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치적 이슈에 관한 TV 시청이 사적/공적 의견 표명에 미치는 영향 = Impacts of issue-related television viewing on the opinion expression on the private and public le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187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information-seeking television viewing, regarding the issue of the US deployment of THAAD missiles in Korean territory, affects citizens’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and then influences their attitudes toward opinion expression both on the private and public level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information-seeking television viewing exerts positive impact on the subjective knowledge. Also, the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has positive impact on the opinion expression both on the private and public levels. The attitudes of audience tend to be relatively more positive to the private opinion expression than public one. As the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increase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ttitudes to the private and public expression strengthens accordingly. In other words, the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has stronger influences on the private expression than on the public on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also explored.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information-seeking television viewing, regarding the issue of the US deployment of THAAD missiles in Korean territory, affects citizens’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and then influences their attitudes toward opinio...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information-seeking television viewing, regarding the issue of the US deployment of THAAD missiles in Korean territory, affects citizens’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and then influences their attitudes toward opinion expression both on the private and public level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information-seeking television viewing exerts positive impact on the subjective knowledge. Also, the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has positive impact on the opinion expression both on the private and public levels. The attitudes of audience tend to be relatively more positive to the private opinion expression than public one. As the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increase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ttitudes to the private and public expression strengthens accordingly. In other words, the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has stronger influences on the private expression than on the public on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also explo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가상준, "한국사회 정치관용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5 (25): 273-298, 2010

      2 허윤철, "필리버스터 시기 TV를 통한 이슈 접촉이 이슈 중요성지각과 대면/온라인 의견 표출에 미친 영향" 한국방송학회 (105) : 118-147, 2019

      3 황유선, "트위터 이용이 사회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전통 미디어 이용, 정치 관심, 트위터 이용 패턴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5 (55): 56-81, 2011

      4 이효성, "텔레비전, 신문, 인터넷 이용이 유권자의 정치지식, 16대 대선관심, 정치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11 (11): 29-63, 2003

      5 황유선, "진보적 정치 성향과 정치 지식은 정치 대화를 촉진하는가? : 트위터 매개 정치 대화와 트위터 연계 정치 대화에 관한 영향력 탐색" 한국언론학회 57 (57): 221-248, 2013

      6 한혜경, "지역 뉴스 이용과 지역 정치 참여 : 지역 뉴스 주목도와 신문 구독 유형이 부산 시민의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0 (50): 384-408, 2006

      7 이재신, "정치정보 습득, 관여도, 정치적 불만과정치참여 유형의 관계" 한국언론학회 53 (53): 183-205, 2009

      8 이정기, "정치 팟캐스트 이용이 온ㆍ오프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의 정치 팟캐스트 이용동기, 정치심리변인, 온ㆍ오프라인 정치참여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163-189, 2012

      9 김현정, "정치 예능 프로그램이 정치 지식과 정치 효능감을 통해 정치적 행동 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의 조절 효과: <썰전>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43) : 83-105, 2016

      10 김세준, "정보원, 메시지의 유형 및 수신자 성향에 따른 구전효과 연구 - 영화에 대한 온라인 비평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96) : 100-136, 2013

      1 가상준, "한국사회 정치관용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5 (25): 273-298, 2010

      2 허윤철, "필리버스터 시기 TV를 통한 이슈 접촉이 이슈 중요성지각과 대면/온라인 의견 표출에 미친 영향" 한국방송학회 (105) : 118-147, 2019

      3 황유선, "트위터 이용이 사회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전통 미디어 이용, 정치 관심, 트위터 이용 패턴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5 (55): 56-81, 2011

      4 이효성, "텔레비전, 신문, 인터넷 이용이 유권자의 정치지식, 16대 대선관심, 정치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11 (11): 29-63, 2003

      5 황유선, "진보적 정치 성향과 정치 지식은 정치 대화를 촉진하는가? : 트위터 매개 정치 대화와 트위터 연계 정치 대화에 관한 영향력 탐색" 한국언론학회 57 (57): 221-248, 2013

      6 한혜경, "지역 뉴스 이용과 지역 정치 참여 : 지역 뉴스 주목도와 신문 구독 유형이 부산 시민의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0 (50): 384-408, 2006

      7 이재신, "정치정보 습득, 관여도, 정치적 불만과정치참여 유형의 관계" 한국언론학회 53 (53): 183-205, 2009

      8 이정기, "정치 팟캐스트 이용이 온ㆍ오프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의 정치 팟캐스트 이용동기, 정치심리변인, 온ㆍ오프라인 정치참여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163-189, 2012

      9 김현정, "정치 예능 프로그램이 정치 지식과 정치 효능감을 통해 정치적 행동 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의 조절 효과: <썰전>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43) : 83-105, 2016

