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디오 객체 정의에 의한 동적 증강 정보 저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616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증강현실에서 움직이는 가상 모델을 증강물로 활용하려면 대개 별도의 모델링이나 애니메이션 도구 사용이 필요하며 이는 매우 전문적이고 복잡한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과정 없이 동적 가상 객체를 증강 환경에 삽입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비디오 객체 기반 저작 방법을 제시한다. 그랩컷과 그로컷을 통합 적용하여 대상물의 초기 영역을 분리한 후, 스냅컷을 이용해 프레임간 경계선 변화를 자동 추적하여 동작이 담긴 연속 프레임을 실사 비디오에 증강하는 방식이다. 실험결과로, 몇 단계의 메뉴 선택과 경계선 오류 정정 스케치만으로 특정 비디오 객체 컷아웃 및 증강 객체 저작이 가능함을 보였다.
      번역하기

      증강현실에서 움직이는 가상 모델을 증강물로 활용하려면 대개 별도의 모델링이나 애니메이션 도구 사용이 필요하며 이는 매우 전문적이고 복잡한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과정 없...

      증강현실에서 움직이는 가상 모델을 증강물로 활용하려면 대개 별도의 모델링이나 애니메이션 도구 사용이 필요하며 이는 매우 전문적이고 복잡한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과정 없이 동적 가상 객체를 증강 환경에 삽입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비디오 객체 기반 저작 방법을 제시한다. 그랩컷과 그로컷을 통합 적용하여 대상물의 초기 영역을 분리한 후, 스냅컷을 이용해 프레임간 경계선 변화를 자동 추적하여 동작이 담긴 연속 프레임을 실사 비디오에 증강하는 방식이다. 실험결과로, 몇 단계의 메뉴 선택과 경계선 오류 정정 스케치만으로 특정 비디오 객체 컷아웃 및 증강 객체 저작이 가능함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generally required to use modeling or animation tools for inserting dynamic objects into augmented reality, and this process demands high expertise and complexity. This paper proposes a video object based authoring method that enables augmentation with dynamic video objects without such process. Integrated grab-cut and grow-cut method strips initial area of video target off the existing video clips, and snap-cut method is then applied to track objects’ boundaries over frames so as to augment real world with continuous motion frames. Experiment shows video cut-out and authoring results achieved by only a few menu selections and simple correcting sketch.
      번역하기

      It is generally required to use modeling or animation tools for inserting dynamic objects into augmented reality, and this process demands high expertise and complexity. This paper proposes a video object based authoring method that enables augmentati...

      It is generally required to use modeling or animation tools for inserting dynamic objects into augmented reality, and this process demands high expertise and complexity. This paper proposes a video object based authoring method that enables augmentation with dynamic video objects without such process. Integrated grab-cut and grow-cut method strips initial area of video target off the existing video clips, and snap-cut method is then applied to track objects’ boundaries over frames so as to augment real world with continuous motion frames. Experiment shows video cut-out and authoring results achieved by only a few menu selections and simple correcting sket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
      • Ⅲ. 비디오 기반 동적 객체 정의 알고리즘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
      • Ⅲ. 비디오 기반 동적 객체 정의 알고리즘
      • Ⅳ. 구현 및 실험 결과
      • Ⅴ. 결론 및 향후 연구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명걸, "모션 패치" 한국정보과학회 33 (33): 119-127, 2006

      2 이정규, "모바일 환경 증강현실 콘텐츠 현장 저작 인터페이스" 한국콘텐츠학회 10 (10): 1-9, 2010

      3 "http://www.hitl.washington.edu/artoolkit/"

      4 "http://www.artoolworks.com/community/ osgart/"

      5 X. Bai, "Video Snapcut: robust video object cutout using localized classifiers" 28 (28): 70:1-70:11, 2009

      6 N. Saforrudin, "Technical Skills in Developing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Teachers’ Readiness" 7067 : 360-370, 2011

      7 N. Braun, "Storytelling in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2003

      8 J. Jung, "Smart phone as an Augmented Reality Authoring Tool via Multi-touch based 3D Interaction Method" 17-20, 2012

      9 G. Klein, "Parallel Tracking and Mapping for Small AR Workspaces" 225-234, 2007

      10 R. A. Newcombe, "Live dense reconstruction with a single moving camera" CVPR 2010-,

      1 최명걸, "모션 패치" 한국정보과학회 33 (33): 119-127, 2006

      2 이정규, "모바일 환경 증강현실 콘텐츠 현장 저작 인터페이스" 한국콘텐츠학회 10 (10): 1-9, 2010

      3 "http://www.hitl.washington.edu/artoolkit/"

      4 "http://www.artoolworks.com/community/ osgart/"

      5 X. Bai, "Video Snapcut: robust video object cutout using localized classifiers" 28 (28): 70:1-70:11, 2009

      6 N. Saforrudin, "Technical Skills in Developing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Teachers’ Readiness" 7067 : 360-370, 2011

      7 N. Braun, "Storytelling in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2003

      8 J. Jung, "Smart phone as an Augmented Reality Authoring Tool via Multi-touch based 3D Interaction Method" 17-20, 2012

      9 G. Klein, "Parallel Tracking and Mapping for Small AR Workspaces" 225-234, 2007

      10 R. A. Newcombe, "Live dense reconstruction with a single moving camera" CVPR 2010-,

      11 C. J. Armstrong, "Interactive segmentation of image volumes with live surface" 31 (31): 212-229, 2007

      12 A. van den Hangel, "In Situ Image-based Modeling" 107-110, 2009

      13 V. Vezhnevets, "GrowCut: Interactive Multi-Label N-D Image Segmentation By Cellular Automata" 150-156, 2005

      14 C. Rother, "Grabcut - interactive foreground extraction using iterated graph cut" 309-314, 2004

      15 D. G. Lowe, "Distinctive image features from scale-invariant keypoints" 60 (60): 91-110, 2004

      16 X. Bai, "A geodesic framework for fast interactive image and video segmentation and matting" 1 (1): 1-8,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