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고 디자인 도구인 뉴런워크의 워크숍 프로그램 기획을 위한 연구 = A Study on Planning a Workshop Program of Thinking Design Tool, Neuron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82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igning is to devise courses of action aimed at changing existing situations into preferred ones. From that point of view, designing is a skill required for everyone not only for whom has a specific job, so a thinking design tool NeuronWorks was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workshop and develop detailed programs to effectively solve problems using the thinking design tool, NeuronWorks.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examples of existing workshops specifically which are for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effective and has dedicated handouts for each ste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can be organ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participants and the topics to be solved. NeuronWorks is mainly for developing problem solving skills through thinking design. Therefore, the workshop should be constructed with three steps;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and method, practicing step by step and practicing by topics.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and method is to give guidance of the principle of the tool. Practicing step by step is composed of warming up, determining relations, classifying levels, finding keywords, making lines and expanding. Practicing by topics is for a hands on practice of NeuronWorks and for accelerating thinking expansion. At each step, worksheets must be developed to meet the goals of the detailed sessions. Thus, a total of eight handouts were developed in each sessions to help participants learn NeuronWorks correctly and play an effective role in designing their own ideas in solving problems. Hereby, the overall program of the workshop is constructed. For further study, it is required to discover the amendments by gathering participants and practical application.
      번역하기

      Designing is to devise courses of action aimed at changing existing situations into preferred ones. From that point of view, designing is a skill required for everyone not only for whom has a specific job, so a thinking design tool NeuronWorks was dev...

      Designing is to devise courses of action aimed at changing existing situations into preferred ones. From that point of view, designing is a skill required for everyone not only for whom has a specific job, so a thinking design tool NeuronWorks was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workshop and develop detailed programs to effectively solve problems using the thinking design tool, NeuronWorks.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examples of existing workshops specifically which are for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effective and has dedicated handouts for each ste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can be organ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participants and the topics to be solved. NeuronWorks is mainly for developing problem solving skills through thinking design. Therefore, the workshop should be constructed with three steps;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and method, practicing step by step and practicing by topics.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and method is to give guidance of the principle of the tool. Practicing step by step is composed of warming up, determining relations, classifying levels, finding keywords, making lines and expanding. Practicing by topics is for a hands on practice of NeuronWorks and for accelerating thinking expansion. At each step, worksheets must be developed to meet the goals of the detailed sessions. Thus, a total of eight handouts were developed in each sessions to help participants learn NeuronWorks correctly and play an effective role in designing their own ideas in solving problems. Hereby, the overall program of the workshop is constructed. For further study, it is required to discover the amendments by gathering participants and practical appli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디자인은 현재의 상황을 이상적인 모습으로 바꾸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다. 그러한 관점에서 디자인은 특정 직업군의 전문적 역할을 넘어 새로운 방법이 필요한 모든 이에게 필요한 능력이로, 이를 위해 사고 디자인 도구인뉴런워크가 개발된 바 있다. 사고 디자인 도구인 뉴런워크를 활용하여 주제에 따른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위한 워크숍을 기획하고 세부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창의적 아이디어개발을 위한, 실효성을 갖춘, 단계별 유인물을 갖춘 기존의 워크숍의 사례들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성격과 해결하고자 하는 주제에 따라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뉴런워크는사고를 디자인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뉴런워크 워크숍은 크게 개념 및방법 안내, 단계별 연습, 주제별 연습으로 구성하였다. 개념 및 방법 안내 단계는 워크숍의 핵심적 도구인 뉴런워크의 배경과 원리를 이해시키는 단계이다. 단계별 연습은 워밍업을 시작으로, 관계 구분, 레벨 구분, 핵심 찾기, 라인 배치, 가지 확장으로 구성된다. 주제별 연습은 워크숍 참여자의 실질 문제를 해결하는 실전에 해당하는 단계로 사고의 확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뉴런워크 실습에 해당하는 단계이다. 각 단계에는 세부 세션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워크시트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각 세션에서 참여자가 뉴런워크를 올바로 학습하고 스스로 사고를 디자인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효과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총 8개의 유인물이 개발되었다. 이로써 뉴런워크를 활용하는 워크숍이 실행될 준비가 되었으며, 향후 참가자 모집과 실질적 이행을 통해 수정 보완 사항을 발견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디자인은 현재의 상황을 이상적인 모습으로 바꾸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다. 그러한 관점에서 디자인은 특정 직업군의 전문적 역할을 넘어 새로운 방법이 필요한 모든 이에게 필요한 능력이...

