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구·경북 지역발전과 2012년 양대 선거 = 대구경북지역의 대안적 발전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105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글은 대구경북지역발전을 둘러싼 경제 환경의 변화와 그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몇 가지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최근의 기술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통한 ‘부의 창출’은 세계적 차원뿐만 아니라 국가, 지역 심지어 대도시 지역 내에서의 새로운 불균형발전의 동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서울과 지방,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발전의 양극화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그동안의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에 부정적이다. 따라서 기존의 지역발전정책에서 탈피하여 지역의 내부 역량을 강화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절실하다. 이러한 패러다임에 입각한 대구경북지역의 대안적 발전방안으로 ① 지방분권과 연대를 통한 중앙논리에 대응할 힘을 키워야 하며, ② 대경경제권, 영남경제권 나아가서는 남부경제권의 광역경제권 구축으로 지역경제의 ‘규모의 경제’의 실현을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 ③ 국가정책의 현지화로 지방정책의 일관성 확보를 통한 내생적 역량 강화, ④ 지역의 개방성과 다양성의 확보 그리고 ⑤ ‘영남권 신국제공항(남부권 국제공항)’의 건설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이글은 대구경북지역발전을 둘러싼 경제 환경의 변화와 그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몇 가지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최근의 기술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통한 ‘부의 창출’은 세계...

      이글은 대구경북지역발전을 둘러싼 경제 환경의 변화와 그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몇 가지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최근의 기술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통한 ‘부의 창출’은 세계적 차원뿐만 아니라 국가, 지역 심지어 대도시 지역 내에서의 새로운 불균형발전의 동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서울과 지방,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발전의 양극화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그동안의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에 부정적이다. 따라서 기존의 지역발전정책에서 탈피하여 지역의 내부 역량을 강화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절실하다. 이러한 패러다임에 입각한 대구경북지역의 대안적 발전방안으로 ① 지방분권과 연대를 통한 중앙논리에 대응할 힘을 키워야 하며, ② 대경경제권, 영남경제권 나아가서는 남부경제권의 광역경제권 구축으로 지역경제의 ‘규모의 경제’의 실현을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 ③ 국가정책의 현지화로 지방정책의 일관성 확보를 통한 내생적 역량 강화, ④ 지역의 개방성과 다양성의 확보 그리고 ⑤ ‘영남권 신국제공항(남부권 국제공항)’의 건설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has attempted to analyse the changing of socio-economic milieu and the actual condition surrounding Daegu-Gyungbuk province. In addition, I have proposed some political alternatives which is based on this analysis. The ‘creation of wealth’ through technical innovation and growth of production seems to affect uneven regional development not only global level but also national and regional level even local level included cities. In Korea, the regional developmental gap between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 (between capital city, Seoul and non-capital city area) is deepening. Although national and/or local government tried to reduce the regional disparity, that result was unsatisfactory.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a paradigm shifting that makes to strengthen regional capacity broken up top-down regional development paradigm. Among the most important alternative regional development policy for Daegu-Gyungbuk region, I suggested that: 1) decentralization of power and making solidarity with non-capital areas, 2) enhance Daegu-Gyungbuk province’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via build up a great-sphere economic area which is realized an economy of scale, 3) Daegu-Gyungbuk region needs to strengthen an endogenous capacity through localized regional policies, 4) making a region which has a diversity and openness, 5) construction of international airport of Southern part of Korea.
      번역하기

      This article has attempted to analyse the changing of socio-economic milieu and the actual condition surrounding Daegu-Gyungbuk province. In addition, I have proposed some political alternatives which is based on this analysis. The ‘creation of weal...

