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에딩턴의 두 책상과 과학적 실재론 = Eddinton's Two Tables and Scientific Re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020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ddington`s two table discussion is about the relation between scientific table and ordinary table. Sellars renames this problem as manlfest image and scientific image and discusses their relation and ontological priority. Sellars and Tuomela argue that scientific image is more real than and ontological priority to manifest image. But it is possible to derive theory-laden observation from their argument. So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object that manifest image and scientific image refer to as same.
      I argue that all observations are not theory-laden but there are theory-neutral on the basis of the interpretation of Müller-Lyer image. And I argue that scientific image has ontological priority and reliability, but manifest image has epistemological priority in the crash of scientific and manifest image. From this argument I will defend scientific realism.
      번역하기

      Eddington`s two table discussion is about the relation between scientific table and ordinary table. Sellars renames this problem as manlfest image and scientific image and discusses their relation and ontological priority. Sellars and Tuomela argue th...

      Eddington`s two table discussion is about the relation between scientific table and ordinary table. Sellars renames this problem as manlfest image and scientific image and discusses their relation and ontological priority. Sellars and Tuomela argue that scientific image is more real than and ontological priority to manifest image. But it is possible to derive theory-laden observation from their argument. So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object that manifest image and scientific image refer to as same.
      I argue that all observations are not theory-laden but there are theory-neutral on the basis of the interpretation of Müller-Lyer image. And I argue that scientific image has ontological priority and reliability, but manifest image has epistemological priority in the crash of scientific and manifest image. From this argument I will defend scientific real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감각적 경험에 의해 그 존재를 직접 확인할 수 없는 대상들이나 과정들이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의 현상들과 감각적 경험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관한 철학적 논의가 나타나게 된다. 에딩턴이 이 문제에 관한 철학적 논의를 처음으로 전개하였는데 이것이 소위 ‘에딩턴의 두 책상’이다. 이 논의는 1960년대에 와서 셀라즈가 소위 ‘명시적 상과 과학적 상’으로 나누어 다시 제기하면서 철학적으로 본격적인 논의가 전개되었다. 이 논문은, 이 문제를 명시적 상과 과학적 상의 동일성 확인 문제와 이 상들의 충돌 문제로 나누어, 셀라즈와 투오멜라의 입장을 비판하고 과학적 실재론의 입장에서 내릴 수 있는 해결책과 그 정당성을 논의한다. 셀라즈와 투오멜라는 감각적 경험에 의한 직접적 인식의 우선성만을 강조하는 상식적 실재론과 도구주의 입장을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입장은, 자신들이 과학적 실재론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모든 관찰적 경험이 이론 의존적이라는 결론을 함축할 수 있기 때문에 과학적 실재론의 입장을 옹호하는데 다소 부족하다. 이 논문은 과학적 실재론의 입장에서, 이론에 의존하지 않는 약간의 관찰 경험이 가능하다는 사실로부터 이론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명시적 상과 과학적 상의 동일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상들의 충돌의 경우에도 존재론적 관점과 인식론적 관점으로 나누어, 존재론적 관점에서의 우선성이 인식론적 관점에서의 우선성보다 우월하다는 점을 주장한다.
      번역하기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감각적 경험에 의해 그 존재를 직접 확인할 수 없는 대상들이나 과정들이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의 현상들과 감각적 경험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감각적 경험에 의해 그 존재를 직접 확인할 수 없는 대상들이나 과정들이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의 현상들과 감각적 경험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관한 철학적 논의가 나타나게 된다. 에딩턴이 이 문제에 관한 철학적 논의를 처음으로 전개하였는데 이것이 소위 ‘에딩턴의 두 책상’이다. 이 논의는 1960년대에 와서 셀라즈가 소위 ‘명시적 상과 과학적 상’으로 나누어 다시 제기하면서 철학적으로 본격적인 논의가 전개되었다. 이 논문은, 이 문제를 명시적 상과 과학적 상의 동일성 확인 문제와 이 상들의 충돌 문제로 나누어, 셀라즈와 투오멜라의 입장을 비판하고 과학적 실재론의 입장에서 내릴 수 있는 해결책과 그 정당성을 논의한다. 셀라즈와 투오멜라는 감각적 경험에 의한 직접적 인식의 우선성만을 강조하는 상식적 실재론과 도구주의 입장을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입장은, 자신들이 과학적 실재론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모든 관찰적 경험이 이론 의존적이라는 결론을 함축할 수 있기 때문에 과학적 실재론의 입장을 옹호하는데 다소 부족하다. 이 논문은 과학적 실재론의 입장에서, 이론에 의존하지 않는 약간의 관찰 경험이 가능하다는 사실로부터 이론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명시적 상과 과학적 상의 동일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상들의 충돌의 경우에도 존재론적 관점과 인식론적 관점으로 나누어, 존재론적 관점에서의 우선성이 인식론적 관점에서의 우선성보다 우월하다는 점을 주장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Putnam, H, "the threefold cord mind, body, and world"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9

      2 Ladyman, J, "Understanding Philosophy of Science=과학철학의 이해" 이학사 2000

      3 Agazzi, E., "The Reality of the Unobservable"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2000

      4 Eddington, A.S., "The Nature of the Physical World(Gifford Lecture 1927)" Cambridge at the University Press 1929

      5 Sellars, W, "Science, Perception and Reality" Ridgeview Publishing Company, Atascadero, California 1963

      6 Tuomela, R, "Science, Action, and Reality" D.Reidel Publishing Company, Dordrecht 1985

      7 Sellars, W, "Science and Metaphysics, Variations on Kantian Themes" Routledge and Kegan Paul, London 1968

      8 Clarke, S, "Recent Them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2002

      9 Arronson, J.L, "Realism Rescued" Open Court, Chicago 1995

      10 Pitt, J, "Pictures, Images and Conceptual Change" D.Reidel Publishing Company, Dordrecht 1981

      1 Putnam, H, "the threefold cord mind, body, and world"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9

      2 Ladyman, J, "Understanding Philosophy of Science=과학철학의 이해" 이학사 2000

      3 Agazzi, E., "The Reality of the Unobservable"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2000

      4 Eddington, A.S., "The Nature of the Physical World(Gifford Lecture 1927)" Cambridge at the University Press 1929

      5 Sellars, W, "Science, Perception and Reality" Ridgeview Publishing Company, Atascadero, California 1963

      6 Tuomela, R, "Science, Action, and Reality" D.Reidel Publishing Company, Dordrecht 1985

      7 Sellars, W, "Science and Metaphysics, Variations on Kantian Themes" Routledge and Kegan Paul, London 1968

      8 Clarke, S, "Recent Them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2002

      9 Arronson, J.L, "Realism Rescued" Open Court, Chicago 1995

      10 Pitt, J, "Pictures, Images and Conceptual Change" D.Reidel Publishing Company, Dordrecht 1981

      11 Faye, J., "Observing the Unobservable" 2000

      12 De Regt, H.C.D.G., "Implications of Inquiry : a Pragmatist View of the Scientific and Manifest Image" 2002

      13 Niniluoto, I., "Critical Scientific Re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3 1.11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