      10 김세준, "정보원, 메시지의 유형 및 수신자 성향에 따른 구전효과 연구 - 영화에 대한 온라인 비평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96) : 100-136, 2013

      11 김현정, "이슈에 대한 지식 정도와 자기제시 성향이 온라인 의견표명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온라인 토론 문화를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15) : 113-149, 2018

      12 김나은, "온라인 관광 구전정보품질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9 (19): 59-79, 2010

      13 양승찬, "여성의 미디어 이용과 정치지식 · 정치참여와의 관계 연구 : 2004년 17대 국회의원 선거를 배경으로" 한국방송공사 16 (16): 173-7, 2004

      14 정일권, "여론조사 보도가 여론지각과 의견표명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성형수술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11) : 157-194, 2009

      15 박승관, "숙의민주주의와 시민성의 의미" 45 (45): 162-194, 2000

      16 김춘식, "선거 뉴스와 미디어선거캠페인 노출이 정치 지식과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오프라인·온라인 시민 정치커뮤니케이션의 매개 역할 검증"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215-250, 2013

      17 장윤재, "발화상황의 공공성, 의견표명의지,커뮤니케이션 효능성의 관계" 한국언론학회 51 (51): 172-198, 2007

      18 금희조, "미디어를 통한 뉴스 이용과 대화가 정치 지식, 효능감, 참여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의 종류와 대화 채널의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452-481, 2015

      19 전혜진, "미디어 이용이 북한 핵문제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8 (18): 221-251, 2014

      20 문성철, "대통령 선거 토론 프로그램 시청이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방송학회 23 (23): 131-169, 2009

      21 조성동, "다매체 수용자의 장르 선호와 장르 이용에 따른정치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4 (54): 362-386, 2010

      22 강내원, "뉴스 이용이 국내외 정치사회적 관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0 (50): 277-304, 2006

      23 민정식, "뉴스 미디어별 노출정도가 정치지식과 인지복합성, 개인의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11 (11): 63-90, 2011

      24 진홍근, "광고 메시지 프레이밍 및 지식 유형에 따른 기억정보처리 과정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3 (13): 482-508, 2011

      25 송종길, "공직후보 TV토론 이용 동기가 유권자의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지역 유권자들의 정치적 지식과 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440-460, 2006

      26 Shah, D. V.,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with civic life : Patterns of internet use and the production of social capital" 18 : 141-162, 2001

      27 Hollander, B. A., "the new news and the 1992 presidential campaign: Perceived vs. actual political knowledge" 72 (72): 786-798, 1995

      28 Price, V., "Who gets the news? Alternative measures of news reception and their implications for research" 57 (57): 133-164, 1993

      29 Drew, D., "Voter learning in the 2004 presidential election: Did the media matter?" 83 (83): 25-42, 2006

      30 Weaver, D., "Voter learning in the 1990 off-year election: Did the media matter?" 70 : 356-368, 1993

      31 Weaver, D., "Voter learning and interest in the 2000 presidential election: Did the media matter?" 78 : 787-798, 2001

      32 Sotirovic, M., "Values, communication behavior, and political participation" 18 (18): 273-300, 2001

      33 Leshner, G., "Using TV news for political information during an off-year election : Effects on political knowledge and cynicism" 74 (74): 69-84, 1997

      34 Scheufele, D., "Twenty-five years of the spiral of silence : A conceptual review and empirical outlook" 12 (12): 3-28, 2000

      35 Campbell, A., "The voter decides" Row, Peterson & Company 1954

      36 Davison, W. P., "The third-person effect in communication" 47 (47): 1-15, 1983

      37 Noelle-Neumann, E., "The spiral of silence : A theory of public opinion" 24 (24): 43-51, 1974

      38 McLeod, J. M., "The process of political thinking: Examining predictors of conceptual knowledge during the 1996 presidential campaign" 1996

      39 Johnson, T. J., "The press and the not-somean streets :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news media on public knowledge of crime rates" 9 (9): 182-202, 2001

      40 Duck, J. M., "The perceived influence of AIDS advertising : Third-person effects in the context of positive media content" 17 (17): 305-325, 1995

      41 Smith, A., "The internet’s role in campaign 2008. Washington DC: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42 Liu, Y., "The impact of news use and news content characteristics on political knowledge and participation" 16 (16): 1-25, 2013

      43 Proctor, J. L., "The impact of media on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Megan’s Law" 13 (13): 356-379, 2002

      44 Brucks, M., "The effect of product class knowledge on information search behavior" 12 : 1-16, 1985

      45 송종길, "TV토론에 대한 제3자 효과이론 검증과침묵의 나선이론 접목: 2014년 서울시장 선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35) : 5-29, 2014