      디자인은 현재의 상황을 이상적인 모습으로 바꾸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다. 그러한 관점에서 디자인은 특정 직업군의 전문적 역할을 넘어 새로운 방법이 필요한 모든 이에게 필요한 능력이로, 이를 위해 사고 디자인 도구인뉴런워크가 개발된 바 있다. 사고 디자인 도구인 뉴런워크를 활용하여 주제에 따른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위한 워크숍을 기획하고 세부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창의적 아이디어개발을 위한, 실효성을 갖춘, 단계별 유인물을 갖춘 기존의 워크숍의 사례들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성격과 해결하고자 하는 주제에 따라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뉴런워크는사고를 디자인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뉴런워크 워크숍은 크게 개념 및방법 안내, 단계별 연습, 주제별 연습으로 구성하였다. 개념 및 방법 안내 단계는 워크숍의 핵심적 도구인 뉴런워크의 배경과 원리를 이해시키는 단계이다. 단계별 연습은 워밍업을 시작으로, 관계 구분, 레벨 구분, 핵심 찾기, 라인 배치, 가지 확장으로 구성된다. 주제별 연습은 워크숍 참여자의 실질 문제를 해결하는 실전에 해당하는 단계로 사고의 확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뉴런워크 실습에 해당하는 단계이다. 각 단계에는 세부 세션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워크시트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각 세션에서 참여자가 뉴런워크를 올바로 학습하고 스스로 사고를 디자인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효과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총 8개의 유인물이 개발되었다. 이로써 뉴런워크를 활용하는 워크숍이 실행될 준비가 되었으며, 향후 참가자 모집과 실질적 이행을 통해 수정 보완 사항을 발견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미영, "사고디자인을 위한 개념의 구조화 기준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7 (17): 317-328, 2014

      2 하미영, "사고 디자인을 위한 개념 구조화 연구와 모형 개발의 기준 설정" 숙명여자대학교 2016

      3 하미영, "사고 디자인 도구 뉴런워크의 디지털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13 (13): 35-44, 2019

      4 하미영, "개념 구조화 도구를 활용한 사고 디자인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 표본 대상별 개념 구조화 측정을 중심으로 -"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9 (9): 69-80, 2015

      5 "https://www.sessionlab.com/solutions/innovation/"

      6 "https://www.ideo.com/post/experienceinnovation"

      7 "https://www.experiencepoint.com/experience-innovation/"

      8 "https://diytoolkit.org/media/Creative-Workshops-Size-A4.pdf"

      9 "https://diytoolkit.org/background/"

      10 "https://cdn2.hubspot.net/hubfs/1604199/ExperienceInnovation_productComparison_en.pdf?utm_campaign=WWW%20CTA%20-%20EI%20Overview%20-%202015&utm_medium=CTA&utm_source=WWW"

      1 하미영, "사고디자인을 위한 개념의 구조화 기준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7 (17): 317-328, 2014

      2 하미영, "사고 디자인을 위한 개념 구조화 연구와 모형 개발의 기준 설정" 숙명여자대학교 2016

      3 하미영, "사고 디자인 도구 뉴런워크의 디지털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13 (13): 35-44, 2019

      4 하미영, "개념 구조화 도구를 활용한 사고 디자인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 표본 대상별 개념 구조화 측정을 중심으로 -"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9 (9): 69-80, 2015

      5 "https://www.sessionlab.com/solutions/innovation/"

      6 "https://www.ideo.com/post/experienceinnovation"

      7 "https://www.experiencepoint.com/experience-innovation/"

      8 "https://diytoolkit.org/media/Creative-Workshops-Size-A4.pdf"

      9 "https://diytoolkit.org/background/"

      10 "https://cdn2.hubspot.net/hubfs/1604199/ExperienceInnovation_productComparison_en.pdf?utm_campaign=WWW%20CTA%20-%20EI%20Overview%20-%202015&utm_medium=CTA&utm_source=WWW"

      11 "http://www.designkit.org/methods/28"

      12 Herbert Simon, "The sciences of the artificial" Cambridge 19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