무지 비율 등과 같은 노동이동 지수를 중심으로 5개 지역노동시장 권역에 대한 노동이동을 분석하였다 . 또한 지역노동시장 권역 설정에 따른 외부 효과의 내재화, 규모의 경제 실현, 지자체의 조직과 예산의 정 비, 노동시장정보망 등에 관한 정책 함의를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경남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노동시장 권역의 식별을 시도하였다. 통계청의 지역별고용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근권을 기준으로 지역노동시장 권역을 식별하는 방법을...

      본 연구는 경남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노동시장 권역의 식별을 시도하였다. 통계청의 지역별고용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근권을 기준으로 지역노동시장 권역을 식별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경남 지역의 18개 시군을 기초 공간 단위로 하고, 중심 권역과의 유출입 이동 건수를 고려하여 단계별로 권역 을 알아본 결과, 5개 지역노동시장 권역이 잠정적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수요자급률, 공급자급률, 거주지- 근무지 비율 등과 같은 노동이동 지수를 중심으로 5개 지역노동시장 권역에 대한 노동이동을 분석하였다 . 또한 지역노동시장 권역 설정에 따른 외부 효과의 내재화, 규모의 경제 실현, 지자체의 조직과 예산의 정 비, 노동시장정보망 등에 관한 정책 함의를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regionalization exercise with the aim of identifying local labor market areas in Kyeongnam Province. Using a set of micro-data from the NSO’s Regional Employment Survey, it draws on the regionalization method to define Travel-to-Work Areas. The regionalizatipn process is carried out in several stages which include defining eighteen cities and counties in Kyeongnam Province as base spatial units, and considering the number of commuters between central foci and each base spatial unit. As a result, five local labor market areas can be allocated in Kyeongnam Province. Centering on labor mobility indices such as demand-side self containment ratio, supply-side self containment ratio, and housing or working ratio, labor mobility in five local labor market areas are examined. Finally, it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of internalization of external effect, economies of scale, restructuring of organization and budget in local governments, and labor market information network.
      번역하기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regionalization exercise with the aim of identifying local labor market areas in Kyeongnam Province. Using a set of micro-data from the NSO’s Regional Employment Survey, it draws on the regionalization method to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regionalization exercise with the aim of identifying local labor market areas in Kyeongnam Province. Using a set of micro-data from the NSO’s Regional Employment Survey, it draws on the regionalization method to define Travel-to-Work Areas. The regionalizatipn process is carried out in several stages which include defining eighteen cities and counties in Kyeongnam Province as base spatial units, and considering the number of commuters between central foci and each base spatial unit. As a result, five local labor market areas can be allocated in Kyeongnam Province. Centering on labor mobility indices such as demand-side self containment ratio, supply-side self containment ratio, and housing or working ratio, labor mobility in five local labor market areas are examined. Finally, it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of internalization of external effect, economies of scale, restructuring of organization and budget in local governments, and labor market information networ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머리말
      • Ⅱ. 선행연구 및 방법론
      • 2.1 선행연구
      • 2.2 방법론
      • 요약
      • Ⅰ. 머리말
      • Ⅱ. 선행연구 및 방법론
      • 2.1 선행연구
      • 2.2 방법론
      • Ⅲ. 분석 결과
      • 3.1 시군별 노동이동 지수
      • 3.2 지역노동시장 권역별 노동이동
      • Ⅳ. 정책 함의
      • 4.1 지역 경제정책의 대상
      • 4.2 규모의 경제 실현
      • 4.3 관련 조직과 예산의 정비
      • 4.4 노동시장정보망의 구축과 활용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