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상이성과 결혼 안정성 = Spouse Dissimilarity and Marital Stability of Divorced Couples of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646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국제결은 부부 중에서 이혼한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징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살펴보고, 이들 부부의 연령과 교육 같은 사회인구학적 차이가 결혼 안정성에 어떠한 영항을 미쳤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통계청이 발표한 1995년부터 2005년 까지의 혼인 및 이혼신고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징과 차이는 외국 출신 배우자의 성별과 국적에 따라 다르다. 사회인구학적 특징과 차이는 남편이 외국 출신인가 아니면 부인이 외국 출신인가에 따라 달라질 뿐만 아니라, 외국 출신 배우자의 구체적인 출신 국가별로도 큰 차이를 보인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징 중에서 연령과 학력의 상이성은 국제결혼의 결혼 앚정성에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연령 상이성이 교육 상이성보다 결혼 안정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외국 출신 배우자의 성별과 출신국가는 사회인구학적 차이와 결혼 안정성 사이의 관계에도 영항을 미친다. 외국 출신 남편과의 국제결혼에 비해 외국 출신 부인과의 국제 결혼의 경우에 연령과 학력의 상이성이 결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다. 특히 필리핀, 몽골, 우즈베키스탄을 제외한 외국 출신 부인의 경우에는 남편과 부인의 교육수준이 동일한 경우 결혼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외국 출신 남편의 경우에는 남편의 교육 수준이 부인보다 높을 경우 결혼 안정성이 놓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국제결은 부부 중에서 이혼한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징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살펴보고, 이들 부부의 연령과 교육 같은 사회인구학적 차이가 결혼 안정성에 어...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국제결은 부부 중에서 이혼한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징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살펴보고, 이들 부부의 연령과 교육 같은 사회인구학적 차이가 결혼 안정성에 어떠한 영항을 미쳤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통계청이 발표한 1995년부터 2005년 까지의 혼인 및 이혼신고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징과 차이는 외국 출신 배우자의 성별과 국적에 따라 다르다. 사회인구학적 특징과 차이는 남편이 외국 출신인가 아니면 부인이 외국 출신인가에 따라 달라질 뿐만 아니라, 외국 출신 배우자의 구체적인 출신 국가별로도 큰 차이를 보인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징 중에서 연령과 학력의 상이성은 국제결혼의 결혼 앚정성에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연령 상이성이 교육 상이성보다 결혼 안정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외국 출신 배우자의 성별과 출신국가는 사회인구학적 차이와 결혼 안정성 사이의 관계에도 영항을 미친다. 외국 출신 남편과의 국제결혼에 비해 외국 출신 부인과의 국제 결혼의 경우에 연령과 학력의 상이성이 결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다. 특히 필리핀, 몽골, 우즈베키스탄을 제외한 외국 출신 부인의 경우에는 남편과 부인의 교육수준이 동일한 경우 결혼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외국 출신 남편의 경우에는 남편의 교육 수준이 부인보다 높을 경우 결혼 안정성이 놓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pattern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ivorced couples of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effect of dissimilarity between husband and wife on the duration of marriage of divorced couples. It examines whether the differences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married couples are linked to different process within their relationships and duration of marriage. Attention is focused on couple’s age and education. Micro-data from divorce registration for the period of 1995-2005 are utilized. Results of analyses reveal the following. First, married couples may have different responses to dissimilarity between the partner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nationality of the couples. This indicates that cross-border marriage does not represent the same type of union in different societies or cultures. Second, both dissimilarities of age and education show negative impacts on the marital duration of the couples with foreign wives,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its pattern. Age dissimilarity displays higher impacts on the duration. Third, the result also indicates that the contribution of dissimilarity of age and education on marital duration is relatively small among the couples with foreign husbands.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the pattern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ivorced couples of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effect of dissimilarity between husband and wife on the duration of marriage of divorced c...

      This study explores the pattern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ivorced couples of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effect of dissimilarity between husband and wife on the duration of marriage of divorced couples. It examines whether the differences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married couples are linked to different process within their relationships and duration of marriage. Attention is focused on couple’s age and education. Micro-data from divorce registration for the period of 1995-2005 are utilized. Results of analyses reveal the following. First, married couples may have different responses to dissimilarity between the partner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nationality of the couples. This indicates that cross-border marriage does not represent the same type of union in different societies or cultures. Second, both dissimilarities of age and education show negative impacts on the marital duration of the couples with foreign wives,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its pattern. Age dissimilarity displays higher impacts on the duration. Third, the result also indicates that the contribution of dissimilarity of age and education on marital duration is relatively small among the couples with foreign husban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이론적 틀과 자료
      • Ⅲ. 분석결과
      • Ⅳ. 토의
      • 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이론적 틀과 자료
      • Ⅲ. 분석결과
      • Ⅳ. 토의
      • 참고문헌
      • ENGLISH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