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종호, "학습동기" 학지사 [서울] 2013
2 박병기, "통합창의성이 내재된 다차원 창의적 환경 척도(ICEMCEs)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839-862, 2009
3 김누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수업방식, 교사특성, 수업분위기와 창의성과의 관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5 (15): 17-31, 2015
4 최지은, "초등학교 교사용 창의적 교수행동 척도 개발"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41-260, 2010
5 박성희,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 작업환경 특성 분석"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6 (16): 79-96, 2016
6 김미숙, "창의환경검사(CE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1 (41): 61-88, 2014
7 지은림, "창의적 인재 역량 측정을 위한 구인 탐색 및 척도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25 (25): 69-94, 2012
8 최병연, "창의적 아동에 대한 교사의 지각"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2 (12): 75-92, 2012
9 박상범, "창의적 성향·환경·과정 척도(C-DEPs)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905-922, 2007
10 민지연, "창의적 교실 분위기 평가 척도 개발" 한국아동학회 29 (29): 27-42, 2008
1 신종호, "학습동기" 학지사 [서울] 2013
2 박병기, "통합창의성이 내재된 다차원 창의적 환경 척도(ICEMCEs)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839-862, 2009
3 김누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수업방식, 교사특성, 수업분위기와 창의성과의 관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5 (15): 17-31, 2015
4 최지은, "초등학교 교사용 창의적 교수행동 척도 개발"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41-260, 2010
5 박성희,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 작업환경 특성 분석"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6 (16): 79-96, 2016
6 김미숙, "창의환경검사(CE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1 (41): 61-88, 2014
7 지은림, "창의적 인재 역량 측정을 위한 구인 탐색 및 척도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25 (25): 69-94, 2012
8 최병연, "창의적 아동에 대한 교사의 지각"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2 (12): 75-92, 2012
9 박상범, "창의적 성향·환경·과정 척도(C-DEPs)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905-922, 2007
10 민지연, "창의적 교실 분위기 평가 척도 개발" 한국아동학회 29 (29): 27-42, 2008
11 노원경, "창의성 함양을 위한 초등학교 교실 문화 조성 방안(Ⅱ): 지표 및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12 박혜숙, "중학생 대상 창의성 발달에 관한 종단연구" 91-107, 2019
13 이미숙, "인천형 학교 혁신문화 측정도구 개발" 인천광역시교육 과학연구원 교육정책연구소 2016
14 강은진,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학교환경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7
15 양희원, "서울형 혁신학교 시행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159-179, 2019
16 Beghetto, R. A., "교실에서의 창의성 교육" 학지사 2014
17 Nickerson, R. S., "교실에서의 창의성 교육" 학지사 2014
18 정은이, "교사창의성에 대한 암묵 이론적 접근" 한국교육방법학회 20 (20): 57-74, 2008
19 이명숙, "교사의 창의성 교육 지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5 (15): 1-13, 2015
20 이명숙, "교사용 창의적 교수효능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6 (16): 1-16, 2016
21 최미정, "교사 창의성의 의미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431-447, 2007
22 박숙희, "교사 창의성의 관련 변인 탐색" 한국영재교육학회 6 (6): 149-164, 2007
23 교육과학기술부, "교과부 ‘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발표-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추진-"
24 교육부, "「2019년 교육기본통계」결과 발표"
25 Cropley, A. J., "The creativity research handbook, 1" 83-114, 1997
26 Koestler, A., "The creativity question" Duke University Press 108-113, 1976
27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56-75, 1995
28 Wolfe, E. W., "Rasch Measurement: Advanced and Specialized Applications" JAM Press 243-290, 2007
29 백소영, "RASCH 모형을 적용한 글로벌 인재 역량 척도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30 Upitis, R., "Measuring What Matters: Creativity in Schools"
31 SOH, K. C., "Indexing creativity fostering teacher behavior : A preliminary validation study" 34 (34): 118-134, 2000
32 Glăveanu, V. P., "How are we creative together? Comparing sociocognitive and sociocultural answers" 21 (21): 473-492, 2011
33 Amabile, T. M., "Growing up creative: Nurturing a lifetime of creativity" Crown 1989
34 Gorsuch, R. L., "Factor analysis" Lawrence Erlbaum 1983
35 Jackson, N. J., "Exploring Learning Ecologies"
36 Dudek, S. Z., "Cumulative and proximal influences on the social environment and children's creative potential" 154 (154): 487-499, 1993
37 Arieti, S., "Creativity: The magic synthesis" Basic Books 1976
38 Amabile, T. M., "Creativity in context: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Westview Press 1996
39 Cropley, A. J., "Creativity : A social approach" 28 (28): 125-130, 2006
40 Bentler, P. M.,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107 (107): 238-249, 1990
41 Kaufman, J. C., "Beyond big and little : The four c model of creativity" 13 (13): 1-12, 2009
42 Amabile, T. M.,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39 (39): 1154-1184, 1996
43 Rhodes, M., "An analysis of creativity" 42 : 305-310, 1961
44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28): 563-575, 1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