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저술 배경 및 의의 ❶ 교양 독자들의 자연사에 대한 이해: 각종 인터넷서점 사이트나 중앙도서관 사이트를 검색해도 자연사박물관에 대한 서적들은 많아도 정작 자연사에 대한 개론서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7938
201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저술 배경 및 의의 ❶ 교양 독자들의 자연사에 대한 이해: 각종 인터넷서점 사이트나 중앙도서관 사이트를 검색해도 자연사박물관에 대한 서적들은 많아도 정작 자연사에 대한 개론서를 ...
1. 저술 배경 및 의의
❶ 교양 독자들의 자연사에 대한 이해: 각종 인터넷서점 사이트나 중앙도서관 사이트를 검색해도 자연사박물관에 대한 서적들은 많아도 정작 자연사에 대한 개론서를 포함하여 교양서적을 찾을 수 없다. 이런 상황을 직시할 때, 교양 독자들의 자연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양 서적을 저술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할 뿐만 아니라 절박하기까지 하다.
❷ 자연사의 근대적 성격: 본 저술은 근대 자연사를 식민화 및 낭만주의 예술과의 상호적 관계에서 인식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❸ ‘생물지리적 탐험’: 본 연구자는 생물지리적 탐험(biogeographical exploration)이 가장 핵심적이라는 점을 인식하였다. ‘신세계’의 식물・동물・광물의 지리적 분포를 연구하는 생물지리학은 서구 자연사학자가 자신의 연구실로부터 ‘신세계’의 현장을 탐험하지 않으면 존립할 수 없는 학문이다.
2. 근대 자연사
❶ 생물지리적 탐험, 자연사의 근대성을 담보하다: ‘신세계’로의 생물지리적 탐험은 자연사의 지평을 바꿔놓았다. 선구자들이 직접 참여하거나 주도했던 탐험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18세기 전반기까지 유럽에서 발달해왔던 자연사에 대해 본질적인 문제들을 제기하였다. 선구자들은 생물지리적 탐험을 통해 눈으로 직접 본 것을 통해 이런 문제를 해결하였다. 종(種)의 지리적 분포가 지질 과정과 생물 과정 사이의 중요한 연결 고리라는 점이 인식되었다.
❷ 근대 자연사 - 식민화 - 예술의 융합적 상관성: 근대 자연사는 서구가 ‘신세계’의 각종 자연 자원들에 대한 지식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연사는 낭만주의 예술이 발달할 수 있는 토양이 되었다.
3. 근대 자연사의 선구자
❶ 칼 린네, 자연을 분류하다
린네의 17명 ‘사도’ - 그는 자신의 32명 학생 중에서 ‘자연사 탐험’에 참여했던 학생을 이렇게 불렀다 - 들이 식물・동물・광물을 수집하고 조사하기 위하여 전 세계를 탐험했다. 린네는 자연을 경제에 적용할 줄 알고, 동시에 경제를 자연에 적용할 줄 아는 새로운 지식을 갈구하였다. 린네는 독일식 중상주의인 관방주의말로 스웨덴의 국부國富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연의 경제’를 일차적인 국가 정책으로 간주하였다.
❷ 뷔퐁, 자연사를 역사화하다
뷔퐁의 근대 자연사에 대한 최대의 공적은 그가 ‘자연사를 역사화’(historicizing natural history)했다는 데 있다. 뷔퐁은 린네의 분류법이 비역사적인 자연사라고 비판했다. 파리식물원과 파리자연사박물관은 당대 파리에서 최고의 지식권력기관이었다. 파리식물원장으로서 뷔퐁은 신세계에서 자연사 탐험을 수행했던 프랑스 자연사학자들이 갖고 온 식물들을 연구하면서, 아리스토텔레스 이래로 계승되어 왔던 비역사적인 자연사의 역사화를 주장하였다.
❸ 조셉 뱅크스, ‘전지구적 식물원 네트워크’를 만들다
서구의 낭만주의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자연사 탐험은 매우 중차대한 의미를 갖는다. 자연사와 낭만주의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워즈워스, 셸리, 코울리지, 다윈(Erasmus Darwin), 손턴(Robert J. Thornton) 등 낭만주의 작가들과 예술가들은 뱅크스가 구축한 전지구적 식물원 네트워크를 통해 큐 식물원에 소재하는 식물들을 자주 접하면서 새로운 감각을 갖게 되었고 이를 예술적으로 형상화하였다.
❹ 알렉산더 훔볼트, 독일 낭만주의와 소통하다
훔볼트는 유럽의 문명에서 가장 가치가 있는 ‘열매’ 중의 하나로 ‘자연의 상관’(physiognomy)을 손꼽았다. 그는 이것이 "식물의 재배, 자연에 대한 풍경화, 낭만주의적 언어의 힘"에 의해 형성된다고 주장했다. 훔볼트의 이런 인식은 근대 자연사가 서구 사회의 계몽주의로부터 낭만주의로의 전환에서 중요한 위상과 역할을 차지했음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❺ 알프레드 월리스, 근대 자연사를 지도화하다
월리스에게 지도란 말레이 군도에서의 곤충, 조류, 포유류 등이 각각 보여주는 서로 다른 생물학적 정보들을 하나의 통합된 틀로 담기 위한 도구였다. 19세기 유럽의 자연사가 지도를 통해 발달했듯이, 월리스의 생물지리학도 지도를 통해 더욱 구체적인 형태로 가시화되었다.
❻ 찰스 다윈, 생물지리학을 완성하다.
지질학적 시간은 생물학적 진화의 길을 열어 놓았고, 진화론은 종의 생물지리학, 다시 말해서 종의 장소성에 대한 사유를 가능하게 했다. 즉, 지질학적 시간은 종의 공간화로 이어졌다. 종의 공간적인 차이는 역사적인 진화의 시간화로 환원되었다. 이와 같이 진화론과 인류학은 지질학적 상상력에 힘입어 시간의 공간화와 공간의 시간화를 가속화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