      46 Lee, N. J., "Processes of political socialization : A communication mediation approach to youth civic engagement" 40 (40): 669-697, 2013

      47 Lasorsa, D. L., "Political outspokenness: Factors working against the spiral of silence" 68 (68): 131-140, 1991

      48 Chaffee. S. H., "Political knowledge and the campaign media of 1992" 21 : 305-324, 1994

      49 Fraile, M., "Not all news sources are equally informative : A crossnational analysis of political knowledge in Europe" 19 (19): 275-294, 2014

      50 Clarke, P., "Newspapers, television and political reasoning" 42 : 143-160, 1978

      51 Perry, D. K., "News reading, knowldege about, and attitudes toward foreign countries" 67 : 353-358, 1990

      52 Pan, Z., "News media exposure and its learning effects during the Persian Gulf War" 71 (71): 7-19, 1994

      53 Xenos, M. A., "New media use and the informed public in the digital age" 12 : 706-724, 2018

      54 Delli Carpini, M. X., "Measuring political knowledge : Putting first things first" 37 (37): 1179-1206, 1993

      55 Martinelli, K. A., "Measuring new-voter learning via three channels of political information" 72 (72): 18-32, 1995

      56 Johnson, T. J., "Measure for measure :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broadcast types, formats, measures and political behaviors and cognitions" 44 (44): 43-61, 2000

      57 Stroman, C. A., "Mass media use and knowledge of AIDS" 66 : 881-887, 1989

      58 Craig, S. C., "Issue-related learning in a gubernatorial campaign : A panel study" 22 : 483-503, 2005

      59 Kitchens, J. T., "Information, please? Information seeking, mass media, and the undecided voter" 20 (20): 73-80, 2003

      60 Willnat, L., "Individual-level predictions of public outspokenness : A test of the spiral of silence theory in Singapore" 14 (14): 391-412, 2002

      61 Hallahan, K., "Inactive publics : the forgotten publics in public relations" 26 (26): 499-515, 2000

      62 Culbertson, H. M., "How media use and reliance affect knowledge level" 13 (13): 579-602, 1986

      63 Park, C. W., "Familiarity and its impact on consumer decision biases and heuristics" 8 : 223-231, 1981

      64 Pingree, R. J., "Effects of unresolved factual disputes in the news on epistemic political efficacy" 61 : 22-47, 2011

      65 Becker, L. B., "Effects of media dependencies on audience assessment of government" 7 : 95-120, 1980

      66 Bobo, L., "Education and political tolerance : Testing the effects of cognitive sophistication and target group affect" 53 : 285-308, 1989

      67 Strömbäck, J., "Does public service TV and the intensity of the political information environment matter?" 18 (18): 1415-1432, 2017

      68 Jenssen, A. T., "Does public broadcasting make a difference? Political knowledge and electoral campaigns on television" 32 (32): 247-271, 2009

      69 Kenski, K., "Connections between Internet use and political efficacy, knowledge, and participation" 50 (50): 173-192, 2006

      70 Eveland, W. P. Jr., "Connecting news media use with gaps in knowledge and participation" 17 : 215-237, 2000

      71 McLeod, J. M., "Community,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 The role of mass media and interpersonal discussion in local political participation" 16 (16): 315-336, 1999

      72 Shah, D. V., "Communication, Context, and Community : An Exploration of Print, Broadcast, and Internet Influences" 28 (28): 464-506, 2001

      73 Zhao, X., "Campaign advertisements versus television news as sources of political issue information" 59 (59): 41-65, 1995

      74 Shah, D. V., "Campaign ads, online messaging, and participation : Extending the communication mediation model" 57 (57): 676-703, 2007

      75 McLeod, J. M., "Beyond simple exposure : Media orientations and their impact on political processes" 12 : 3-34, 1985

      76 Eveland, W. P. Jr., "Assessing causality in the cognitive mediation model : A panel study of motivations, information processing, and learning during campaign 2000" 30 (30): 359-386, 2003

      77 Shehata, A., "Active or passive learning from television? Political information opportunities and knowledge gaps during election campiagns" 23 (23): 200-222, 2013

      78 권혁남, "2010 지방선거에서 미디어 이용과 TV토론관심시청이 정치효능감, 투표행위에 미치는 효과연구" 한국언론학회 55 (55): 126-151, 2011

      79 Boyle, T. P., "2008 presidential campaign media predictors : Interest, issue knowledge and candidate likeability" 21 : 95-107, 2013

      80 송종길, "17대 대통령 후보 TV토론이 유권자의 태도변화 및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3 (53): 87-103,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Broadcasting Studies -> Korean Association for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09 1.64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