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에서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단군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가? 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기존 단군연구에서는 대개 단군을 단일민족성의 기원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군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논문에서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단군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가? 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기존 단군연구에서는 대개 단군을 단일민족성의 기원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군상...
논문에서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단군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가? 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기존 단군연구에서는 대개 단군을 단일민족성의 기원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군상은 일제강점기에 조성되었을 뿐이며, 시대를 초월한 보편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은 아니다. 일제강점기에 단군상은 독립운동의 이론적, 종교적 기반이면서 한민족의 단결성을 강화시키는 동력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단군상이 일제강점기에는 시대적 의미를 지닐 수 있었지만, 다문화사회에서에 진입하는데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하지만 단군 자체를 부정할 필요는 없다. 단군은 민족성의 상징체이며, 민족성은 사회의 정체성을 인식하게 하고 한국인과 한국사회의 존재하는 의미를 알게 해 준다. 그렇다면, 민족의 시원인 단군신화를 단일적인 민족, 또는 폐쇄적인 민족이 아니라 개방적이고 소통적인 민족성의 지평에서 새롭게 해석해 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단군문화가 외래문화와 상호작용 또는 융합의 과정을 중심으로 새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단군신화와 이와 관련 있는 관련된 풍류도, 낭가 등에서는 혈통주의적 민족성보다는 다양한 문화를 아우르는 다문화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다문화사회에서는 토착문화의 고유성을 보존하면서도 외래문화를 수용하여 자신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는 상징체계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상징체계를 단군과 단군문화를 재해석하면서 창출해 낼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병석, "李澤厚의 文化心理 構造와 實用理性 : 中國哲學史의 記述 및 性格 問題와 관련하여" 새한철학회 1 (1): 43-62, 2009
2 조지훈, "한국문화사서설" 나남출판 1996
3 유동식, "풍류도와 한국의 종교사상"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7
4 신채호, "조선상고사, In 단재 신채호 전집(개정판 상권)" 형설출판사 1995
5 김광억, "일제시기 토착 지식인의 민족문화 인식의 틀" (4) : 1998
6 "삼국사기"
7 박노자, "대한민국에서 다(多)문화 사회가 가능한가" 국어문학회 47 (47): 5-14, 2009
8 박광용, "대단군 민족주의의 전개와 양면성" 역사비평사 1992
9 정영훈, "단군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1999
10 박정진, "단군신화에 대한 신연구" 2010
1 정병석, "李澤厚의 文化心理 構造와 實用理性 : 中國哲學史의 記述 및 性格 問題와 관련하여" 새한철학회 1 (1): 43-62, 2009
2 조지훈, "한국문화사서설" 나남출판 1996
3 유동식, "풍류도와 한국의 종교사상"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7
4 신채호, "조선상고사, In 단재 신채호 전집(개정판 상권)" 형설출판사 1995
5 김광억, "일제시기 토착 지식인의 민족문화 인식의 틀" (4) : 1998
6 "삼국사기"
7 박노자, "대한민국에서 다(多)문화 사회가 가능한가" 국어문학회 47 (47): 5-14, 2009
8 박광용, "대단군 민족주의의 전개와 양면성" 역사비평사 1992
9 정영훈, "단군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1999
10 박정진, "단군신화에 대한 신연구" 2010
11 권오영, "단군신화, 어떻게 봐야 하나" 역사비평사 1992
12 하정현, "근대 한국 신화학의 태동― 단군 담론을 중심으로 ―" 한국종교학회 (49) : 233-255, 2007
13 고운국제교류사업회, "고운 최치원의 철학. 종교사상" 도서출판 문사철 2010
14 최영성, "日帝時期 反植民史學의 展開" 한국사상문화학회 9 : 2000
무덤마을 주민들의 경험과 장소애착: 돌산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체코 대학생들의 한국어 글쓰기에 나타난 오류 분석* -음운 분야를 중심으로 -
초기 중국의학(中國醫學)과 음양오행(陰陽五行) 사상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7 | 0.972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