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세기 고구려의 평양 이동 및 이남지역으로의 진출은 미천왕대 낙랑군과 대방군이 고구려의 영역으로 들어오면서 본격화된다. 그리하여 고구려는 고국원왕대에 백제와 전쟁을 벌이게 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23431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5-62(2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4?6세기 고구려의 평양 이동 및 이남지역으로의 진출은 미천왕대 낙랑군과 대방군이 고구려의 영역으로 들어오면서 본격화된다. 그리하여 고구려는 고국원왕대에 백제와 전쟁을 벌이게 되...
4?6세기 고구려의 평양 이동 및 이남지역으로의 진출은 미천왕대 낙랑군과 대방군이 고구려의 영역으로 들어오면서 본격화된다. 그리하여 고구려는 고국원왕대에 백제와 전쟁을 벌이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고구려와 백제의 관계는 최악에 이른다. 이후 고구려의 광개토태왕은 즉위하자마자 백제의 한성으로 진군하여 관미성을 비롯한 백제의 여러 성을 수중에 넣는 등 대승을 거둔다. 고구려는 그 당시 줄곧 백제의 영향권에 있었던 한강유역뿐 아니라 신라 및 가야까지 영향권에 둘 수 있는 남한강유역으로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그러나 고구려는 한강유역을 완전히 수중에 넣는다거나 남한강유역 전역을 차지하지는 않았다. 다만 강과 같은 물줄기나 산자락을 따라 주요 거점성을 마련하여 그곳을 기반으로 고구려의 영향권에 두었을 뿐이다. 그러나 신라 진흥왕 이후에는 고구려의 남경이 임진강 이북으로 밀려나게 된다.
다음으로 4?6세기 고구려의 지방통치는 대체로 내외평제와 3경 5부 및 성곡촌제와 주군현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3경과 5부, 내평과 외평은 평양 천도 이후 본격적으로 시행되었고, 성곡촌제는 4세기 이전부터 시행되어오다가 4세기 이후 고구려의 주요 지방통치체제로서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고구려 주군현제의 도입 및 시행 여부와 관련해서 고구려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평양 이북의 서북방지역에서는 성주를 중심으로 한 군현제가 시행되고, 그 이남지역에서는 성을 거점으로 하여 군현이 설치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군현제의 도입 시점은 평양지역을 공취한 미천왕대 이후이고 고국원왕대를 거쳐 불교를 공식화하고 율령을 반포한 소수림왕대에 주군현제가 확립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광개토태왕과 장수왕대에는 한강 이남지역으로 진출하면서 이를 좀 더 확대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rocess of territorial expansion in Goguryeo from fourth to sixth century had been advanced at the south and east areas of the Pyeongyang being situated the power of Chinese district and Baekje as well as the northwest and northeast being continued ...
A process of territorial expansion in Goguryeo from fourth to sixth century had been advanced at the south and east areas of the Pyeongyang being situated the power of Chinese district and Baekje as well as the northwest and northeast being continued from the establishment of a state. Then the Goguryeo had gone to war against the Baekje, in this process both nations extended to the worst.
By the way, in spite of the Goguryeo had made an attack on the capital of the Baekje, and captured or put to the Baekje’s King death, it had not occupied perfectly the basin of the Han River. Merely, the Goguryeo had established a major stronghold along the stream or mountain range like river, and just put in the influencing power of the Goguryeo being founded on there.
Among the Goguryeo’s local government system from fourth to sixth century, the system of the castle·valley·village had been extended on the Goguryeo’s local government system after the fourth century coming into force since the fourth century. The other side, the system of the state·county·district had been gradually extended introducing in obtaining the Pyeongyang, and this had been a little more enlarged after advancing to the area south of the Han Riv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영진, "「풍납토성의 역사적 의미와 연구과제」 동북아시아 속의 풍납토성" 2012
2 "梁書"
3 田村晃一, "樂浪と高句麗の考古學" 同成社 2001
4 김문수, "한수의 개념과 고구려 남평양의 고찰" 구리문화원 1995
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5‒삼국의 정치와 사회Ⅰ‒고구려" 1996
6 오순제, "하북위례성과 하남위례성의 고찰" 62 : 2002
7 신희권, "풍납토성 발굴조사를 통한 하남위례성 고찰" (62) : 2002
