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집논문 : 호남학(湖南學) : 어느 철학자의 비전과 그 후 50년 = Honam Study(湖南學): The vision of a philosopher and about 50 years afterwar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134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철학 분야를 중심으로 호남학연구원의 50년에 걸친 학술적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다음 세 가지 논제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첫째 연구원의 창설에 기여한 철학자 이을호의 호남학에 대한 철학적 비전을 돌이켜 본다. 둘째, 철학 사상 분야에 국한해서 그 동안 이루어진 연구 성과의 제반 양상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셋째, 이상의 논의를 배경으로 호남의 지역적 자장 속에서 “철학자들은 자신들이 디디고 사는 곳을 자신의 고유한 학술 활동 속에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하는 질문을 다룬다. 앞으로 호남학연구원의 철학적 발전은 바로 여기에 대해 대답하려고 시도하는 철학자들의 노력 여하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이 질문을 중요시 하지 않는 철학자에게 호남학이 철학적 탐구의 주제로 부상하리라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 이런 점에서 50년 전의 이을 호로부터 50년 후의 우리는 어디까지 나아왔으며, 앞으로 또 어디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호남의 유교문화권이란 개념과 최근에 나타난 인문한국 사업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철학 분야를 중심으로 호남학연구원의 50년에 걸친 학술적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다음 세 가지 논제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첫째 연구원의 창설에 기여한 철학자 ...

      이 글은 철학 분야를 중심으로 호남학연구원의 50년에 걸친 학술적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다음 세 가지 논제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첫째 연구원의 창설에 기여한 철학자 이을호의 호남학에 대한 철학적 비전을 돌이켜 본다. 둘째, 철학 사상 분야에 국한해서 그 동안 이루어진 연구 성과의 제반 양상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셋째, 이상의 논의를 배경으로 호남의 지역적 자장 속에서 “철학자들은 자신들이 디디고 사는 곳을 자신의 고유한 학술 활동 속에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하는 질문을 다룬다. 앞으로 호남학연구원의 철학적 발전은 바로 여기에 대해 대답하려고 시도하는 철학자들의 노력 여하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이 질문을 중요시 하지 않는 철학자에게 호남학이 철학적 탐구의 주제로 부상하리라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 이런 점에서 50년 전의 이을 호로부터 50년 후의 우리는 어디까지 나아왔으며, 앞으로 또 어디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호남의 유교문화권이란 개념과 최근에 나타난 인문한국 사업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views the academic results critically which the Honam Study Research has accumulated over 50 years around the field of philosophy. Concretely, Three issues are developed. The first, We look back into Lee eulho`s philosophical vision on the Honam Study that he contributed to set up. The second, We synthetically research and analyze all the matters which have come to fruition in philosophy`s field. The third, We deal with the question, “How does philosopher deal with the place in which we live among our unique academic activities?” Because the philosophical development of Honam Study in the future depends on philosopher`s efforts answering this question. In other words, We can`t expect philosopher who doesn`t make importance of this question to bring up the subject of philosophical inquiry.
      번역하기

      This paper reviews the academic results critically which the Honam Study Research has accumulated over 50 years around the field of philosophy. Concretely, Three issues are developed. The first, We look back into Lee eulho`s philosophical vision on th...

      This paper reviews the academic results critically which the Honam Study Research has accumulated over 50 years around the field of philosophy. Concretely, Three issues are developed. The first, We look back into Lee eulho`s philosophical vision on the Honam Study that he contributed to set up. The second, We synthetically research and analyze all the matters which have come to fruition in philosophy`s field. The third, We deal with the question, “How does philosopher deal with the place in which we live among our unique academic activities?” Because the philosophical development of Honam Study in the future depends on philosopher`s efforts answering this question. In other words, We can`t expect philosopher who doesn`t make importance of this question to bring up the subject of philosophical inquir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