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전자편집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생명윤리법의 재검토 = The Ethical Issues in Genome Editing and a Review of Korea’s Bioethics and Biosafety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058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which is written in respons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genome editing technologies, examines the ethical issues of gene therapy and genetic enhancement as well as the justifiability of the relevant clauses of Korea’s Bioethics and Biosafety Act. I argue that somatic genome-editing therapies should be regulated in the same way as other gene therapies, that the regulations should be individualized in light of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technology, and that these regulations should be multiphased such that the risk-benefit analysis at each stag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deciding whether to proceed to the next stage of research. Furthermore, I argue that the current regulation of research on redundant human embryos from in vitro fertilization (IVF) should be revised, that new regulations on the gene editing of human eggs and sperms should be set up, that gene-editing research on relevant somatic cells and animal models should precede preclinical studies on heritable human gene editing, and that the results of preclinical studi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considering whether to allow clinical trials of human germline editing. I conclude by calling for regulations on human genome editing for enhancement and describing the role of Korea’s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in reforming existing regulations.
      번역하기

      This article, which is written in respons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genome editing technologies, examines the ethical issues of gene therapy and genetic enhancement as well as the justifiability of the relevant clauses of Korea’s Bioethics and B...

      This article, which is written in respons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genome editing technologies, examines the ethical issues of gene therapy and genetic enhancement as well as the justifiability of the relevant clauses of Korea’s Bioethics and Biosafety Act. I argue that somatic genome-editing therapies should be regulated in the same way as other gene therapies, that the regulations should be individualized in light of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technology, and that these regulations should be multiphased such that the risk-benefit analysis at each stag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deciding whether to proceed to the next stage of research. Furthermore, I argue that the current regulation of research on redundant human embryos from in vitro fertilization (IVF) should be revised, that new regulations on the gene editing of human eggs and sperms should be set up, that gene-editing research on relevant somatic cells and animal models should precede preclinical studies on heritable human gene editing, and that the results of preclinical studi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considering whether to allow clinical trials of human germline editing. I conclude by calling for regulations on human genome editing for enhancement and describing the role of Korea’s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in reforming existing regul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유전자편집 기술의 발전을 계기로, 유전자 치료 및 향상의 윤리적 문제들과 관련 생명윤리법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체세포 대상 치료목적 유전자편집에 대하여는, 다른 유전자치료법과 통합적으로 규율하되, 당해 기술의 장단점을 반영하여 각 개발 단계마다 위험과 이익을 분석한 내용을 기초로 연구의 진행 여부를 재검토하는 개별적ㆍ다단계 규제 방식을 옹호한다. 배아 대상 유전자편집에관하여는, 생명윤리법 29조 1항 3호를 활용하여 잔여배아연구의 허용범위를 조정하고, 생식세포에 대한 유전자 편집ㆍ치료에 관한 연구를 적절히 규제하며, 체세포와 동물 대상 연구에 이어 착상ㆍ출산의금지를 전제로 잔여배아나 생식세포에 대한 전임상 연구를 시행한 다음, 그 결과를 기초로 임상시험으로의 진행 여부를 검토할 것을 옹호한다. 질병의 예방ㆍ치료를 넘어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유전자 편집ㆍ조작에 대한 법제 정비가 필요함도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규제 개선을 주도할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유전자전문위원회의 역할을 기술한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유전자편집 기술의 발전을 계기로, 유전자 치료 및 향상의 윤리적 문제들과 관련 생명윤리법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체세포 대상 치료목적 유전자편집에 대하여는, 다른 유전자...

      이 글에서는 유전자편집 기술의 발전을 계기로, 유전자 치료 및 향상의 윤리적 문제들과 관련 생명윤리법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체세포 대상 치료목적 유전자편집에 대하여는, 다른 유전자치료법과 통합적으로 규율하되, 당해 기술의 장단점을 반영하여 각 개발 단계마다 위험과 이익을 분석한 내용을 기초로 연구의 진행 여부를 재검토하는 개별적ㆍ다단계 규제 방식을 옹호한다. 배아 대상 유전자편집에관하여는, 생명윤리법 29조 1항 3호를 활용하여 잔여배아연구의 허용범위를 조정하고, 생식세포에 대한 유전자 편집ㆍ치료에 관한 연구를 적절히 규제하며, 체세포와 동물 대상 연구에 이어 착상ㆍ출산의금지를 전제로 잔여배아나 생식세포에 대한 전임상 연구를 시행한 다음, 그 결과를 기초로 임상시험으로의 진행 여부를 검토할 것을 옹호한다. 질병의 예방ㆍ치료를 넘어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유전자 편집ㆍ조작에 대한 법제 정비가 필요함도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규제 개선을 주도할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유전자전문위원회의 역할을 기술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택, "출생전 인간생명의 헌법적 보호" 16 : 145-180, 2005

