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創制),실용(實用)의 불교문화학적(佛敎文化學的) 고찰(考察) = A Study on the Invention of Korean Alphabet (hunmin chongum) and its Influence on Buddhist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255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그동안 이 훈민정음은 세종의 친제에다 집현전 학사 정인지·최항·신숙주·성삼문·이개 등의 협조로 완성되었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그러나 이 훈민정음은 그 당시 조정·유교계가 중국과 제휴하여 건국의 이념과 국시의 차원에서 극구 반대·부인하던 문자였으니, 그 유신 정예학자인 집현전 학사들이 이 훈민정음의 창제에 적극 협력했다는 것은 불합리한 사실이 아닐 수 없다. 기실 그유신 학사들은 문자로서의 ‘훈민정음’ 창제에 직접 참여한 것이 아니라, 어명에 의하여 훈민정음해례본 그 책자로서의 ‘訓民正音’을 저술하고 나아가 <용비어천가>나 <동국정운> 등을 역해하는 데에 주력했을 뿐이었다. 따라서 이 문자로서의 훈민정음은 세종이 친제하였으되, 오직천재적 군왕으로서 신화적으로 창제한 것이 아니고, 적어도 국자의 어제에 따른 정식 절차를 밟았다는 것이다. 즉위 20년을 넘어서면서 숭불주가 된 세종이 당시 건국 이념·국시에 반해서 새로운 문자로 불경·불서를 간행·홍포하여 불교중흥과 함께 불교왕국의 재건을 갈망·고대하던 불교계에 명하여 그 훈민정음을 제진케 한 것이었다. 이에 세종은 그 창제의 총체적 책임자로서 승왕의 대망을 품었던 수양대군을 그 총괄적 주관자로, 당대 불교계를 대표하는 학승 신미·수미·설준·홍준·효운·지해·해초·사지·학열·학조·김수온 등을 전문적 실무자로 위촉하여 극비리에 이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실험·확정·공표했던 것이다. 이어 조정·유신과 중국측의 반대·위협에 직면한 세종은 한자음 개신과 운서 간행이나 <용비어천가> 제작 등의 명분으로 이를 극복하고 왕권으로 조정·유교계와 왕실·불교계에 그 활용을 적극 권장·강요하게 되었다. 이에 왕실·불교계에서는 그 창제 즉시로부터 훈민정음을 불교문자로 수용하여 15세기 말까지 <월인천강지곡>·<석보상절>·<월인석보>는 물론, 간경도감의 수많은 불경언해를 간행하였지만, 조정·유교계에서는 훈민정음을 냉대·무시했을 뿐만 아니라, 유경언해나 삼강행실도언해·두시언해, 실용서언해 등을 강력히 하명 받고도 15세기 말까지는 온갖 핑게로 유보·연기했던 것이 분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이 훈민정음은 그 창제·실용과정에서 적어도 15세기 말까지 조정·유교계의 장벽과 박해 아래, 불교중흥과 불교문화 발전을 위하여 크게 기여하여 왔다고 보아진다.
      번역하기

      그동안 이 훈민정음은 세종의 친제에다 집현전 학사 정인지·최항·신숙주·성삼문·이개 등의 협조로 완성되었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그러나 이 훈민정음은 그 당시 조정·유교계가 중국과 �...

