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생명과학과 인문학의 생명윤리정책에 관한 의사소통의 시론적 분석 = Communication for Bioethics Policy between Life Science and Human Sc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06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fe science extends its domain transcending natural science to the field of health security, bioethics and morality based on remarkable performance in genetic modification, animal clone, stem cell and so on. As a result of that, life science has bee...

      Life science extends its domain transcending natural science to the field of health security, bioethics and morality based on remarkable performance in genetic modification, animal clone, stem cell and so on. As a result of that, life science has been risen in concern and the bioethics matters of animal clone and human clone has brought up big and heat controversies among scientists, ethicists and religious men. At this point, Korea is also under the circumstances of being risen pros and cons about bioethics and approving human clone and its hazard.
      With such discussion we can recognize that today's life science could be no more a part of natural science but a field of transcending natural science and having influence on the fields of ethics and philosophy. This study is focusing on life science's development and mutual interaction with human science.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e necessity of communication between life science and human science and the utilization of human science in life science and the role of human science in bioethics matt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생명과학은 최근 유전자 조작, 동물복제, 줄기세포 등과 같은 연 구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면서 단순한 자연과학의 영역을 초월하여 국민의 안전문제, 생명윤리나 도덕 문제의 분야까지 확...

      생명과학은 최근 유전자 조작, 동물복제, 줄기세포 등과 같은 연 구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면서 단순한 자연과학의 영역을 초월하여 국민의 안전문제, 생명윤리나 도덕 문제의 분야까지 확장되었다. 따라서 오늘날은 생명과학(공학)의 시대로 불릴 정도로 이 분야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동물복제와 인간복제에 대한 생명윤리문제는 과학자, 윤리학자, 종교인들 사이에 커다란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생명윤리와 인간복제의 허용 및 위험성 여부에 대한 찬성과 반대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우리는 오늘날의 생명과학은 인제 단순히 자연과학이라는 연구 분야를 초월하여 윤리 및 철학분야까지 미칠 수 있는 학문이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생명과학의 발전을 위한 인문학과의 의사소통의 필요성과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인문학의 활용, 생명윤리 문제에서의 인문학의 역할과 관련된 논의 등을 제시함으로써 생명과학의 발전과 인문학과의 상호연관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hadwick R, Cloning, 57 : 201-209, 1982

      2 임형백, "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유전자조작식품(GMO)의 사회상 연구" 7 (7): 333-345, 2000

      3 윤평중, "현대사회와 인문과학의 새로운 모색?, 인문과학연구소 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89-124, 1995

      4 박희주, "한국의 생명복제 논쟁" 3 (3): 47-73, 2002

      5 이진우, "포스트모던사회와 인문과학의 과제(인문과학의 이념과 방법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5

      6 정승석, "인간복제의 불교적 의미" 22 : 110-125, 1997

      7 노정선, "인간복제, 줄기세포복제와 생명윤리" 13 (13): 35-52, 2005

      8 구인회, "인간개체복제에 관한 윤리적 논쟁들" 1 (1): 1-20, 2000

      9 허남혁, "유전자조작을 둘러싼 담론(위험한 미래)" 도서출판 당대 50-88, 2000

      10 조완형, "유전자조작식품과 농업의 미래(위험한미래)" 도서출판 당대 304-328, 2000

      1 Chadwick R, Cloning, 57 : 201-209, 1982

      2 임형백, "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유전자조작식품(GMO)의 사회상 연구" 7 (7): 333-345, 2000

      3 윤평중, "현대사회와 인문과학의 새로운 모색?, 인문과학연구소 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89-124, 1995

      4 박희주, "한국의 생명복제 논쟁" 3 (3): 47-73, 2002

      5 이진우, "포스트모던사회와 인문과학의 과제(인문과학의 이념과 방법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5

      6 정승석, "인간복제의 불교적 의미" 22 : 110-125, 1997

      7 노정선, "인간복제, 줄기세포복제와 생명윤리" 13 (13): 35-52, 2005

      8 구인회, "인간개체복제에 관한 윤리적 논쟁들" 1 (1): 1-20, 2000

      9 허남혁, "유전자조작을 둘러싼 담론(위험한 미래)" 도서출판 당대 50-88, 2000

      10 조완형, "유전자조작식품과 농업의 미래(위험한미래)" 도서출판 당대 304-328, 2000

      11 박용하, "유전자 재조합된 생물(GMOs)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평가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기술연구원 1994

