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저경력 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서술함으로써 교사 재교육을 통한 저경력 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69660
공주 : 국립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5
학위논문(석사) -- 국립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 중등특수교육전공 , 2025. 2
2025
한국어
충청남도
Autoethnography of a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arning Experience in a Special Education Graduate Program
iv, 91장 : 삽화 ; 26 cm
지도교수: 홍재영
참고문헌: 77-89장
I804:44004-00000003450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저경력 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서술함으로써 교사 재교육을 통한 저경력 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질...
이 연구는 저경력 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서술함으로써 교사 재교육을 통한 저경력 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 중 자문화기술지를 활용하여 저경력 특수교사의 경험을 풍성하고 상세하게 기록하며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경력 특수교사였던 나는 특수교육 분야에서 전문성을 높이고 학문적 욕구를 충족하며 다양한 외재적 가치를 목적으로 하여 특수교육대학원 진학을 결심하였다. 둘째, 저경력 특수교사였던 나는 특수교육대학원에서 학습하며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 지식을 쌓고 새로운 학습 방법을 터득하며 교육 공동체를 형성하는 경험을 하였다. 셋째, 저경력 특수교사였던 나는 특수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통해 개인적 성장, 실제적 성장, 사회적 성장을 이루었다. 이 연구는 저경력 특수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특수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이 유익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이 연구는 특수교육대학원에서 학습 중이거나 진학을 희망하는 현직 교사들이 특수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이해하고 성찰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and to interpret the proces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ts significance. To achieve this goal, autoethnography wa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and to interpret the proces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ts significance. To achieve this goal, autoethnography was used to explore the researcher’s own experiences. The study set three research questions: ‘Why did the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decide to attend a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What learning experiences did the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have at the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What lasting impacts did the graduate school learning experience have on the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entered the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due to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Second, the researcher experienced deep knowledge,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reflective learning at the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Third, the researcher achieved personal, practical, and social growth through the learning experience at the graduate school, which enhanced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 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need for learning experiences in graduate schools of special education to improv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