      그동안 이 훈민정음은 세종의 친제에다 집현전 학사 정인지·최항·신숙주·성삼문·이개 등의 협조로 완성되었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그러나 이 훈민정음은 그 당시 조정·유교계가 중국과 제휴하여 건국의 이념과 국시의 차원에서 극구 반대·부인하던 문자였으니, 그 유신 정예학자인 집현전 학사들이 이 훈민정음의 창제에 적극 협력했다는 것은 불합리한 사실이 아닐 수 없다. 기실 그유신 학사들은 문자로서의 ‘훈민정음’ 창제에 직접 참여한 것이 아니라, 어명에 의하여 훈민정음해례본 그 책자로서의 ‘訓民正音’을 저술하고 나아가 <용비어천가>나 <동국정운> 등을 역해하는 데에 주력했을 뿐이었다. 따라서 이 문자로서의 훈민정음은 세종이 친제하였으되, 오직천재적 군왕으로서 신화적으로 창제한 것이 아니고, 적어도 국자의 어제에 따른 정식 절차를 밟았다는 것이다. 즉위 20년을 넘어서면서 숭불주가 된 세종이 당시 건국 이념·국시에 반해서 새로운 문자로 불경·불서를 간행·홍포하여 불교중흥과 함께 불교왕국의 재건을 갈망·고대하던 불교계에 명하여 그 훈민정음을 제진케 한 것이었다. 이에 세종은 그 창제의 총체적 책임자로서 승왕의 대망을 품었던 수양대군을 그 총괄적 주관자로, 당대 불교계를 대표하는 학승 신미·수미·설준·홍준·효운·지해·해초·사지·학열·학조·김수온 등을 전문적 실무자로 위촉하여 극비리에 이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실험·확정·공표했던 것이다. 이어 조정·유신과 중국측의 반대·위협에 직면한 세종은 한자음 개신과 운서 간행이나 <용비어천가> 제작 등의 명분으로 이를 극복하고 왕권으로 조정·유교계와 왕실·불교계에 그 활용을 적극 권장·강요하게 되었다. 이에 왕실·불교계에서는 그 창제 즉시로부터 훈민정음을 불교문자로 수용하여 15세기 말까지 <월인천강지곡>·<석보상절>·<월인석보>는 물론, 간경도감의 수많은 불경언해를 간행하였지만, 조정·유교계에서는 훈민정음을 냉대·무시했을 뿐만 아니라, 유경언해나 삼강행실도언해·두시언해, 실용서언해 등을 강력히 하명 받고도 15세기 말까지는 온갖 핑게로 유보·연기했던 것이 분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이 훈민정음은 그 창제·실용과정에서 적어도 15세기 말까지 조정·유교계의 장벽과 박해 아래, 불교중흥과 불교문화 발전을 위하여 크게 기여하여 왔다고 보아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ng Sejong nominated Prince SooYang in director in charge of the invention of Korean alphabet (hunmin chongum) and also appointed Sinmi, Sumi, Soljun, Hongjun, Hyoun, Jihae, Haech’o, Saji, Hagyol, Hakcho, Kim Suon as the chief executors to invent and promulgate the Korean alphabet. Although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 faced oppositions by court officials and the Chinese, King Sejong, while composing Yongbi och``onga (Songs of Flying Dragon), strongly encouraged the spread of the Korean alphabet. The royal families and the Korean Buddhist society played a major role in adopting this writing system. Until the end of 15th century, a number of Buddhist scriptures had been translated into vernacular Korean, including Worin ch’ongang chigok (Songsof the Moon``s Reflection on a Thousand Rivers) Sokpo sangjol (A Detailed Biography of the Buddha Sakyamuni), Worin sokpo (The combined edition of Worinch’ongang chigok and Sokpo sangjol) from Kangyong togam (Publishing Bureau of Buddhist texts). However, the court officials and Confucian literati continued to disregard the legitimacy of the Korean alphabet, even though they participated in publishing many works in Korean such as Samgang haengsilto onhae (Korean translation of The Three Principles of. Basic Human Relationships) Tusi onhae (Korean translation of Du Fu’s poems), Silyongso onhae (Korean translation of practical books), and etc. Despite the hostile criticism from the court and Confucian scholars, Korean alphabet had been widespread and acknowledged as effective writing system. By late 15th century, those who most benefited from the invention of Korean alphabet were the Buddhist community who actively employed the Korean alphabet system to spread Buddhist scriptures and achieved the restoration of Buddhist culture in Korea.
      번역하기

      King Sejong nominated Prince SooYang in director in charge of the invention of Korean alphabet (hunmin chongum) and also appointed Sinmi, Sumi, Soljun, Hongjun, Hyoun, Jihae, Haech’o, Saji, Hagyol, Hakcho, Kim Suon as the chief executors to invent a...

      King Sejong nominated Prince SooYang in director in charge of the invention of Korean alphabet (hunmin chongum) and also appointed Sinmi, Sumi, Soljun, Hongjun, Hyoun, Jihae, Haech’o, Saji, Hagyol, Hakcho, Kim Suon as the chief executors to invent and promulgate the Korean alphabet. Although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 faced oppositions by court officials and the Chinese, King Sejong, while composing Yongbi och``onga (Songs of Flying Dragon), strongly encouraged the spread of the Korean alphabet. The royal families and the Korean Buddhist society played a major role in adopting this writing system. Until the end of 15th century, a number of Buddhist scriptures had been translated into vernacular Korean, including Worin ch’ongang chigok (Songsof the Moon``s Reflection on a Thousand Rivers) Sokpo sangjol (A Detailed Biography of the Buddha Sakyamuni), Worin sokpo (The combined edition of Worinch’ongang chigok and Sokpo sangjol) from Kangyong togam (Publishing Bureau of Buddhist texts). However, the court officials and Confucian literati continued to disregard the legitimacy of the Korean alphabet, even though they participated in publishing many works in Korean such as Samgang haengsilto onhae (Korean translation of The Three Principles of. Basic Human Relationships) Tusi onhae (Korean translation of Du Fu’s poems), Silyongso onhae (Korean translation of practical books), and etc. Despite the hostile criticism from the court and Confucian scholars, Korean alphabet had been widespread and acknowledged as effective writing system. By late 15th century, those who most benefited from the invention of Korean alphabet were the Buddhist community who actively employed the Korean alphabet system to spread Buddhist scriptures and achieved the restoration of Buddhist culture in Kore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