      12 김환석, "양의 복제, 시민의 침묵: 생명공학에 대한 사회학적 성찰" 34 : 38-45, 1997

      13 박병상, "양서류복제에서 포유로 복제까지 그 논쟁들" 1 (1): 41-56, 2000

      14 한재각, "신자유주의자의 놀라운 마술: 생명공학 신자유주의에 대한 몇 가지 작업가설(위험한미래)" 도서출판 당대 211-239, 2000

      15 서정선, "생명체 복제기술의 문제점" 6 : 32-51, 1997

      16 진교훈, "생명조작과 인간복제에 대한 철학적 고찰" 22 : 78-93, 1997

      17 남경희, "생명의 언어" 39 : 68-92, 1998

      18 서계원, "생명윤리법상 생명권과 인간배아복제의 문제" 10 : 113-144, 2004

      19 장회익, "생명과 인간" 22 : 2-18, 1997

      20 정관혜, "생명공학특허와 제3세계의 유전자 자원(위험한 미래)" 도서출판 당대 240-263, 2000

      21 양해림, "생명공학시대의 인간복제는 새로운 책임윤리를 요청하는가" 27 : 167-186, 2003

      22 김용수, "산업문명위기와 대안적 문명의 모색(언어와 문화)" 철학과 현실사 1997

      23 권영근, "녹색혁명과 유전자조작식품(위험한미래)" 도서출판 당대 89-122, 2000

      24 이영희, "과학기술대중화의 새로운 모델: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6 (6): 204-229, 1997

      25 Agriculture Online News, "“Japan's New Rules for Biotech Crop Imports.” Agriculture Online News, Website: http://www.agriculture.com// default.sph/AfNews.class?. March 28, 2001"

      26 Samabuddhi, Kultida, "“Greenpeace Urges Strict Organic Policy: Sees Global Shift to GM-free Products.” Bangkok Post. Website: http://www.bangkokpost.com/today/050401_News21.html, accessed 4/4/01, April 5, 2001"

      27 Kaufman, Marc, "“Alter Genes, Risk an Ecosystem?” Washington Post. Website: http://washingtonpost.com/wp-dyn/articles/A12592-2001 Jun2.html, accessed 6/4/01, June 4, 2001"

      28 Snow, "The Two Culture" 1959

      29 Cohen J, "The Science, Fiction, and Reality of Embryo Cloning" 4 (4): 193-203, 1994

      30 Robertson J.A., "The Question of Human Cloning" 24 (24): 6-9, 1994

      31 Paarberg,R, "The Politics of Precaution: Genetically Modified Crop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1

      32 Meadows, D. H., "The Limits to Growth, A Report for the Club of Rome's Project on the President of Mankind" Universe Books 1972

      33 Gaidford, James D, "The Economics of Biotechnology" Edward Elgar 2001

      34 Macklin R., "Splitting Embryos on the Slippery Slope" 4 (4): 209-225, 1994

      35 Beck, Ulrich, "Risky Society: Toward a New Modernity" Sage 1992

      36 Marcuse, Herbert, "One-Dimensional Man" Beacon Press 1967

      37 Shiva, Vandana, "Monocultures of the Mind: Perspectives on Biodiversity and Biotechnology" Zed Books 1993

      38 Vidal, John,, "Geneticist proposes ‘third way' on GM crops.” Manchester Guardian. Website: http://www.guardian. co.uk/uk_news/story/ 0,3604,474893,00.html, accessed 4/19/01, April 19, 2001"

      39 Nelson, Gerald C.,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in Agriculture: Economics and Politics" Academic Press 2001

      40 Ticciati, Laura, "Genetically Engineered Foods: Are They Safe? You Decide. Mass Market Paperback, 1998"

      41 Teitel, Martin, "Genetically Engineered Food: Changing the Nature of Nature: What You Need to Know to Protect Yourself, Your Family, and Our Planet" Park Street Press 1999

      42 Anderson, Luke, "Genetic Engineering, Food, and Our Environment" Chelsea Green Publishing Company 1999

      43 Dawkins, Kristin, "Gene Wars: The Politics of Biotechnology" Seven Stories Press 1997

      44 Ramsey P., "Fabricated Man. The Ethics od Genetic Control. New Heaven. London, 1970"

      45 Ledergerg, J., "Experimental Genetics and Human Evolution, The American Naturalist. 100, 1966, pp. 519-531"

      46 Lappe, Marc, "Against the Grain: Biotechnology and the Corporate Takeover of Your Food" LPC 1998

      47 Goldsmith E., "A Blueprint for Survival" 2 (2): 1-43, 1972

      48 조인래, "21세기 과학기술의 도전과 대응" 철학과 현실사 1999

      4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005 바이오안전성백서" 아이월 2005

      5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003 바이오안전성백서" 아이월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6 1.32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