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재가 살았던 시대는 제국주의 일본에 나라를 빼앗기고, 그들의 앞잡이 노릇을 한 친일 매국노들이 날뛰던 시기였다. 이러한 시대적 환경 속에서 지식인들이 할 수 있었던 방법은 무장 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862535
2015
Korean
하곡학 ; 경재 ; 실심 ; 역사의식 ; 민족정신 ; Hagok school ; KyungJae ; Reality mind ; sense of history ; racial sprit
KCI등재
학술저널
117-144(28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경재가 살았던 시대는 제국주의 일본에 나라를 빼앗기고, 그들의 앞잡이 노릇을 한 친일 매국노들이 날뛰던 시기였다. 이러한 시대적 환경 속에서 지식인들이 할 수 있었던 방법은 무장 항...
경재가 살았던 시대는 제국주의 일본에 나라를 빼앗기고, 그들의 앞잡이 노릇을 한 친일 매국노들이 날뛰던 시기였다. 이러한 시대적 환경 속에서 지식인들이 할 수 있었던 방법은 무장 항일투쟁 아니면 절개를 지키기 위한 망명 또는 자결이다. 경재는 망명을 통해 절의를 지키는 방법을 택했다. 그러나 망명지의 생활은 목숨만 있을 뿐 죽은 것과 다름이 없었다. 망명지에서의 경제적 어려움과 정신적 외로움 속에서, 경재는 글을 통해 하곡학의 후학답게 실심사상을 실천에 옮겼고, 또 확고한 역사의식을 통한 민족정신을 드러냈다.
경재의 망명지 거처는 다음과 같다: 1910년 9월 24일 강화도 사기리→10월 2일 개성→신의주 ‘사막촌’→11월 28일 고구→12월 1일 압록강 건넘→12월 7일 懷仁縣興道村→1911년 3월 22일 康溝村→1914년 7월 安東縣接李村(‘接梨村’이라고도 함)→1924년 2월 18일 임종.
경재의 ‘實心’은 實事이면서 實效다. 그러므로 心과 事와 效가 셋이 아니라 하나다. ‘實’은 안으로는 德行을 닦고, 밖으로는 업적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한 마디로 말하면 ‘내성외왕’이다. ‘實’을 바탕으로 경재는 실제와 맞지 않는 겉치레를 배격했다. 그래서 역사를 서술하는데 있어서도 역사적 사실에 맞게 서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은 역사인식은 항일열사들의 기록을 통해 투철한 민족의식으로 드러났다.
경재는 난곡과 더불어 하곡학의 마지막 계승자다. 하곡학의 계승자들이 언어·예술·역사·도가 등 여러 방면으로 파생되어 나아갔지만, 하곡학의 핵심 개념인 ‘실심’ 사상은 그대로 계승되었다는 것을 마지막 계승자인 경재의 ‘실심’ 사상을 통해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yungJae lived during the capture of the country to Japanese imperialism. The choice is of Japanese intellectuals under the rule of the next three: First, armed struggle against. Second, asylum for keeping the honor. Third, his own life. KyungJae chos...
KyungJae lived during the capture of the country to Japanese imperialism. The choice is of Japanese intellectuals under the rule of the next three: First, armed struggle against. Second, asylum for keeping the honor. Third, his own life. KyungJae chose how to save the asylum through honor. But the lives of asylum is economically so poor that they died was like. Of asylum in the economic difficulties and spiritual loneliness, KyungJae Hagok’s reality mind(實心) ideology into action. And Solid sense of history and has revealed that national spirit.
KyungJae fled the country and lived there are as follows. 1910. 9. 24. Sagiri of the Ganghwado.→10. 2. Gaeseong of Pyongan Province→Samakchon of Sinuiju→ 11. 28. Gogoo→12. 1. Cross the Amnok river→12. 7. Heungdo village of Hoeinhyeon(懷仁縣)→1911. 3. 22. kanggu village(康溝村)→1914. 7. Jeomni village(接梨村) of Andonghyeon(安東縣)→1924. 2. 18. Deathbed.
Reality mind is Reality things, and substantial effect(實效). Therefore Mind, Things and Effect is not three, is one. ‘Reality mind’ is practice virtue and achieving accomplishments. This is the sheer intellectual to practice. Ostracized and extravagant ceremonies on the basis of the KyungJae is a ‘reality Mind’. History is the description should be to fit the historical facts. This is the historical view of him. This kind of history to the anti-Japanese recorded a biography of martyrs. The leavings of a strong record of the patriot nor against national consciousness to reveal the bad spirits go away.
KyungJae is heir to the end of the hagok school. Hagok school was deriv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language, art, history, and taoism. But Hagok school’s spirit is Hagok school heir to the end of the material meant for KyungJae to finish i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천병돈, "맹자의 철학" 예문서원 2000
2 천병돈, "경재 이건승의 민족정신" 한국양명학회 (40) : 151-176, 2015
3 정량완, "강화학파의 문학과 사상(5)" 월인 2012
4 송상훈, "騎驢隨筆" 국사편찬위원회 1985
5 李建昇, "耕齋集"
6 李建昇, "海耕堂收草"
7 李建昇, "海耕堂收草"
8 李建昇, "海耕堂收草"
9 李建昇, "海耕堂收草" 월인 2012
1 천병돈, "맹자의 철학" 예문서원 2000
2 천병돈, "경재 이건승의 민족정신" 한국양명학회 (40) : 151-176, 2015
3 정량완, "강화학파의 문학과 사상(5)" 월인 2012
4 송상훈, "騎驢隨筆" 국사편찬위원회 1985
5 李建昇, "耕齋集"
6 李建昇, "海耕堂收草"
7 李建昇, "海耕堂收草"
8 李建昇, "海耕堂收草"
9 李建昇, "海耕堂收草" 월인 201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陽明學 -> 양명학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2 | 0.39 | 1.123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