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論語>에 대한 正祖의 철학적 관점 분석 − <論語講義> 御製條問 및 條對와 <魯論夏箋> 問答을 중심으로 − = An Analysis into the philosophical viewpoints of Jôngjo(正祖) about the text of Nonô(論語)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into Jôngjo's philosophical viewpoints of Nonô(論語)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Nonôgangui(論語講義) and Nolonhajôn(魯論夏箋). These two texts comprised dialogues between Jôngjo passed judgement on Confucius' moral conducts and the method of teaching, and entertained a doubt as to Juja's Neo-Confucian interpretations of Nonô. Also he should propose new political interpretations of Nonô, for he was actual king of Chosôn dynasty. Ostensibly he recognized Juja's Neo-Confucian interpretations as an orthodox doctrine. However it was evident that he doubted the status of Confucius as a saint and the authority of Neo-Confucian interpretations of Nonô.
      번역하기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into Jôngjo's philosophical viewpoints of Nonô(論語)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Nonôgangui(論語講義) and Nolonhajôn(魯論夏箋). These two texts comprised dialogues between Jôngjo passed judgement ...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into Jôngjo's philosophical viewpoints of Nonô(論語)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Nonôgangui(論語講義) and Nolonhajôn(魯論夏箋). These two texts comprised dialogues between Jôngjo passed judgement on Confucius' moral conducts and the method of teaching, and entertained a doubt as to Juja's Neo-Confucian interpretations of Nonô. Also he should propose new political interpretations of Nonô, for he was actual king of Chosôn dynasty. Ostensibly he recognized Juja's Neo-Confucian interpretations as an orthodox doctrine. However it was evident that he doubted the status of Confucius as a saint and the authority of Neo-Confucian interpretations of Nonô.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정조 문집 가운데 『論語』 관계 토론서인 『論語講義』와 『魯論夏箋』을 중심으로 정조의 論語觀을 살펴본 것이다. 두 작품에는 정조가 다양한 학파의 文臣들과 『論語』 경문에 대해 질문하고 토론한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곳에서 정조는 聖人으로서의 孔子의 처신 및 교육방법 등을 비판적으로 문제 삼았고, 주희의 경전해석 경향에 대해서도 강한 의문을 표명했다. 정치적 문제에서도 君師 혹은 聖王으로서의 자신의 처지에 입각해 『논어』에 대한 독특한 정치적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정조가 『논어』와 이에 대한 주희 해석을 가장 권위 있는 학설로 인정한 것은 사실이지만, 당시 진행된 실제 講義 내용을 보면 이미 聖人과 주희 학설에 대한 상당한 수준의 비판적 논의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정조 문집 가운데 『論語』 관계 토론서인 『論語講義』와 『魯論夏箋』을 중심으로 정조의 論語觀을 살펴본 것이다. 두 작품에는 정조가 다양한 학파의 文臣들과 『論語』 경문...

      본 논문은 정조 문집 가운데 『論語』 관계 토론서인 『論語講義』와 『魯論夏箋』을 중심으로 정조의 論語觀을 살펴본 것이다. 두 작품에는 정조가 다양한 학파의 文臣들과 『論語』 경문에 대해 질문하고 토론한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곳에서 정조는 聖人으로서의 孔子의 처신 및 교육방법 등을 비판적으로 문제 삼았고, 주희의 경전해석 경향에 대해서도 강한 의문을 표명했다. 정치적 문제에서도 君師 혹은 聖王으로서의 자신의 처지에 입각해 『논어』에 대한 독특한 정치적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정조가 『논어』와 이에 대한 주희 해석을 가장 권위 있는 학설로 인정한 것은 사실이지만, 당시 진행된 실제 講義 내용을 보면 이미 聖人과 주희 학설에 대한 상당한 수준의 비판적 논의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문식, "조선후기경학사상연구" 일지사 1996

