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 목적 훈민정음은 세계의 다른 문자에서 찾아 볼 수 없는 여러 가지의 독특한 성격을 띠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성은 임금이 백성들의 편리한 문자생활을 위해 만들었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8981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 목적 훈민정음은 세계의 다른 문자에서 찾아 볼 수 없는 여러 가지의 독특한 성격을 띠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성은 임금이 백성들의 편리한 문자생활을 위해 만들었다...
1. 연구 목적
훈민정음은 세계의 다른 문자에서 찾아 볼 수 없는 여러 가지의 독특한 성격을 띠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성은 임금이 백성들의 편리한 문자생활을 위해 만들었다는 점이다. 또한 과학적 제자 원리를 갖고 있으며, 성리학적 철학을 창제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 역시 훈민정음의 주요 특성이다. 필자는 훈민정음이란 문자 체계에 태생적으로 보편적 가치가 내재되어 있음에 주목하고, 이것이 가진 본질적 의미가 무엇이며, 오늘날의 현실 속에서 갖는 의미를 찾고자 한다. 이 과제의 연구 목적은 훈민정음이 갖는 특성을 ‘보편적 가치’라는 관점에서 논하고, 그것이 갖는 역사적 의미와 현재적 의의를 밝히는 것으로 요약된다.
2. 연구 내용
필자는 훈민정음은 태생적(胎生的)으로 다음 세 가지의 보편적 가치를 내재하고 있다고 본다. 첫째는 민주성, 둘째는 과학성, 셋째는 철학성이 그것이다.
세종이 지은 훈민정음 서문에 나와 있듯이, 이 문자의 창제 목적은 한자와 한문을 모르는 백성들의 문자 생활을 편하게 하는 데 있으며, 이것이 바로 민주성이다. 훈민정음은 바로 민(民)이 주인 되는 문자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 점을 필자는 훈민정음의 민주성이라 부른다. 훈민정음이 비록 태생적으로 민주성을 내재하고 있었지만 이 속성이 창제 후 조선사회에서 바로 실현된 것은 아니다. 민(民)의 절대 다수가 이 문자를 제 것으로 만들어 활용하기까지는 매우 긴 세월이 소요되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민주성의 실현 과정을 역사적 관점에서 논하고, 현대 사회에서 이 민주성이 갖는 의의를 고찰할 것이다.
한글이 지닌 두 번째의 보편적 가치는 과학성이다. 초성자(자음자)는 창제 당시 기본 글자 다섯 개를 발음기관의 작용 모습과 발음기관을 본떠 만들었고, 이 기본자에 가획을 하여 다른 글자를 만들었다. 가획의 근거도 ‘소리의 세기’라는 음성과학적 기준에 따라 이루어졌다. 한글의 중성(모음자)은 혀의 움츠림(舌縮)의 정도를 삼등분하여 기본자 세 개를 배정하고, 이 기본자를 합성하여 다른 글자를 만들었다. 이러한 음성학적 분석과 가획 및 합성이라는 체계적 제자 방법은 한글의 과학성을 말하는 근거이다. 필자는 이 과학성의 근거를 논하면서 이것이 현대의 과학 기술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고찰할 것이다.
훈민정음에 내재된 세 번째의 보편적 가치는 철학성이다.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에 작용한 성리학의 몇 가지 원리가 철학성의 실체인 바 삼재론, 음양론, 오행론, 상수론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세 가지 이론이 훈민정음 문자체계에 작용한 양상을 고찰하고 이것이 현대인의 삶에 어떤 의미를 가진 것인지 논할 것이다.
3. 연구 방법
본 과제의 핵심적 연구 방법은 보편적 가치라는 관점에서 훈민정음이 지닌 내재적 특성을 새롭게 해석하는 데 있다. 이는 훈민정음에 대한 연구 관점의 혁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론적 측면에서 본 과제는 기본적으로 문헌학(philology)을 토대로 한다. 문헌학의 범위를 좀더 좁혀서 명확히 표현하면 ‘문헌해석학’이라 할 수 있다. 문헌학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문헌이 가진 역사적 가치와 사상사적 의미를 궁구하는 학문이 문헌해석학이다. 문헌해석학은 문헌의 본문에 대한 정밀한 분석과 그 의미에 대한 해석, 그 문헌의 사회 역사적 배경을 분석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과제는 문헌해석학의 연구방법에 기초를 두고, 보편적 가치’에 대한 관점을 세워 그 개념을 정립할 것이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투영된 보편적 가치는 어떤 것이 있는지 분석하고, 선행 연구 업적에서 관련된 내용을 찾아 활용할 것이다. 이어서 필자가 보편적 가치로 설정한 민주성, 과학성, 철학성의 뜻을 밝히고 이것이 보편적 가치가 될 수 있음을 논할 것이다. 끝으로 이 보편적 가치가 훈민정음 창제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역사적으로 어떤 변화를 겪어 왔으며, 그 변화가 현대 한국인에게 어떤 의미를 가진 것인지를 논할 것이다. 본 과제의 이러한 연구 방법론은 훈민정음 연구에서 새로운 시도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