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금동철, "현대시에 나타난 수사학적 세계관 연구" 국제언어문학회 (10) : 333-352, 2004
2 김종길, "향수의 미학 -목월시의 전개 in: 문학과 지성5" 문학과지성사 579-591, 1971
3 유성호, "지상적 사랑과 궁극적 근원을 향한 의지 in: 박목월" 새미 201-221, 2002
4 김욱동, "은유와 환유" 민음사 2004
5 Hawkes, Terence, "은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0
6 Easthope, Antony, "시와 담론" 지식산업사 1994
7 Richards, I. A., "수사학의 철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1
8 박목월, "보라빛 소묘" 신흥출판사 1958
9 김인섭, "박목월시의 기독교의식" 한민족어문학회 (44) : 273-298, 2004
10 오세영, "박목월론 in: 현대시와 실천비평" 이우출판사 88-111, 1983
1 금동철, "현대시에 나타난 수사학적 세계관 연구" 국제언어문학회 (10) : 333-352, 2004
2 김종길, "향수의 미학 -목월시의 전개 in: 문학과 지성5" 문학과지성사 579-591, 1971
3 유성호, "지상적 사랑과 궁극적 근원을 향한 의지 in: 박목월" 새미 201-221, 2002
4 김욱동, "은유와 환유" 민음사 2004
5 Hawkes, Terence, "은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0
6 Easthope, Antony, "시와 담론" 지식산업사 1994
7 Richards, I. A., "수사학의 철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1
8 박목월, "보라빛 소묘" 신흥출판사 1958
9 김인섭, "박목월시의 기독교의식" 한민족어문학회 (44) : 273-298, 2004
10 오세영, "박목월론 in: 현대시와 실천비평" 이우출판사 88-111, 1983
11 박선영, "박목월 후기시의 은유 분석 - ‘어머니’ 시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언어학회 (50) : 209-240, 2009
12 금동철, "박목월 후기시의 기독교적 이미지 연구"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7) : 355-379, 2003
13 손진은, "박목월 시의 향토성과 세계성" 우리말글학회 28 : 233-258, 2003
14 남금희, "박목월 시의 신앙의식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2 (12): 195-226, 2008
15 최승호, "박목월 시의 나그네 의식" 한국언어문학회 (58) : 257-281, 2006
16 김종태, "박목월 시의 가족 이미지와 내면 의식 연구" 우리말글학회 (30) : 231-251, 2004
17 금동철, "박목월 시의 ‘어머니’ 이미지와 근원의식 in: 박목월" 새미 161-184, 2002
18 금동철, "박목월 시에 나타난 기독교적 자연관 연구" 우리말글학회 (32) : 215-239, 2004
19 금동철, "박목월 시에 나타난 근원의식 in: 한국 현대시의 수사학" 국학자료원 211-238, 2001
20 최승호, "박목월 서정시의 이데올로기와 ‘어머니’ in: 서정시의 이데올로기와 수사학" 국학자료원 49-78, 2002
21 최승호, "근원에의 향수와 반근대의식 in: 박목월" 111-136, 2002
22 오세영, "‘영원(永遠)’ 탐구의 시학 - 박목월(朴木月) 론 -" 한국언어문화학회 23 : 215-250, 2003
23 Ricoeur,Paul, "The Metaphorical Process as Cognition, Imagination, and Feeling in: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Metaphor" Univ. of Minnesota Press 1981
24 Hrushovski, Benjamin, "Poetic Metaphor and Frames of Reference with Examples from Eiot, Rike, Mayakovsky, Mandelshtam, Pound, Creeley, Amichai, and the New York Times" 5 : 5-43, 1984
25 최승호, "1960년대 박목월 서정시에 나타난 구원의 시학" 한국어문학회 76 : 483-512,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