      2 전방욱, "인간 배아 유전체 편집에 관한 윤리적 쟁점" 한국생명윤리학회 16 (16): 17-30, 2015

      3 박대웅, "유전자편집 기술의 발전에 대응한 인간배아 유전자치료의 규제방향" 한국생명윤리학회 17 (17): 35-52, 2016

      4 박수헌, "유전자치료연구에 대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규제 고찰" 생명의료법연구소 9 (9): 1-24, 2015

      5 전방욱, "유전자 편집에 근거한 유전자치료 연구의 윤리" 한국의료윤리학회 19 (19): 47-59, 2016

      6 최경석, "유전자 검사 및 연구의 윤리적 문제와유전치료의 문제 : 유전자 결정론을 중심으로" 한국의료윤리학회 9 (9): 223-233, 2006

      7 김중호,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의료윤리학회 8 (8): 21-33, 2005

      8 Wasserman D, "The nonidentity problem, disability, and the role morality of prospective parents" 116 : 132-152, 2005

      9 Sandel M, "The Case against Perfec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10 Wang D, "State-of-the-art human gene therapy: part I. Gene delivery technologies" 18 (18): 67-77, 2014

      1 김선택, "출생전 인간생명의 헌법적 보호" 16 : 145-180, 2005

      2 전방욱, "인간 배아 유전체 편집에 관한 윤리적 쟁점" 한국생명윤리학회 16 (16): 17-30, 2015

      3 박대웅, "유전자편집 기술의 발전에 대응한 인간배아 유전자치료의 규제방향" 한국생명윤리학회 17 (17): 35-52, 2016

      4 박수헌, "유전자치료연구에 대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규제 고찰" 생명의료법연구소 9 (9): 1-24, 2015

      5 전방욱, "유전자 편집에 근거한 유전자치료 연구의 윤리" 한국의료윤리학회 19 (19): 47-59, 2016

      6 최경석, "유전자 검사 및 연구의 윤리적 문제와유전치료의 문제 : 유전자 결정론을 중심으로" 한국의료윤리학회 9 (9): 223-233, 2006

      7 김중호,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의료윤리학회 8 (8): 21-33, 2005

      8 Wasserman D, "The nonidentity problem, disability, and the role morality of prospective parents" 116 : 132-152, 2005

      9 Sandel M, "The Case against Perfec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10 Wang D, "State-of-the-art human gene therapy: part I. Gene delivery technologies" 18 (18): 67-77, 2014

      11 Evitt N, "Response to open peer commentaries on ‘Human germline CRISPR-Cas modification: toward a regulatory framework’" 16 (16): W1-W2, 2016

      12 Asch A, "Prenatal Testing and Disability Rights"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34-258, 2000

      13 Harris J, "One principle and three fallacies of disability studies" 27 (27): 383-387, 2001

      14 International Summit on Human Gene Editing, "On Human Gene Editing: International Summit Statement"

      15 Mertes H, "Modification of the embryo’s genome: more useful in research than in the clinic" 15 (15): 52-53, 2015

      16 Evitt N, "Human germline CRISPR-Cas modification: toward a regulatory framework" 15 (15): 25-29, 2015

      17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Human Genome Editing: Science, Ethics, and Governance"

      18 Kamm F, "Human Enhanc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91-130, 2009

      19 Singer P, "Human Enhanc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77-289, 2009

      20 Harris J, "Germline manipulation and our future worlds" 15 (15): 30-34, 2015

      21 Nuffield Council on Bioethics, "Genome editing:an ethical review"

      22 Liang P, "CRISPR/Cas9-mediated gene editing in human tripronuclear zygotes" 6 (6): 363-372, 2015

      23 Lander E, "Brave new genome" 373 (373): 5-8, 2015

      24 Buchanan A, "Beyond Hunamity?: The Ethics of Biomedical Enhanc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5 Baltimore D, "A prudent path forward for genomic engineering and germline gene modification" 348 : 36-38, 2015

      26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기술영향평가: 제1권 유전자가위 기술"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8-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 한국의료윤리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KCI등재
      2009-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지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55 0.94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