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크메일 차단을 위한 FQDN 확인 시스템의 구현 및 평가 = A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FQDN Check System to Filter Junk Mai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320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터넷 사용의 급격한 증가로 전자우편은 모든 분야에서 가장 보편적인 통신 수단이 되었다. 하지만 전자우편의 사용 급증으로 사용자들의 전자우편 주소가 인터넷상에 노출되고 그 부작용...

      인터넷 사용의 급격한 증가로 전자우편은 모든 분야에서 가장 보편적인 통신 수단이 되었다. 하지만 전자우편의 사용 급증으로 사용자들의 전자우편 주소가 인터넷상에 노출되고 그 부작용으로 정크 메일, 스팸 메일이라 불리는 수신을 원하지 않는 메일의 수신빈도와 그로 인한 피해가 갈수록 높아져 그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더구나 근래의 스팸, 정크 메일은 단순히 광고성 메시지를 전달하기 보다는 시스템을 공격하기 위한 바이러스나 해킹 도구를 전파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어 컴퓨터 침해 사고의 심각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스팸, 정크 메일을 FQDN 확인을 통해 차단할 수 있는 모델을 구현해서 사용해 보고 그 결과를 평가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rnet mail has become a common communication method around the world because of tremendous Internet service usage increment. In other respect, Most Internet users' mail addresses are exposed to spammer, and the damage of Junk mail is growing bigger...

      Internet mail has become a common communication method around the world because of tremendous Internet service usage increment. In other respect, Most Internet users' mail addresses are exposed to spammer, and the damage of Junk mail is growing bigger and bigger. These days, Junk mail delivery problem is becoming more serious, because this is used for an attack or propagation scheme of malicious code. It's a most dangerous dominant cause for computer system accident. This paper shows the Junk mail filtering model and implementation which is based on FQDN (Fully Qualified Domain Name) check and evaluates it for proposing advanced scheme against Junk mai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퍼지 관계 곱을 이용한 내용기반 정크 메일 분류 모델" 29 (29): 726-734, 2002

      2 "개인화된 분류를 위한 웹 메일 필터링 에이전트" 10-B (10-B): 853-861, 2003

      3 "n-Gram 색인화 Support Vector Machine을 사용한 스팸메일 필터링에 대한 연구" 14 (14): 23-31, 2004

      4 "in Learning for Text Categorization Papers from the 2000 Workshop" 2000

      5 "Size and cost of the problem" 2000

      6 "Learning to Filter Spam E-Mail A Comparison of a Nave Bayesian and a Memory-Based Approach" 1-13, 2000

      7 "Heuristics in the blender" 2002

      8 "Domain Name System Security Extensions" 2000

      9 "Developing an immunity to Spam" 2003

      10 "Computer immunology" computer immu 40 (computer immu 40): 88-, 2001

      1 "퍼지 관계 곱을 이용한 내용기반 정크 메일 분류 모델" 29 (29): 726-734, 2002

      2 "개인화된 분류를 위한 웹 메일 필터링 에이전트" 10-B (10-B): 853-861, 2003

      3 "n-Gram 색인화 Support Vector Machine을 사용한 스팸메일 필터링에 대한 연구" 14 (14): 23-31, 2004

      4 "in Learning for Text Categorization Papers from the 2000 Workshop" 2000

      5 "Size and cost of the problem" 2000

      6 "Learning to Filter Spam E-Mail A Comparison of a Nave Bayesian and a Memory-Based Approach" 1-13, 2000

      7 "Heuristics in the blender" 2002

      8 "Domain Name System Security Extensions" 2000

      9 "Developing an immunity to Spam" 2003

      10 "Computer immunology" computer immu 40 (computer immu 40): 88-, 2001

      11 "Classless IN-ADDR.ARPA delegation" 1998

      12 "Anti-Spam Recommendations for SMTP MTAs"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2000

      13 "AOL escalates Spam warfare" -5, 2003

      14 "A Comparative Study of Classification Based Personal E-Mail Filtering" 408-419, 2000

      15 "A Bayesian approach to filtering junk E-mail in Learning for Text Categorization Papers from the 2000 Workshop" 2000

      16 "A Bayesian Approach to Filtering Junk E-Mail" 1998

      17 "2003년 정보화 역기능 실태조사" 한국정보보호 진흥원 43-63,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2-10-01 평가 학술지 통합(등재유지)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