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그리드는 기존 전력망에 IT 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전력망이다. 전력망에 IT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운영효율이 증가하고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창출되지만 반대로 사이버 보안위협은 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298189
2012
Korean
학술저널
73-78(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그리드는 기존 전력망에 IT 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전력망이다. 전력망에 IT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운영효율이 증가하고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창출되지만 반대로 사이버 보안위협은 증...
스마트그리드는 기존 전력망에 IT 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전력망이다. 전력망에 IT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운영효율이 증가하고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창출되지만 반대로 사이버 보안위협은 증가하게 된다. 사이버 보안위협의 기술적 증가요인으로는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으로 인한 전력망 연결 접점 증가와 실시간?양방향 통신으로 인한 스마트그리드 기기 공격, 양방향 통신 프로토콜 공격 가능성 존재 등이 있다. 또한, 환경적 증가요인으로는 스마트그리드는 전력망 특성상 사고 발생시 피해 규모가 크므로, 상대국 및 테러집단에 의한 주요 공격대상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스마트그리드 사이버 보안위협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스마트그리드의 핵심 기술이라 할 수 있는 AMI의 보안 취약점을 발견할 수 있는 현실적인 취약점 점검 항목을 제시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의 보안 특성, 고려사항, 구조, 설계 원칙과 연구동향에 관한 고찰
스마트그리드에서의 CPS (cyber-physical system) 시뮬레이션 구현을 위한 제반 연구이슈 및 방법론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