8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 탑평리 유적(중원경 추정지)"
9 김창호, "중원고구려비의 건립연대" 10 : 2000
10 고구려연구회, "중원고구려비 연구" 학연문화사 2000
1 임영진, "「풍납토성의 역사적 의미와 연구과제」 동북아시아 속의 풍납토성" 2012
2 "梁書"
3 田村晃一, "樂浪と高句麗の考古學" 同成社 2001
4 김문수, "한수의 개념과 고구려 남평양의 고찰" 구리문화원 1995
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5‒삼국의 정치와 사회Ⅰ‒고구려" 1996
6 오순제, "하북위례성과 하남위례성의 고찰" 62 : 2002
7 신희권, "풍납토성 발굴조사를 통한 하남위례성 고찰" (62) : 2002
8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 탑평리 유적(중원경 추정지)"
9 김창호, "중원고구려비의 건립연대" 10 : 2000
10 고구려연구회, "중원고구려비 연구" 학연문화사 2000
11 백남운, "조선사회경제사" 범우사 1989
12 차용걸, "위례성과 한성에 대하여(Ⅰ)" 39 : 1981
13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역주한국고대금석문 ‒제1권 고구려·백제·낙랑 편‒" 1992
14 양주문화원, "양주향토자료총서 제4집" 양주군·양주문화원 2001
15 이도학, "아차산의 역사와 문화유산" 구리시·구리문화원 1994
16 장준식, "신라중원경연구" 학연문화사 1988
17 이도학, "손보기 박사 정년기념 한국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8
18 김정학, "서울근교의 백제유적" 39 : 1981
19 김영관, "백제의 웅진천도 배경과 한성경영" 11·12 : 2000
20 조효식, "백제와 주변세계" 진인진 2012
21 王志高, "동북아시아 속의 풍납토성" 2012
22 오영찬, "낙랑군 연구" 사계절출판사 2006
23 이인철, "광개토호태왕비 연구100년" 1999
24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모시는사람들 2005
25 이도학, "고구려의 역사와 대외관계" 서경 2006
26 김미경, "고구려의 낙랑·대방지역 진출과 그 지배형태" 17 : 1996
27 김정배, "고구려와 신라의 영역문제" 61·62 : 1988
28 손영종, "고구려사"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0
29 임기환, "고구려 평양 도성의 정치적 성격" 한국사연구회 (137) : 1-32, 2007
30 이종욱, "고구려 초기의 지방통치제도" 94·95 : 1982
31 林起煥, "고구려 집권체제 성립과정의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5
32 최희수, "고구려 지방통치 운영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9
33 오강원, "고구려 일대 평양유적" 고구려연구재단 2005
34 오강원, "고구려 안학궁 조사 보고서" 고구려연구재단 2006
35 임기환, "고구려 신라의 한강 유역 경영과 서울" 서울학연구소 (18) : 1-33, 2002
36 최승택, "고구려 남부 부수도로서의 위성방위체계" (4) : 2000
37 최몽룡,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본 백제 초기의 영역고찰" 천관우 선생환역기념 한국사학논총 1985
38 최종택, "고고학상으로 본 고구려의 한강유역 진출과 백제" 28 : 1998
39 "魏書"
40 "高慈墓誌"
41 노중국, "高句麗律令에 關한 一試論" 21 : 1979
42 신형식, "高句麗史"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3
43 이용범, "韓滿交流史 硏究" 동화출판공사 1989
44 황수영, "韓國金石遺文" 일지사 1976
45 "隋書"
46 "翰苑"
47 박찬규, "百濟 熊津初期 北境問題" 단국사학회 24 : 1991
48 梅原末治, "朝鮮古代文化綜鑑 3" 1959
49 "晋書"
50 朝鮮古蹟硏究會, "昭和十二年度古蹟調査報告" 1938
51 朝鮮總督府, "昭和七年度古蹟調査報告 第1冊" 1933
52 "日本書紀"
53 "新增東國輿地勝覽"
54 "文獻備考"
55 전주농, "文化遺産"
56 박시형, "廣開土王陵碑" 푸른나무 2007
57 "廣開土太王陵碑"
58 崔熙洙, "平壤 遷都 이후의 高句麗 地方統治制度" 西江大學校 大學院 1991
59 "宋書"
60 "太平寰宇記"
61 "大韓疆域考"
62 "大東地志"
63 "唐書"
64 "周書"
65 朝鮮總督府, "古蹟調査特別報告 第4冊" 1927
66 朝鮮總督府, "古蹟調査特別報告 第1冊" 1919
67 "北史"
68 김락기, "京畿남부 지역 소재 高句麗 郡縣의 의미 -문헌 자료와 고고학 자료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고구려발해학회 20 : 99-120, 2005
69 국사편찬위원회, "中國正史 朝鮮傳 譯註(1)" 1987
70 "中原高句麗碑"
71 "三國遺事"
72 "三國志"
73 "三國史記"
74 성원식, "『대동지지』의 '십군' 비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6
75 김태식, "《三國史記》地理志 高句麗條의 사료적 검토" 154 : 1997
76 박성현, "6세기 초 고구려 ` 신라의 화약과 정계 -「중원 고구려비」와 양국 경계의 재검토 -" 한국역사연구회 (76) : 203-237, 2010
77 서영일, "6‒7世紀 高句麗 南境 考察" 11 : 2001
78 조우연, "4∼5세기 고구려 정치체제" 고구려발해학회 28 : 133-166,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3-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 -> 한국학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03-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7-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외국어명 : Korean Studies Quarterly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9 | 0.82 | 1.267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