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reative classroom culture measurement tool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034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creative classroom culture
      measurement tool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is study, 101 questions
      including 10 factors in 3 areas of perception, execution, and environmental support were
      first developed as a creative classroom culture measurement tool, and then preliminary
      surveys(256) and main surveys(380)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fit and validity analysis of the factor structure model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total
      reliability of 77 questions of creative classroom culture measurement tool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909, indicating that all items were consistently
      constructed. In the analysis of the fit and validity of the factor structure model, perception,
      execution, and environmental support were all The model goodness of fit was CFI, TLI
      .90 or higher, and RMSEA .08 or lower, which met acceptable standard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fitness of the hierarchical secondary factor model of the measurement
      tool, CFI=.955, TLI=.950, As RMSEA=.051, the model establish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a structurally appropriate model. In addition, the final scale was found in the range
      of r=.25∼76(p<.01) as a result of the teacher's creative teaching efficacy scale and
      reference validity analysis, a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al
      question of this scale and the teacher background variable.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교육과정평가연구 제23권 제3호 (2020)
      104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chool, whether or not to designate an
      innovative school, the size of the school,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gender and
      position of teachers, and career. In addition, it suggested how to use the measurement
      tool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iagnosis of the teacher's creative classroom culture.
      In the future,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lassroom culture
      plans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analysis of various related variables using the
      measurement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creative classroom culture measurement tool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is study, 101 questions including 10 factors in 3 areas of perception, execution, and environmental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creative classroom culture
      measurement tool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is study, 101 questions
      including 10 factors in 3 areas of perception, execution, and environmental support were
      first developed as a creative classroom culture measurement tool, and then preliminary
      surveys(256) and main surveys(380)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fit and validity analysis of the factor structure model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total
      reliability of 77 questions of creative classroom culture measurement tool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909, indicating that all items were consistently
      constructed. In the analysis of the fit and validity of the factor structure model, perception,
      execution, and environmental support were all The model goodness of fit was CFI, TLI
      .90 or higher, and RMSEA .08 or lower, which met acceptable standard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fitness of the hierarchical secondary factor model of the measurement
      tool, CFI=.955, TLI=.950, As RMSEA=.051, the model establish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a structurally appropriate model. In addition, the final scale was found in the range
      of r=.25∼76(p<.01) as a result of the teacher's creative teaching efficacy scale and
      reference validity analysis, a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al
      question of this scale and the teacher background variable.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교육과정평가연구 제23권 제3호 (2020)
      104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chool, whether or not to designate an
      innovative school, the size of the school,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gender and
      position of teachers, and career. In addition, it suggested how to use the measurement
      tool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iagnosis of the teacher's creative classroom culture.
      In the future,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lassroom culture
      plans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analysis of various related variables using the
      measurement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로 먼저 인식, 실행, 환경지원의 3개 영역에서 10개
      요인을 포함하는 101개 문항을 개발한 후,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256명)와
      본조사(380명)를 실시하였으며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요인구조 모형의 적합도 및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 77개 문항의 전체 신뢰도는 .909로 나타나 전체 문항들은 일관성 있게
      구성됨을 알 수 있었으며 요인구조 모형의 적합도 및 타당도 분석에서 인식, 실행, 환경지원 영역 모두의
      모형 적합도는 CFI, TLI .90이상, RMSEA .08이하로 나타나 수용 가능한 기준치를 충족시켰으며,
      측정도구의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CFI=.955, TLI=.950, RMSEA=.051로
      나타나 이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이 구조적으로 적합한 모형임이 판명되었다. 또한 최종 척도를 교사의
      창의적 교수 효능감 척도와 준거 타당도 분석 결과 r=.25∼76(p <.01)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본 척도의
      최종 문항과 교사 배경 변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학교소재지, 혁신학교 지정여부, 학교 규모,
      학급당 학생 수, 교사 성별 및 직위,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사의 창의적인
      교실 문화에 대한 진단 목적에 따라 측정도구의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를 활용한 다양한 관련 변인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에서의 창의적인 교실 문화 조성 방안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로 먼저 인식, 실행, 환경지원의 3개 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로 먼저 인식, 실행, 환경지원의 3개 영역에서 10개
      요인을 포함하는 101개 문항을 개발한 후,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256명)와
      본조사(380명)를 실시하였으며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요인구조 모형의 적합도 및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 77개 문항의 전체 신뢰도는 .909로 나타나 전체 문항들은 일관성 있게
      구성됨을 알 수 있었으며 요인구조 모형의 적합도 및 타당도 분석에서 인식, 실행, 환경지원 영역 모두의
      모형 적합도는 CFI, TLI .90이상, RMSEA .08이하로 나타나 수용 가능한 기준치를 충족시켰으며,
      측정도구의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CFI=.955, TLI=.950, RMSEA=.051로
      나타나 이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이 구조적으로 적합한 모형임이 판명되었다. 또한 최종 척도를 교사의
      창의적 교수 효능감 척도와 준거 타당도 분석 결과 r=.25∼76(p <.01)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본 척도의
      최종 문항과 교사 배경 변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학교소재지, 혁신학교 지정여부, 학교 규모,
      학급당 학생 수, 교사 성별 및 직위,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사의 창의적인
      교실 문화에 대한 진단 목적에 따라 측정도구의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를 활용한 다양한 관련 변인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에서의 창의적인 교실 문화 조성 방안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학교 및 교실 맥락에서의 창의성 개념
      •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학교 및 교실 맥락에서의 창의성 개념
      • 2.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 관련 선행연구 분석: 교사용 측정도구 중심으로
      • Ⅲ. 예비조사 실시 및 자료 분석
      • 1. 연구대상
      • 2. 문항 개발
      • 3. 조사 도구
      • 4. 문항 분석
      • Ⅳ. 본조사 실시 및 척도의 타당화
      • 1. 연구대상
      • 2. 조사 도구
      • 3. 문항 분석 및 최종 척도의 요인구조 타당도
      • 4. 신뢰도 검증
      • 5. 최종 척도의 준거 타당도
      • 6. 관련 변인 분석
      • V. 결론 및 논의
      • 참 고 문 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종호, "학습동기" 학지사 [서울] 2013

