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제주도의 지질과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II): = The Study on Geology and Volcanism in Jeju Island (II): Petrochemistry and 40Ar/39Ar Absolute Ages of the Volcanic Rocks in Gapado-Marado, Jeju Is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761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가파도와 마라도를 구성하는 용암류에 대한 40Ar-39Ar 절대연대 자료를 포함한 암석학적 특징을 보고하고 그 화산활동에 대해 고찰한다. 가파도의 용암류...

      이 연구는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가파도와 마라도를 구성하는 용암류에 대한 40Ar-39Ar 절대연대 자료를 포함한
      암석학적 특징을 보고하고 그 화산활동에 대해 고찰한다. 가파도의 용암류는 판상절리가 발달되어 있고 담황색 내지
      담회색을 띠는 비현정질 부분과 진회색의 괴상질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암질에 따라 차별적 풍화 침식을 받았다. 한
      편, 마라도의 용암류는 비록 용암단위별로 그 조직이 미약한 차이를 가지지만, 주로 다공질 혹은 취반상 조직의 용암
      류이다. 시추코어의 지화학 자료는 가파공의 경우 현무암질 조면안산암(SiO2 52.6-53.6 wt%, Na2O+K2O 7.3-7.5 wt%)
      이, 마라공은 솔리아이트질 안산암(SiO2 51.7-52.8 wt%, Na2O+K2O 3.6-4.1 wt%)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지시한다. 가
      파도 암류의 40Ar-39Ar 절대연대는 824±32 Ka에서 758±9 Ka로서, 인접한 산방산 조면암(Won et al., 1986)에 대비된
      다. 한편, 마라도의 것은 259±168 Ka로서, 비록 오차 범위가 넓어 정확한 연대를 제시하지는 못하지만 인접한 덕수
      공과 상모2호공에서의 암석 성분과 연대 관계를 고려하면 260-150 Ka기간 동안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용암
      류의 산상, 인접 시추공과의 대비 및 해수면하의 지형을 고려하면, 제주도 남서부 지역에서 가파도는 산방산 조면암
      의 분출시기와 유사한 시기에 화산활동으로 한편, 마라도는 이후 260-150 Ka기간 동안 화산활동에 의해 각각 육상 환
      경에서 독립된 화산체를 이루었으며, 이후 해침에 의해 침식이 많이 진행되어 현재의 형태를 이루었음을 지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report petrologic characteristics including 40Ar-39Ar absolute ages of the subsurface lavas recovered from borehole cores in two islets, Marado and Gapado, off the southwestern coast of Jeju in southernmost Korea and discuss on the volcanism in th...

      We report petrologic characteristics including 40Ar-39Ar absolute ages of the subsurface lavas recovered from
      borehole cores in two islets, Marado and Gapado, off the southwestern coast of Jeju in southernmost Korea and discuss on the volcanism in the region. The lavas in Gapado are apparently divided into one unit with bright colored,
      aphanitic texture and sheet jointed, and another unit with dark colored and massive. The outcrops often show differentially weathered pattern due to textural difference. While, the lavas in Marado have vesicular and glomerporphyric texture, even though each lava flow unit in Marado has slight unique texture with variation of vesicularity and phenocryst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rock core samples from Gapa borehole and Mara borehole shows that the lavas from Gapado and Marado are classified into basaltic trachyandesite(SiO2 52.6-53.6 wt%, Na2O+K2O 7.3-7.5 wt%) and tholeiitic andesite(SiO2 51.7-52.8 wt%, Na2O+K2O 3.6-4.1 wt%), respectively. The measured 40Ar-39Ar plateau ages range from 824±32 Ka(MSL -69 m) to 758±9 Ka(MSL 19 m) for core samples of Gapa borehole and 259±168 Ka(MSL -26 m) for a core sample of Mara borehole, respectively. The absolute age of Gapado basaltic trachyandesite is well correlated with that of Sanbangsan trachyte(Won et al., 1986). Meanwhile, the age of a sample in Marado has 259±168 Ka(MSL -26 m) with poor plateau age formation and high error range. We report the data in caution but the rock composition and absolute age of Marado tholeiitic andesite are relatively correlated with those of lava units from Duksu and Sangmo-2 boreholes, indicating the volcanism during 260-150 Ka. On the basis of interpretation of occurrences of exposed and subsurface volcanic rocks of the study area, stratigraphic relationship with adjacent borehole cores and the bathymetry chart of surrounding area, it indicates that the lavas in Gapado were formed around 800 Ka during relatively early stage of volcanic activity in Jeju Island. Meanwhile, Marado may have originated around 260-150 Ka during relatively young stage of volcanism in Jeju Island. It is inferred that the volcanisms have originated in land and these islets were individual ancient volcanoes. The apparent topography has been re-shaped by tidal erosion due to transgres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 2. 연구 방법
      • 3. 지질 개요
      • 4. 결과 및 토의
      • 4. 결 론
      • 1. 서 론
      • 2. 연구 방법
      • 3. 지질 개요
      • 4. 결과 및 토의
      • 4. 결 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