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憲法論集 . 3 , 1990~200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8829755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세종, 2001

      • 발행연도

        200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42 판사항(22)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부산

      • 서명/저자사항

        憲法論集. 3, 1990~2000 / [김효전 지음]

      • 형태사항

        iv, 836 p. ; 26 cm

      • 일반주기명

        "이 책은 저자가 1990년대에 발표한 학술 논문을 비롯하여 논설과 에세이 등을 수록한 것이다"--머리말
        참고문헌 수록
        김효전 저작목록: p. 809-836

      • 소장기관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법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머리말
      • 제1편 헌법 일반
      • 제1장 국법과 국법학의 특질 = 3
      • 제2장 국법학은 여기서 끝난다 = 20
      • 목차
      • 머리말
      • 제1편 헌법 일반
      • 제1장 국법과 국법학의 특질 = 3
      • 제2장 국법학은 여기서 끝난다 = 20
      • 제3장 루돌프 스멘트의 통합이론 = 41
      • 제4장 루돌프 스멘트 = 64
      • 제5장 한국의 산업국가적 발전에 있어서 헌법의 현재 및 장래의 역할 = 86
      • 제6장 한국에서의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과제 = 98
      • 제7장 Das Bonner Grundgesetz und die koreanischen Verfassungen = 111
      • 제8장 Die gegenw$$\ddot a$$rtige und k$$\ddot u$$nftige Rolle der Verfassung in der industriestaatlichen Entwicklung Koreas = 125
      • 제9장 독일 통일과 기본법의 개정 = 138
      • 제10장 한국 헌법과 독일 기본법 = 163
      • 제2편 기본권
      • 제1장 헌법과 형사절차의 원리 = 187
      • 제2장 최근 독일의 기본권 이론 = 208
      • 제3장 제도이론의 계보 = 219
      • 제4장 통합이론에서의 기본권이론 = 235
      • 제5장 표현의 자유 = 252
      • 제6장 사회세력에 대한 자유의 보장 = 267
      • 제3편 권력구조
      • 제1장 대통령제의 이론과 실제 = 279
      • 제2장 한국 헌법에 있어서의 대통령제 = 294
      • 제3장 의원내각제의 원리 = 304
      • 제4장 전제주의의 정부형태 = 316
      • 제5장 위임적 독재와 주권적 독재 = 325
      • 제6장 Bonn 기본법상의 집행권 = 337
      • 제7장 사법심사제의 연혁 = 345
      • 제8장 헌법재판소 = 354
      • 제9장 헌법재판소제도의 문제점과 그 개선책 = 370
      • 제10장 새 헌법상의 경제질서 = 383
      • 제11장 헌법개정 = 398
      • 제4편 학계회고
      • 제1장 90년도 헌법학계와 판례의 동향 = 417
      • 제2장 91년도 헌법학계의 회고와 전망 = 440
      • 제3장 92년도 헌법학계의 활동 = 462
      • 제4장 93년도 헌법학계의 활동 = 481
      • 제5장 94년도 헌법학계의 활동과 판례경향 = 510
      • 제6장 95년도 헌법학계의 활동 = 532
      • 제7장 96년도 헌법학계 회고 = 554
      • 제8장 한국 법학의 체계와 조류 -헌법- = 575
      • 제9장 헌법학계의 회고와 전망 = 587
      • 제10장 한국 헌법학 50년의 성과와 21세기적 과제 = 597
      • 제11장 한국 헌법학 50년과 외국 학설 = 629
      • 제12장 한국공법학회의 회고와 전망 = 646
      • 제5편 시론과 에세이(1980-1997)
      • 1. 개헌과 헌법의식조사 = 663
      • 2. 헌법개정에 관한 의견서 = 665
      • 3. 새 헌법과 기본권의 신장 = 668
      • 4. 국가에 대한 국민의 지위 = 671
      • 5. 제도적 보장 = 673
      • 6. 언론·출판의 자유 = 676
      • 7. 언론기본법 = 678
      • 8. 언론의 자유와 인간의 존엄 = 680
      • 9. 자유권과 사회권의 비교 = 683
      • 10. 유신 헌법과 정당 = 686
      • 11. 국가긴급권의 이론 = 690
      • 12. 새 헌법과 사법부 = 693
      • 13. 미국 헌법에서의 대법원판사 = 695
      • 14. 헌법의 정신 = 702
      • 15. 법치국가냐 덕치국가냐? = 704
      • 16. 헌법은 영원한가? = 707
      • 17. 86·88 대회와 민족의 자존심 = 709
      • 18. 바이마르 파멸의 교훈 = 711
      • 19. 정치인에 대한 국민의 감시 = 713
      • 20. 학원민주화의 표리 = 715
      • 21. 철학이 있는 대법원장 = 717
      • 22. 남북한과 동서독의 간격 = 720
      • 23. 제헌절 42주년 특별대담·내각제 논의 타당한가 = 722
      • 24. 시련을 이겨낸 헌법국가 = 726
      • 25. 성경에서 나온 헌법이론 = 728
      • 26. 국가의 세속화 과정 = 732
      • 27. 법과대학원 설치의 문제점 = 736
      • 28. 사법 백년의 발자취와 과제 = 738
      • 29. 독도를 지키는 길 : 칼과 펜 = 740
      • 30. 통일과 우리의 자세 = 743
      • 31. 미국에서 본 한국 법학 = 745
      • 제6편 서평과 자전
      • 1. 서평
      • 최종고저, 한국법학사, 1990 = 751
      • Geschichte der deutschen Staatsrechtswissenschaft von M. Friedrich = 752
      • Heinrich Triepel von U. M. Gassner = 755
      • G. 옐리네크저, 김효전역, 일반 국가학, 1980(박규하) = 759
      • 한스 켈젠저, 김효전역, 통합으로서의 국가, 1994(박규하) = 761
      • 김효전 지음, 서양 헌법이론의 초기수용, 1996(강경근, 이석연) = 767
      • 김효전 지음, 근대 한국의 국가사상, 2000(이지형, 정긍식, 강경근, 안경환) = 773
      • 2. 자전
      • 해방둥이 = 785
      • 성균관대학교 법정대학 = 787
      • 유능한 법조인 배출의 산실·동아의 학풍·법학 = 791
      • 동아대학과 20년 = 793
      • 김효전 저작목록 = 8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