      2 박병기, "통합창의성이 내재된 다차원 창의적 환경 척도(ICEMCEs)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839-862, 2009

      3 김누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수업방식, 교사특성, 수업분위기와 창의성과의 관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5 (15): 17-31, 2015

      4 최지은, "초등학교 교사용 창의적 교수행동 척도 개발"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41-260, 2010

      5 박성희,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 작업환경 특성 분석"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6 (16): 79-96, 2016

      6 김미숙, "창의환경검사(CE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1 (41): 61-88, 2014

      7 지은림, "창의적 인재 역량 측정을 위한 구인 탐색 및 척도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25 (25): 69-94, 2012

      8 최병연, "창의적 아동에 대한 교사의 지각"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2 (12): 75-92, 2012

      9 박상범, "창의적 성향·환경·과정 척도(C-DEPs)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905-922, 2007

      10 민지연, "창의적 교실 분위기 평가 척도 개발" 한국아동학회 29 (29): 27-42, 2008

      1 신종호, "학습동기" 학지사 [서울] 2013

      2 박병기, "통합창의성이 내재된 다차원 창의적 환경 척도(ICEMCEs)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839-862, 2009

      3 김누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수업방식, 교사특성, 수업분위기와 창의성과의 관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5 (15): 17-31, 2015

      4 최지은, "초등학교 교사용 창의적 교수행동 척도 개발"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41-260, 2010

      5 박성희,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 작업환경 특성 분석"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6 (16): 79-96, 2016

      6 김미숙, "창의환경검사(CE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1 (41): 61-88, 2014

      7 지은림, "창의적 인재 역량 측정을 위한 구인 탐색 및 척도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25 (25): 69-94, 2012

      8 최병연, "창의적 아동에 대한 교사의 지각"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2 (12): 75-92, 2012

      9 박상범, "창의적 성향·환경·과정 척도(C-DEPs)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905-922, 2007

      10 민지연, "창의적 교실 분위기 평가 척도 개발" 한국아동학회 29 (29): 27-42, 2008

      11 노원경, "창의성 함양을 위한 초등학교 교실 문화 조성 방안(Ⅱ): 지표 및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12 박혜숙, "중학생 대상 창의성 발달에 관한 종단연구" 91-107, 2019

      13 이미숙, "인천형 학교 혁신문화 측정도구 개발" 인천광역시교육 과학연구원 교육정책연구소 2016

      14 강은진,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학교환경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7

      15 양희원, "서울형 혁신학교 시행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159-179, 2019

      16 Beghetto, R. A., "교실에서의 창의성 교육" 학지사 2014

      17 Nickerson, R. S., "교실에서의 창의성 교육" 학지사 2014

      18 정은이, "교사창의성에 대한 암묵 이론적 접근" 한국교육방법학회 20 (20): 57-74, 2008

      19 이명숙, "교사의 창의성 교육 지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5 (15): 1-13, 2015

      20 이명숙, "교사용 창의적 교수효능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6 (16): 1-16, 2016

      21 최미정, "교사 창의성의 의미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431-447, 2007

      22 박숙희, "교사 창의성의 관련 변인 탐색" 한국영재교육학회 6 (6): 149-164, 2007

      23 교육과학기술부, "교과부 ‘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발표-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추진-"

      24 교육부, "「2019년 교육기본통계」결과 발표"

      25 Cropley, A. J., "The creativity research handbook, 1" 83-114, 1997

      26 Koestler, A., "The creativity question" Duke University Press 108-113, 1976

      27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56-75, 1995

      28 Wolfe, E. W., "Rasch Measurement: Advanced and Specialized Applications" JAM Press 243-290, 2007

      29 백소영, "RASCH 모형을 적용한 글로벌 인재 역량 척도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30 Upitis, R., "Measuring What Matters: Creativity in Schools"

      31 SOH, K. C., "Indexing creativity fostering teacher behavior : A preliminary validation study" 34 (34): 118-134, 2000

      32 Glăveanu, V. P., "How are we creative together? Comparing sociocognitive and sociocultural answers" 21 (21): 473-492, 2011

      33 Amabile, T. M., "Growing up creative: Nurturing a lifetime of creativity" Crown 1989

      34 Gorsuch, R. L., "Factor analysis" Lawrence Erlbaum 1983

      35 Jackson, N. J., "Exploring Learning Ecologies"

      36 Dudek, S. Z., "Cumulative and proximal influences on the social environment and children's creative potential" 154 (154): 487-499, 1993

      37 Arieti, S., "Creativity: The magic synthesis" Basic Books 1976

      38 Amabile, T. M., "Creativity in context: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Westview Press 1996

      39 Cropley, A. J., "Creativity : A social approach" 28 (28): 125-130, 2006

      40 Bentler, P. M.,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107 (107): 238-249, 1990

      41 Kaufman, J. C., "Beyond big and little : The four c model of creativity" 13 (13): 1-12, 2009

      42 Amabile, T. M.,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39 (39): 1154-1184, 1996

      43 Rhodes, M., "An analysis of creativity" 42 : 305-310, 1961

      44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28): 563-575, 19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353 0.8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