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목(耳目) 관련 관용어(慣用語)의 발상(發想)과 표현(表現) -한,일,영어의 관용어 비교- = 耳目關聯 慣用語の發想と表現 -韓,日,英慣用語の比較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일·영 세 언어권의 이목 관련 관용어를 발상과 표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목 관련 관용어는 651개이며, 귀 관련 관용어에 비해 눈 관련 관용어가 압도적으로 많다. 한·일·영 세 언어권의 동의·동형의 관용어는 10% 미만이며, 두 언어권에 공통되는 것을 합쳐도 대체로 10% 대다. 세 언어권의 관계는 한·일 관계가 가장 밀접하고, 일·영 관계가 한·영관계보다 밀접한 경향을 보인다. 세 언어권의 관용어는 개념 면에서 유형화해 볼 때, 귀 관련 관용어는 주의·관심을 나타내는 유형이 가장 빈도가 높고, 이해·판단류, 청각 기능류, 표정·태도류의 순으로 빈도가 낮아진다. 언어권에 따른 경향은 대부분의 고빈도 유형이 일본어권에 속하고, 한국어권이 판단·이해력류 한 가지만 우세를 보인다. 눈 관련 관용어는 주의·관심류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감정류, 표정·태도류, 판단이해(력)류의 순으로 빈도가 낮아진다. 고빈도는 귀 관련 관용어와는 달리 언어권에 따라 분산된 경향을 보인다. 한국어의 감정류, 일본어의 시각 기능류, 태도·표정류, 영어의 판단·이해(력)류, 주의·관심류가 우세를 보인다. 귀 관련 관용어의 특징은 한국어권의 청각 능력류, 주의·관심류 등이 소극적 경향이 강하고, 경험류의 예가 많고, 영어권의 싸움류 아첨류 등 특이한 유형의 관용어가 많다는 것이다. 눈 관련관용어의 특징은 무엇보다 한국어권의 감정류가 두드러진 빈도를 보이며,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주의·관심류가 언어권에 따라 특징적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이렇게 이목 관련 관용어는 발상과 문화에 따라 표현을 달리한다.
      번역하기

      한·일·영 세 언어권의 이목 관련 관용어를 발상과 표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목 관련 관용어는 651개이며, 귀 관련 관용어에 비해 눈 관련 관용어가 압도적으로 많다. 한·일·영 세 언�...

      한·일·영 세 언어권의 이목 관련 관용어를 발상과 표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목 관련 관용어는 651개이며, 귀 관련 관용어에 비해 눈 관련 관용어가 압도적으로 많다. 한·일·영 세 언어권의 동의·동형의 관용어는 10% 미만이며, 두 언어권에 공통되는 것을 합쳐도 대체로 10% 대다. 세 언어권의 관계는 한·일 관계가 가장 밀접하고, 일·영 관계가 한·영관계보다 밀접한 경향을 보인다. 세 언어권의 관용어는 개념 면에서 유형화해 볼 때, 귀 관련 관용어는 주의·관심을 나타내는 유형이 가장 빈도가 높고, 이해·판단류, 청각 기능류, 표정·태도류의 순으로 빈도가 낮아진다. 언어권에 따른 경향은 대부분의 고빈도 유형이 일본어권에 속하고, 한국어권이 판단·이해력류 한 가지만 우세를 보인다. 눈 관련 관용어는 주의·관심류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감정류, 표정·태도류, 판단이해(력)류의 순으로 빈도가 낮아진다. 고빈도는 귀 관련 관용어와는 달리 언어권에 따라 분산된 경향을 보인다. 한국어의 감정류, 일본어의 시각 기능류, 태도·표정류, 영어의 판단·이해(력)류, 주의·관심류가 우세를 보인다. 귀 관련 관용어의 특징은 한국어권의 청각 능력류, 주의·관심류 등이 소극적 경향이 강하고, 경험류의 예가 많고, 영어권의 싸움류 아첨류 등 특이한 유형의 관용어가 많다는 것이다. 눈 관련관용어의 특징은 무엇보다 한국어권의 감정류가 두드러진 빈도를 보이며,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주의·관심류가 언어권에 따라 특징적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이렇게 이목 관련 관용어는 발상과 문화에 따라 표현을 달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韓·日·英語圈の耳目關聯慣用語を發想と表現を中心にしらべて 見た. 耳目かんれん慣用語は651個である, 耳かんれん慣用語が169 個, 目かんれん慣用語が481個であつて目かんれん慣用語が壓倒的に 多い. 韓·日·英同意同形の慣用語は10%未滿であり, 二つの言語に共 通する慣用語は耳目共に韓日關係がいちばん密接であり, 日英關係 が韓英關係より密接である. 韓·日·英慣用語を槪念的に類型化すると耳かんれん慣用語は注 意·關心, 判斷·理解等の頻度がたかいし, 目かんれん慣用語の頻度 は注意·注目·關心, 感情, 視線·表情·態度等が高い. このような 現象は發想に原因があるといえる. 言語圈によつた傾向は耳かんれ ん慣用語は高頻度の慣用語が日本語に偏向されているのにだいして, 目かんれん慣用語は韓國語の感情, 日本語の視覺機能, 英語の判斷· 理解等が高い頻度を示して分散された傾向がある. 槪念的類型の特性は耳かんれん慣用語のばあい第3類(判斷·理解力)と第8類(經驗)の韓國語慣用語の頻度が高い. 第4類(注意·關心) は韓國語のばあい日·英語とは異なつて消極的聽取態度をみせる. 第9類(感情)は目かんれん慣用語とちがつて例がすくない. 第11類以 下第16類は英語慣用語にあらわれるだけて發想と文化的差をみせ る. 目かんれん慣用語は感情を現わす韓國慣用語, 注意·關心をあら わす日·英語の慣用語がたかい頻度を示すのが特徵的現象である. 第4類(注目·關心)はいちばん頻度が高いのであつて韓國語は關心, 日語は注視·注目, 英語は注意·警戒をあらわすのが多くて差を示 す. 第9類(感情)は皆たかい頻度をみせるが韓國語のほうが壓倒的で ある. 現わす感情は韓·日·英語圈に差がある. 第16類(秋波), 第17類 (あらそい)は英語圈だけの特殊な慣用語である. 耳と目は同じく感覺器官であるが言語圈の發想と文化によつて慣 用語には以上調べて見たように差が生ずる. したがつて效果的な疏 通をする爲には發想と表現に注意すべきである.
      번역하기

