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적응 요인에 대한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04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이공계 전공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인-전공 일치정도에 따라 전공 적응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Holland 흥미이론을 검증해 보고, 나아가 전공적응에 흥미요인 외에 자아효능감 및 학과선택요인과 이공계 전공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충남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이공계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1학년을 제외한 2, 3, 4학년 총 305명이었고, 자료수집은 2009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4주 동안 이루어졌다.
      측정도구로는 안창규․안현의(2000)의 자기탐색검사를 실시하였고, 학생의 흥미유형과 학과(전공) 간의 일치도는 Healey와 Mourton(1983)의 ‘두 자리 코드’ 일치도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공만족도는 박성미(2001)에서 사용한 척도를 기초로 '학과선택의 만족', '학업수행의 만족', '진로목표의 안정성' 으로 측정하였다. 자아효능감은 홍혜영(1995)이 번역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전공선택과정에 대한 측정은 각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신입생 및 재학생 실태조사 문항을 참조하여 연구자가 문항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전공선택동기에서는 흥미를 고려하여 선택하였다고 한 학생들이 입학가능성, 취업가능성, 주위권유에 의해 선택하였다고 한 학생에 비해, 전공선택 시 전공에 대해 알고 선택한 학생들이 모르고 선택한 학생에 비해, 선택 시 본인의 의지가 중요했다고 응답한 학생이 상관없었다고 응답한 학생에 비해 전공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공선택 요인(선택지식, 선택의지), 자기효능감, 일치도 전체가 전공적응을 설명하는 양은 35.9%였다. 그리고 이 네 가지 변인들 중, 가장 전공적응을 많이 설명하는 변인은 자기효능감 16.4%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선택의지 12.9%, 선택지식3.8%, 일치도 2.9%의 순으로 나타났다. 네 개 변수 모두 투입된 최종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42.072, p<.001). 셋째, 개인흥미-전공일치도 고저와 학과적응도 고저를 기준으로 네 집단을 분류하여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7.354, p<.001). 넷째, B(일치도가 높지만 전공적응도가 낮은 집단)와 C(일치도가 낮지만 전공적응도가 높은 집단)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이공계 전공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인-전공 일치정도에 따라 전공 적응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Holland 흥미이론을 검증해 보고, 나아가 전...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이공계 전공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인-전공 일치정도에 따라 전공 적응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Holland 흥미이론을 검증해 보고, 나아가 전공적응에 흥미요인 외에 자아효능감 및 학과선택요인과 이공계 전공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충남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이공계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1학년을 제외한 2, 3, 4학년 총 305명이었고, 자료수집은 2009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4주 동안 이루어졌다.
      측정도구로는 안창규․안현의(2000)의 자기탐색검사를 실시하였고, 학생의 흥미유형과 학과(전공) 간의 일치도는 Healey와 Mourton(1983)의 ‘두 자리 코드’ 일치도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공만족도는 박성미(2001)에서 사용한 척도를 기초로 '학과선택의 만족', '학업수행의 만족', '진로목표의 안정성' 으로 측정하였다. 자아효능감은 홍혜영(1995)이 번역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전공선택과정에 대한 측정은 각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신입생 및 재학생 실태조사 문항을 참조하여 연구자가 문항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전공선택동기에서는 흥미를 고려하여 선택하였다고 한 학생들이 입학가능성, 취업가능성, 주위권유에 의해 선택하였다고 한 학생에 비해, 전공선택 시 전공에 대해 알고 선택한 학생들이 모르고 선택한 학생에 비해, 선택 시 본인의 의지가 중요했다고 응답한 학생이 상관없었다고 응답한 학생에 비해 전공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공선택 요인(선택지식, 선택의지), 자기효능감, 일치도 전체가 전공적응을 설명하는 양은 35.9%였다. 그리고 이 네 가지 변인들 중, 가장 전공적응을 많이 설명하는 변인은 자기효능감 16.4%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선택의지 12.9%, 선택지식3.8%, 일치도 2.9%의 순으로 나타났다. 네 개 변수 모두 투입된 최종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42.072, p<.001). 셋째, 개인흥미-전공일치도 고저와 학과적응도 고저를 기준으로 네 집단을 분류하여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7.354, p<.001). 넷째, B(일치도가 높지만 전공적응도가 낮은 집단)와 C(일치도가 낮지만 전공적응도가 높은 집단)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lements of major adjustment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o examine Holland's congruence hypothesis. For this purposes, data regarding Holland's Self Directed Search, Major adjustment, Self efficacy, Major decision were collected from 305 Korean college students who major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University in Chungnam(male:203, female:102). For calculating the congruence, Healey & Mourton(1983)'s 'two letter code' was util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decide one's major based on interest showed higher major adjustment than based on admission possibility, employment possibility, and other's recommendation. Also the students who knew well about the major and make the major decision with a strong will showed higher major adjustment than who didn't know well about the major and make the major decision with a week will. Secon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 efficacy, making the major decision with a knowledge and strong will, interest-major congruence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major adjustment. Among these independent variables, self efficac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major adjustment. Third, four groups were created by interest-major congruence(high vs low) and major adjustment(high vs low). The results of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self efficacy of group A(congruence high & major adjustment high), group C(congruence low & major adjustment high) was higher than group B(congruence high & major adjustment low), group D(congruence low & major adjustment low).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lements of major adjustment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o examine Holland's congruence hypothesis. For this purposes, data regarding Holland's Self Directed Search, Major adjustment, Self efficacy, Maj...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lements of major adjustment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o examine Holland's congruence hypothesis. For this purposes, data regarding Holland's Self Directed Search, Major adjustment, Self efficacy, Major decision were collected from 305 Korean college students who major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University in Chungnam(male:203, female:102). For calculating the congruence, Healey & Mourton(1983)'s 'two letter code' was util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decide one's major based on interest showed higher major adjustment than based on admission possibility, employment possibility, and other's recommendation. Also the students who knew well about the major and make the major decision with a strong will showed higher major adjustment than who didn't know well about the major and make the major decision with a week will. Secon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 efficacy, making the major decision with a knowledge and strong will, interest-major congruence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major adjustment. Among these independent variables, self efficac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major adjustment. Third, four groups were created by interest-major congruence(high vs low) and major adjustment(high vs low). The results of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self efficacy of group A(congruence high & major adjustment high), group C(congruence low & major adjustment high) was higher than group B(congruence high & major adjustment low), group D(congruence low & major adjustment low).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