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기관 지정 및 분류 기준의 재구축 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375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blic Institutions Management Act of 2007 stipulates the criteria for designating and classifying of public institutions. Public institutions are classified into the three main categories of state-owned enterprises(SOEs), quasi-governmental insti...

      The Public Institutions Management Act of 2007 stipulates the criteria for designating and classifying of public institutions. Public institutions are classified into the three main categories of state-owned enterprises(SOEs),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non-classified public institutions by their number of personnel, asset size, and self-generated revenue ratio.
      The designation and classifi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is of great significance because such action has an enormous impact on a range of aspects, including their governance structure and management system. But, there is still ambiguities i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which institutions to include in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category. Within the public institutions, it is also difficult to demarcate the boundary between SOEs and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mainly because of ambiguities in distinguishing market from non-market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criteria for designation and classifi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do not coincidence with the conceptual framework provided by the System of National Accounts 2008.
      According to the 2008 SNA, to identify which non-market nonprofit institutions are treated as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conditions for control by government must be identified. And, to determine which enterprises are treated as SOEs, it is necessary to specify conditions for control by government and the concept of economically significant prices. It makes clear a set of indicators which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government controls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SOEs. It provides also 50% criterion as to the concept of economically significant prices.
      In order to resolve the existing problems in the designa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laborate more precisely the notion of control of government which is the main criterion distinguishing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the notion of economically significant prices which is used for distinguishing between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SO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공공기관 지정 및 유형 분류에 관한 2008 SNA의 지침
      • Ⅳ. 현행 공공기관 지정 및 유형 분류 기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공공기관 지정 및 유형 분류에 관한 2008 SNA의 지침
      • Ⅳ. 현행 공공기관 지정 및 유형 분류 기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해방, "현행 공공기관운영법상 공공기관지정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법학연구소 (21) : 483-518, 2012

      2 기획예산처, "한국의 재정: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기획예산처 2007

      3 정무권, "한국의 공공부문: 이론, 규모와 성격, 개혁방향" 한림대학출판사 2007

      4 김준기, "준정부부문에 대한 연구: 숨겨진 또 하나의 정부?" 한국공기업학회 14 (14): 1-28, 2002

      5 옥동석, "정부부채의 추정: 개념, 쟁점 및 향후 과제" 한국규제학회 18 (18): 3-37, 2009

      6 윤용중, "재정통계 개편의 주요 쟁점과 과제" 국회예산정책처 2011

      7 오창길, "재정통계 개편 및 정부범위 설정을 위한 주요 공공기관의 원가보상률 산정" 국회예산정책처 2011

      8 한국은행, "우리나라의 국민계정체계" 한국은행 2010

      9 곽채기, "우리나라 준공공부문의 실태분석 및 혁신방안" 전국경제인연합회 2009

      10 곽채기, "공기업과 정부산하기관의 기관유형 분류체계 개편 방안" 한국 공기업학회 16 (16): 23-53, 2005

      1 정해방, "현행 공공기관운영법상 공공기관지정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법학연구소 (21) : 483-518, 2012

      2 기획예산처, "한국의 재정: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기획예산처 2007

      3 정무권, "한국의 공공부문: 이론, 규모와 성격, 개혁방향" 한림대학출판사 2007

      4 김준기, "준정부부문에 대한 연구: 숨겨진 또 하나의 정부?" 한국공기업학회 14 (14): 1-28, 2002

      5 옥동석, "정부부채의 추정: 개념, 쟁점 및 향후 과제" 한국규제학회 18 (18): 3-37, 2009

      6 윤용중, "재정통계 개편의 주요 쟁점과 과제" 국회예산정책처 2011

      7 오창길, "재정통계 개편 및 정부범위 설정을 위한 주요 공공기관의 원가보상률 산정" 국회예산정책처 2011

      8 한국은행, "우리나라의 국민계정체계" 한국은행 2010

      9 곽채기, "우리나라 준공공부문의 실태분석 및 혁신방안" 전국경제인연합회 2009

      10 곽채기, "공기업과 정부산하기관의 기관유형 분류체계 개편 방안" 한국 공기업학회 16 (16): 23-53, 2005

      11 이광한, "공공부문 계정의 의의 및 주요국의 작성 현황" 한국은행 43 : 103-123, 2010

      12 옥동석, "공공기관의 지정 및 분류기준: 자체수입, 원가보상 그리고 정부통제" 국회예산정책처 1 (1): 201-235, 2012

      13 옥동석, "공공기관 지정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국회예산정책처 2011

      14 기획예산처, "공공기관 지정 및 유형분류 추진방안" 기획예산처 2007

      15 박정수, "공공기관 지정 및 분류체계 개선방안" 한국조세연구원 공공기관정책연구센터 2010

      16 선우석호, "공공기관 임원직무평가제도 운영방안 연구" 한국기업지배구조지원센타 2006

      17 성명재, "공공기관 선진화를 위한 정책과제" 한국조세연구원 공공기관정책연구센터 2009

      18 차문중, "공공기관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8

      19 Lienert, Ian, "Where Does the Public Sector End and the Private Sector Begin?" IMF 1-29, 2009

      20 Perry, James L., "The Public-Private Distinction in Organization Theory: A Critique and Research Strategy" 13 (13): 182-201, 1988

      21 Moe, Ronald C., "The Emerging Federal Quasi Government: Issues of Management and Accountability" 61 (61): 2001

      22 UN, "System of National Accounts 2008"

      23 UN, "System of National Accounts 1993"

      24 Gill, Derek, "Signposting the Zoo : From Agencification to a More Principled Choice of Government Organizational Forms" OECD 2 (2): 2002

      25 OECD, "OECD Guidelines on Corporate Governance of State-owned Enterprises"

      26 IMF, "Government Finance Statistics Manual 2001"

      27 Eurostat, "European System of Account 1995"

      28 Flinders, Mattew V., "Diversity and Complexity: The Quango-Continuum, In Quangos, Accountability and Reform : The Politics of Quasi-Government" Macmillan Press Ltd 1999

      29 OECD, "Distributive Public Governance: Agencies, Authorities and Other Governmental Bodies" OECD 2002

      30 Bozeman, Barry, "All Organizations are Public" Jossey-Bass Publishers 1987

      31 국회예산정책처, "2010 공공기관 현황 분석" 국회예산정책처 2010

      32 기획재정부, "2008-2010 공공기관 선진화백서" 기획재정부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7 1.17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18 1.419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