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박목월의 후기시에 나타난 초월성의 은유 미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309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plore in what metaphoric system the Christian transcendence in Park Mok-wol's late period poem 『The Big and Soft Hands』 generates poetic meanings by employing Hrushovski's theory of frame of reference and examine his esthetic renewal unveiled through this process.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metaphor of visionary life that appears in Park Mok-wol's poems. His poems embody transcendence through visionary experience by the direct revelation of God. It materializes vitality infinitely expanding via vertical and horizontal expansions. The third chapter discusses metaphor of paradoxical awakening in his poems. His poetry unveils paradoxes by identifying the death of ego with a new life. This realizes transcendent awakening as “Emptiness” by the death of ego interacts with and merges with “Refreshment” by the divine life. In the fourth chapter, metaphor of omnipresent divinity in his poetry is discussed. Park's poems written in the late period embody direct transcendence by the divine omnipresence. He materializes the omnipresent divinity as he forms various frames of reference.
      In short, Park's late period poetry 『The Big and Soft Hands』 realizes transcendence using various metaphors related with visionary life, paradoxical awakening and omnipresent divinity. His poems create poetic meanings and tension by combining various frames of reference in metaphoric relations, and thereby reveal his perceptual expansion and aesthetic renewal.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explore in what metaphoric system the Christian transcendence in Park Mok-wol's late period poem 『The Big and Soft Hands』 generates poetic meanings by employing Hrushovski's theory of frame of reference and examine his esthetic re...

      This study is to explore in what metaphoric system the Christian transcendence in Park Mok-wol's late period poem 『The Big and Soft Hands』 generates poetic meanings by employing Hrushovski's theory of frame of reference and examine his esthetic renewal unveiled through this process.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metaphor of visionary life that appears in Park Mok-wol's poems. His poems embody transcendence through visionary experience by the direct revelation of God. It materializes vitality infinitely expanding via vertical and horizontal expansions. The third chapter discusses metaphor of paradoxical awakening in his poems. His poetry unveils paradoxes by identifying the death of ego with a new life. This realizes transcendent awakening as “Emptiness” by the death of ego interacts with and merges with “Refreshment” by the divine life. In the fourth chapter, metaphor of omnipresent divinity in his poetry is discussed. Park's poems written in the late period embody direct transcendence by the divine omnipresence. He materializes the omnipresent divinity as he forms various frames of reference.
      In short, Park's late period poetry 『The Big and Soft Hands』 realizes transcendence using various metaphors related with visionary life, paradoxical awakening and omnipresent divinity. His poems create poetic meanings and tension by combining various frames of reference in metaphoric relations, and thereby reveal his perceptual expansion and aesthetic renew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머리말
      • 2. 환상적 생명 은유
      • 3. 역설적 개안 은유
      • 4. 편재적 신성 은유
      • Abstract
      • 1. 머리말
      • 2. 환상적 생명 은유
      • 3. 역설적 개안 은유
      • 4. 편재적 신성 은유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금동철, "현대시에 나타난 수사학적 세계관 연구" 국제언어문학회 (10) : 333-352, 2004

      2 김종길, "향수의 미학 -목월시의 전개 in: 문학과 지성5" 문학과지성사 579-591, 1971

      3 유성호, "지상적 사랑과 궁극적 근원을 향한 의지 in: 박목월" 새미 201-221, 2002

      4 김욱동, "은유와 환유" 민음사 2004

      5 Hawkes, Terence, "은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0

      6 Easthope, Antony, "시와 담론" 지식산업사 1994

      7 Richards, I. A., "수사학의 철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1

      8 박목월, "보라빛 소묘" 신흥출판사 1958

      9 김인섭, "박목월시의 기독교의식" 한민족어문학회 (44) : 273-298, 2004

      10 오세영, "박목월론 in: 현대시와 실천비평" 이우출판사 88-111, 1983

      1 금동철, "현대시에 나타난 수사학적 세계관 연구" 국제언어문학회 (10) : 333-352, 2004

      2 김종길, "향수의 미학 -목월시의 전개 in: 문학과 지성5" 문학과지성사 579-591, 1971

      3 유성호, "지상적 사랑과 궁극적 근원을 향한 의지 in: 박목월" 새미 201-221, 2002

      4 김욱동, "은유와 환유" 민음사 2004

      5 Hawkes, Terence, "은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0

      6 Easthope, Antony, "시와 담론" 지식산업사 1994

      7 Richards, I. A., "수사학의 철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1

      8 박목월, "보라빛 소묘" 신흥출판사 1958

      9 김인섭, "박목월시의 기독교의식" 한민족어문학회 (44) : 273-298, 2004

      10 오세영, "박목월론 in: 현대시와 실천비평" 이우출판사 88-111, 1983

      11 박선영, "박목월 후기시의 은유 분석 - ‘어머니’ 시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언어학회 (50) : 209-240, 2009

      12 금동철, "박목월 후기시의 기독교적 이미지 연구"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7) : 355-379, 2003

      13 손진은, "박목월 시의 향토성과 세계성" 우리말글학회 28 : 233-258, 2003

      14 남금희, "박목월 시의 신앙의식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2 (12): 195-226, 2008

      15 최승호, "박목월 시의 나그네 의식" 한국언어문학회 (58) : 257-281, 2006

      16 김종태, "박목월 시의 가족 이미지와 내면 의식 연구" 우리말글학회 (30) : 231-251, 2004

      17 금동철, "박목월 시의 ‘어머니’ 이미지와 근원의식 in: 박목월" 새미 161-184, 2002

      18 금동철, "박목월 시에 나타난 기독교적 자연관 연구" 우리말글학회 (32) : 215-239, 2004

      19 금동철, "박목월 시에 나타난 근원의식 in: 한국 현대시의 수사학" 국학자료원 211-238, 2001

      20 최승호, "박목월 서정시의 이데올로기와 ‘어머니’ in: 서정시의 이데올로기와 수사학" 국학자료원 49-78, 2002

      21 최승호, "근원에의 향수와 반근대의식 in: 박목월" 111-136, 2002

      22 오세영, "‘영원(永遠)’ 탐구의 시학 - 박목월(朴木月) 론 -" 한국언어문화학회 23 : 215-250, 2003

      23 Ricoeur,Paul, "The Metaphorical Process as Cognition, Imagination, and Feeling in: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Metaphor" Univ. of Minnesota Press 1981

      24 Hrushovski, Benjamin, "Poetic Metaphor and Frames of Reference with Examples from Eiot, Rike, Mayakovsky, Mandelshtam, Pound, Creeley, Amichai, and the New York Times" 5 : 5-43, 1984

      25 최승호, "1960년대 박목월 서정시에 나타난 구원의 시학" 한국어문학회 76 : 483-512,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1.03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