      韓·日·英語圈の耳目關聯慣用語を發想と表現を中心にしらべて 見た. 耳目かんれん慣用語は651個である, 耳かんれん慣用語が169 個, 目かんれん慣用語が481個であつて目かんれん慣用語が...

      韓·日·英語圈の耳目關聯慣用語を發想と表現を中心にしらべて 見た. 耳目かんれん慣用語は651個である, 耳かんれん慣用語が169 個, 目かんれん慣用語が481個であつて目かんれん慣用語が壓倒的に 多い. 韓·日·英同意同形の慣用語は10%未滿であり, 二つの言語に共 通する慣用語は耳目共に韓日關係がいちばん密接であり, 日英關係 が韓英關係より密接である. 韓·日·英慣用語を槪念的に類型化すると耳かんれん慣用語は注 意·關心, 判斷·理解等の頻度がたかいし, 目かんれん慣用語の頻度 は注意·注目·關心, 感情, 視線·表情·態度等が高い. このような 現象は發想に原因があるといえる. 言語圈によつた傾向は耳かんれ ん慣用語は高頻度の慣用語が日本語に偏向されているのにだいして, 目かんれん慣用語は韓國語の感情, 日本語の視覺機能, 英語の判斷· 理解等が高い頻度を示して分散された傾向がある. 槪念的類型の特性は耳かんれん慣用語のばあい第3類(判斷·理解力)と第8類(經驗)の韓國語慣用語の頻度が高い. 第4類(注意·關心) は韓國語のばあい日·英語とは異なつて消極的聽取態度をみせる. 第9類(感情)は目かんれん慣用語とちがつて例がすくない. 第11類以 下第16類は英語慣用語にあらわれるだけて發想と文化的差をみせ る. 目かんれん慣用語は感情を現わす韓國慣用語, 注意·關心をあら わす日·英語の慣用語がたかい頻度を示すのが特徵的現象である. 第4類(注目·關心)はいちばん頻度が高いのであつて韓國語は關心, 日語は注視·注目, 英語は注意·警戒をあらわすのが多くて差を示 す. 第9類(感情)は皆たかい頻度をみせるが韓國語のほうが壓倒的で ある. 現わす感情は韓·日·英語圈に差がある. 第16類(秋波), 第17類 (あらそい)は英語圈だけの特殊な慣用語である. 耳と目は同じく感覺器官であるが言語圈の發想と文化によつて慣 用語には以上調べて見たように差が生ずる. したがつて效果的な疏 通をする爲には發想と表現に注意すべきである.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