      This article has attempted to analyse the changing of socio-economic milieu and the actual condition surrounding Daegu-Gyungbuk province. In addition, I have proposed some political alternatives which is based on this analysis. The ‘creation of wealth’ through technical innovation and growth of production seems to affect uneven regional development not only global level but also national and regional level even local level included cities. In Korea, the regional developmental gap between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 (between capital city, Seoul and non-capital city area) is deepening. Although national and/or local government tried to reduce the regional disparity, that result was unsatisfactory.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a paradigm shifting that makes to strengthen regional capacity broken up top-down regional development paradigm. Among the most important alternative regional development policy for Daegu-Gyungbuk region, I suggested that: 1) decentralization of power and making solidarity with non-capital areas, 2) enhance Daegu-Gyungbuk province’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via build up a great-sphere economic area which is realized an economy of scale, 3) Daegu-Gyungbuk region needs to strengthen an endogenous capacity through localized regional policies, 4) making a region which has a diversity and openness, 5) construction of international airport of Southern part of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세계적 차원의 경제적 메가트랜드가 대구경북의 경제 환경에 미치는 영향
      • Ⅲ. 가속화되는 지방 엑소더스(Exodus)의 場(field)으로서의 대구경북의 위치
      • Ⅳ. 지방(산업)정책의 겉과 속 그리고 명(明)과 암(暗)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세계적 차원의 경제적 메가트랜드가 대구경북의 경제 환경에 미치는 영향
      • Ⅲ. 가속화되는 지방 엑소더스(Exodus)의 場(field)으로서의 대구경북의 위치
      • Ⅳ. 지방(산업)정책의 겉과 속 그리고 명(明)과 암(暗)
      • Ⅴ. 대구경북지역의 대안적 발전방안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철우, "지역혁신체제 구축과 지방정부의 과제" 한국지역지리학회 10 (10): 9-22, 2004

      2 지역발전위원회, "지역발전과 광역경제권 전략" 2009

      3 박양춘, "지역경제의 재구조화와 도시산업공간의 재편-영남지역 연구" 한울 아카데미 2003

      4 홍철, "지방보통이 시민이 행복한 나라-지방도 잘 살 수 있다" 대구경북연구원 2011

      5 정태근, "중소벤처기업에게 공정한 지식경제부 R&D로의 도약과제" 3 : 2010

      6 이원호, "도시와 창조계급-창조 경제 시대의 도시 발전 전략" 푸른길 2008

      7 유환종, "도시연구-현대도시의 변화와 정책" 푸른길 2011

      8 서인원, "대한민국에 지방도 있다" 대구경북연구원 2011

      9 대구경북연구원, "대구경북 재도약을 위한 전략과제" 2011

      10 대구경북연구원, "대구경북 뉴디자인_행・재정" 2010

      1 이철우, "지역혁신체제 구축과 지방정부의 과제" 한국지역지리학회 10 (10): 9-22, 2004

      2 지역발전위원회, "지역발전과 광역경제권 전략" 2009

      3 박양춘, "지역경제의 재구조화와 도시산업공간의 재편-영남지역 연구" 한울 아카데미 2003

      4 홍철, "지방보통이 시민이 행복한 나라-지방도 잘 살 수 있다" 대구경북연구원 2011

      5 정태근, "중소벤처기업에게 공정한 지식경제부 R&D로의 도약과제" 3 : 2010

      6 이원호, "도시와 창조계급-창조 경제 시대의 도시 발전 전략" 푸른길 2008

      7 유환종, "도시연구-현대도시의 변화와 정책" 푸른길 2011

      8 서인원, "대한민국에 지방도 있다" 대구경북연구원 2011

      9 대구경북연구원, "대구경북 재도약을 위한 전략과제" 2011

      10 대구경북연구원, "대구경북 뉴디자인_행・재정" 2010

      11 대구경북연구원, "뉴디자인 대구경북:총괄보고서" 2010

      12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의 정치경제학" 아카넷 2000

      13 Knox & Agnew, "The Geography of the Wold Economy" Edward Arnold 1994

      14 Cameron, G. C., "The Future of the British Conurbations" Longman 1980

      15 Allen, J., "The Economy in Question" Sage 1988

      16 Graham and Marvin, "Telecommunications and the City: Electronic Spaces" Routledge 1996

      17 Paul Gottlieb, "Residential Amenities, Firm Loc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32 : 1995

      18 Healey and Ilbery, "Location and Change:Perspectives on Economic Ge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19 Florida, "Cities and the creative class" Routledge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6 1.17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