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밀양시 재약산 산들늪의 식물상과 복원방안 = Flora and Restoration Plan of Sandeul Wetland in Mt. Jaeyak, Miryang-si,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766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참고문헌 (Reference)

      1 산림청,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국립수목원 1997

      2 임양재,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22 : 69-83, 1980

      3 백원기, "한국특산식물의 현황과 보전" 2001

      4 권 동 희, "한국의 습지지형 연구 성과와 과제" 한국지형학회 13 (13): 25-34, 2006

      5 박수현,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서울:일조각 1994

      6 변무섭, "전주천일대의 관속식물상과 도시화지수"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231-245, 2005

      7 낙동강유역환경청, "재약산 산들늪 습지보전계획(안) 수립 연구" 낙동강유역환경청 2007

      8 김홍배, "자연형 도시하천의 식생 및 어류 다양성과 특성 평가" 한국습지학회 8 (8): 53-64, 2006

      9 김종원, "울산 무제치늪의 식생: 군락분류와 군락동태" 한국생태학회 26 (26): 9-287, 2003

      10 김종원, "울산 무제치 습원의 식생 : 현존식생도와 오리나무 개체군" 한국생태학회 28 (28): 99-103, 2005

      1 산림청,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국립수목원 1997

      2 임양재,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22 : 69-83, 1980

      3 백원기, "한국특산식물의 현황과 보전" 2001

      4 권 동 희, "한국의 습지지형 연구 성과와 과제" 한국지형학회 13 (13): 25-34, 2006

      5 박수현,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서울:일조각 1994

      6 변무섭, "전주천일대의 관속식물상과 도시화지수"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231-245, 2005

      7 낙동강유역환경청, "재약산 산들늪 습지보전계획(안) 수립 연구" 낙동강유역환경청 2007

      8 김홍배, "자연형 도시하천의 식생 및 어류 다양성과 특성 평가" 한국습지학회 8 (8): 53-64, 2006

      9 김종원, "울산 무제치늪의 식생: 군락분류와 군락동태" 한국생태학회 26 (26): 9-287, 2003

      10 김종원, "울산 무제치 습원의 식생 : 현존식생도와 오리나무 개체군" 한국생태학회 28 (28): 99-103, 2005

      11 이창복, "우리나라 특산식물과 분포" 관악수목원연구보고 71-113, 1983

      12 김종원, "양산 산불산의 습원 식생" 한국생태학회 28 (28): 85-92, 2005

      13 김성문, "애기수영의 화학적 방제를 위한 제초제 선발 및 선발 제초제의 살초 효과" 3 (3): 45-53, 1999

      14 이기철, "신불산 고산 습지의 생태적 특성과 관리방안 연구" 한국습지학회 10 (10): 1-14, 2008

      15 박준모, "시화호 갈대습지공원내의 식생조사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 20 (20): 50-62, 2007

      16 김귀곤, "습지와 환경" 아카데미서적 2003

      17 이유미, "서울 중랑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 16 (16): 271-286, 2002

      18 김갑태, "생태적 숲관리와 조림 문제 -조림지와 천연림에서 자작나무속 세 수종의 직경생장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 17 (17): 224-231, 2003

      19 방상원, "생태계위해외래종의 통합관리 방안 연구" 2004

      20 "밀양시"

      21 문성기, "밀양 천황산의 식물상" 7 (7): 163-203, 1986

      22 차승희, "몇가지 환경요인이 돼지풀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 25 (25): 5-100, 2002

      23 길봉섭, "도입종 애기수영의 생태 특성" 20 (20): 413-421, 1997

      24 김성균, "도시환경림의 생태미학적 경관분석기법에 관한 연구-인왕산을 사례지역으" 24 (24): 97-108, 1996

      25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서울:향문사 1980

      26 유주한, "대구광역시 안심습지의 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21 (21): 162-170, 2008

      27 변무섭, "금강 상류유역의 우점 식물상 조성과 분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8 (8): 52-67, 2005

      28 임동옥,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및 환경지수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18 (18): 288-296, 2004

      29 송종석, "경상북도 남부 가야산, 비슬산, 운문산, 가지산 일대 참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 24 (24): 9-18, 2001

      30 오수영, "가지산 식물조사 보고서-경북지방 식물상 조사연구" 7 (7): 239-278, 1974

      31 Gadgil, "Vulnerability of planted forests to biotic and abiotic distur- bance" 17 : 227-238, 1999

      32 Cerdá, "The effect of patchy distribution of Stipa tenacissima L. on runoff and erosion" 36 : 37-51, 1997

      33 Parendes, L. A., "Role of light availability and dispersal in exotic plant invasion along roads and steams in the H.J. Andrews experimental forest, Oregon" 14 : 64-75, 2000

      34 Méndez, M., "Popu- lation dynamics of Pterocereus gaumeri, a rare and endemic columnar cactus of Mexico" 36 (36): 492-504, 2004

      35 Swanson, "New forestry principles from ecosystem analysis of Pacific Northwest Forests" 2 (2): 262-274, 1992

      36 Richardson, D. M. P, "Naturalized and invasion of alien plants:concepts and definitions" 6 : 93-107, 2000

      37 Melchior,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Ⅱ. Gebruder Born"

      38 Kingston, N, "A conservation appraisal of the rare and endemic vascular plants of Pitcairn Island" 14 : 781-800, 2005

      39 환경부, "2006 전국내륙습지 정밀조사(최종보고서):산들늪,화포늪,장척지,금강호"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3-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458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