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소통 스타일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반영한 하부 차원을 제시하여, 이 개념을 측정하는 문항의 타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한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97183
2011
Korean
학술저널
26-26(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소통 스타일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반영한 하부 차원을 제시하여, 이 개념을 측정하는 문항의 타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한국...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소통 스타일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반영한 하부 차원을 제시하여, 이 개념을 측정하는 문항의 타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한국형 소통 스타일을 구성하는 하부 차원으로 격식성과 대인간 조화를 제시하고 이를 측정하는 20문항을 개발하여 구성타당도를 가지는 지 살펴보았다. 513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탐색적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체면낮춤 격식성, 경청적 대인간 조화, 갈등회피적 대인간 조화의 세 개 인자가 떠 올랐으며 인자 적재치 기준을 만족하지않는 다섯 개의 문항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열다섯 개의 문항으로 한국형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 측정 문항을 확정하였다. 이후 각 차원과 관련이 있을것으로 예상되는 체면민감성, 체면지향행동, 논쟁성향, 자기침묵, 인지욕구 변인과의 부분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동반타당도와 차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형 소통 스타일을 세가지 차원으로 구성하는 것이 어느 정도 타당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을 제시함으로써 개인주의적 저맥락적 문화권인 미국에서 개발된 소통 스타일을 그대로 번역하여 국내 연구에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문화적 타당성 문제 를 극복하고자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는 나아가 한국의 의사소통 문화를 경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한국적 커뮤니케이션 이론화 작업에 보탬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몇 가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비언어의 상호 동기화가 수용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설득적 스피치의 언어적 메시지 구현 방법에 관한 연구 - 오바마, 마틴 루터킹, 케네디의 스피치 비교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