      2 정옥자, "조선후기 문화운동사" 일조각 1988

      3 배병삼, "조선 후기 개혁사상의 고찰: 정조와 정약용을 중심으로, in: 한국정치의 재성찰, 한국정치학회 편" 한울 1996

      4 이병찬, "정조조의 시경강의" 근역한문학회 12 : 1994

      5 김문식, "정조의 제왕학" 태학사 2007

      6 정옥자, "정조의 수상록, 일득록 연구" 일지사 2000

      7 안재순, "정조의 서학관" 동양철학연구회 27 : 2001

      8 정옥자,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효형출판사 2001

      9 박현모, "정조의 군사론 비판:초계문신제와 문체반정을 중심으로" 한국실학연구회 2 : 2000

      10 김호, "정조의 俗學 비판과 正學論" 한국사연구회 (139) : 205-236, 2007

      1 김문식, "조선후기경학사상연구" 일지사 1996

      2 정옥자, "조선후기 문화운동사" 일조각 1988

      3 배병삼, "조선 후기 개혁사상의 고찰: 정조와 정약용을 중심으로, in: 한국정치의 재성찰, 한국정치학회 편" 한울 1996

      4 이병찬, "정조조의 시경강의" 근역한문학회 12 : 1994

      5 김문식, "정조의 제왕학" 태학사 2007

      6 정옥자, "정조의 수상록, 일득록 연구" 일지사 2000

      7 안재순, "정조의 서학관" 동양철학연구회 27 : 2001

      8 정옥자,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효형출판사 2001

      9 박현모, "정조의 군사론 비판:초계문신제와 문체반정을 중심으로" 한국실학연구회 2 : 2000

      10 김호, "정조의 俗學 비판과 正學論" 한국사연구회 (139) : 205-236, 2007

      11 "정조실록"

      12 김흥규, "정조시대의 시경강의" 일지사 7 : 1981

      13 정옥자, "정조시대의 사상과 문화" 돌베개 1999

      14 심경호, "정조 연간의 규장각의 詩經講義에 관한 연구" 한국한시학회 9 : 2001

      15 남현희, "일득록, 정조대왕어록" 문자향 2008

      16 한영우, "문화정치의 산실, 규장각" 지식산업사 2008

      17 김문식, "규장각: 그 역사와 문화의 재발견" 서울대출판문화원 2009

      18 박헌순, "국역 홍재전서(제9권)" 민족문화추진회 1999

      19 김성애, "국역 홍재전서(제8권)" 민족문화추진회 1998

      20 양홍렬, "국역 홍재전서(제2권)" 민족문화추진회 1998

      21 박소동, "국역 홍재전서(제16권)" 민족문화추진회 1999

      22 조순희, "국역 홍재전서(제14권)" 민족문화추진회 1999

      23 장재한, "국역 홍재전서(제12권)" 민족문화추진회 2000

      24 장승희, "공자사상에서 정서교육의 해법 찾기『논어』에 대한 경영학적 해석" 동양철학연구회 (61) : 159-192, 2010

      25 유봉학, "개혁과 갈등의 시대" 신구문화사 2009

      26 안재순, "韓國近世史에 있어서 正祖의 統治哲學에 關한 硏究" 성균관대 1990

      27 박현모, "正祖의 蕩平정치 연구: 성왕론의 이념과 한계" 한국정치학회 34 (34): 2000

      28 정일균, "正祖의 『論語』論(Ⅰ) - 『魯論夏箋』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8) : 223-247, 2009

      29 안병걸, "正祖 御製條問의 經學觀:경사강의, 大學條問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39 : 2001

      30 "弘齋全書Ⅰ-Ⅴ, 文化財管理局 藏書閣 所藏本 影印"

      31 김인규, "弘齋 正祖의 學問觀" 온지학회 23 (23): 293-320, 2009

      32 김문식, "尙書講義를 중심으로 본 正祖의 經學사상" 한국사연구회 75 : 1991

      33 윤용남, "孔子 仁思想의 體用理論的 分析- 朱子의 『論語集註』說을 中心으로 -" 동양철학연구회 32 : 119-152, 2003

      34 朱熹, "四書章句集註" 中華書局 1983

      35 김용재, "『論語』古注를 통해 본 『論語』經文의 해석학적 이해[1]" 동양철학연구회 (59) : 7-58, 2009

      36 김용재, "『論語』 編纂에 대한 異見과 諸註釋을 통해 본 孔子의 敎育精神" 한국한문고전학회 16 (16): 331-355, 2008

      37 장승희, "<<論語>> <鄕黨>을 통해 본 禮의 本質과 作用原理" 한국유교학회 (30) : 109-138,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철학연구(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 동양철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1.39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