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 A Preliminary Study on Event Arch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66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정 사건을 중심으로 기록을 수집·관리하는 ‘사건 아카이브’의 개념을 정립하고 사건 아카이브 구축 시 고려사항을 제시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사건 아카이브의 정의를 내린 후, 사건 아카이브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존의 민간 기록물 아카이빙 연구방법인공동체 아카이브와 로컬리티 도큐멘테이션과의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사건 아카이브는 인물, 공간, 시간으로 구성되며, 다른 연구방법과 비교하여 시간적 요소를 특히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을축으로 나머지 요소를 접목한 팽이 모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건 아카이브 구축 시 세 가지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건발생 시기에 따라 사건 아카이브의 구축 방법을 다르게 제시하였다. 둘째, 사건 아카이브의 세 요소인 인물, 공간, 시간에 따라 기록 수집 및 관리 영역을 제안하였다. 셋째, 오픈 아카이브로 발전하기 위해 디지털 아카이브를 지향할 것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특정 사건을 중심으로 기록을 수집·관리하는 ‘사건 아카이브’의 개념을 정립하고 사건 아카이브 구축 시 고려사항을 제시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사건 아카이...

      본 연구는 특정 사건을 중심으로 기록을 수집·관리하는 ‘사건 아카이브’의 개념을 정립하고 사건 아카이브 구축 시 고려사항을 제시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사건 아카이브의 정의를 내린 후, 사건 아카이브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존의 민간 기록물 아카이빙 연구방법인공동체 아카이브와 로컬리티 도큐멘테이션과의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사건 아카이브는 인물, 공간, 시간으로 구성되며, 다른 연구방법과 비교하여 시간적 요소를 특히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을축으로 나머지 요소를 접목한 팽이 모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건 아카이브 구축 시 세 가지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건발생 시기에 따라 사건 아카이브의 구축 방법을 다르게 제시하였다. 둘째, 사건 아카이브의 세 요소인 인물, 공간, 시간에 따라 기록 수집 및 관리 영역을 제안하였다. 셋째, 오픈 아카이브로 발전하기 위해 디지털 아카이브를 지향할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definition of “event archive,” which collects and manages records that focus on a specific event, in order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to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private records. As such, this study defines “event archive” and then identifies its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it with community archives and locality archives. An event archive consists of person, spatiality, and temporality. As it puts an emphasis on tempora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suggests a spiral model, which grafts person and spatiality onto a time axis. Moreover, this study suggests three consider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n event archive. First, it presents different construction methods for different types of event archives depending on the time an event occurred. Second, it suggests records collection and management areas considering the three components of an event archive—person, spatiality, and temporality. Third, it supports a digital archive for an event archive to become an open archiv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definition of “event archive,” which collects and manages records that focus on a specific event, in order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to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private records. As such, this study def...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definition of “event archive,” which collects and manages records that focus on a specific event, in order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to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private records. As such, this study defines “event archive” and then identifies its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it with community archives and locality archives. An event archive consists of person, spatiality, and temporality. As it puts an emphasis on tempora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suggests a spiral model, which grafts person and spatiality onto a time axis. Moreover, this study suggests three consider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n event archive. First, it presents different construction methods for different types of event archives depending on the time an event occurred. Second, it suggests records collection and management areas considering the three components of an event archive—person, spatiality, and temporality. Third, it supports a digital archive for an event archive to become an open archiv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설문원, "환경갈등의 기록화를 위한 내러티브 설계 -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사례로" 한국기록학회 (42) : 287-326, 2014

      2 이미영, "재해 지역의 기록화 사례 연구 - 한신·아와지 대지진 기록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학회 (21) : 85-116, 2009

      3 곽건홍, "일상 아카이브(Archives of everyday life)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한국기록학회 (29) : 3-33, 2011

      4 설문원, "오픈소스를 활용한 사건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 사건을 사례로 -" 한국기록관리학회 14 (14): 7-36, 2014

      5 최재희, "영국의 마이너리티 역사교육과 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 확대 연구" 한국기록학회 (36) : 121-152, 2013

      6 이경래, "영국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의 전개와 실천적 함의" 한국기록학회 (37) : 3-39, 2013

      7 윤은하, "아키비스트의 객관성에 대한 재고찰 - 클리포드 기어츠(Clifford Geertz)의 인류학적 방법론을 통해" 한국기록학회 (47) : 131-159, 2016

      8 김진성, "세월호 참사에 관한 기록정보관리 분야의 사회적 역할" 한국기록학회 (44) : 199-215, 2015

      9 안병우, "세월호 사건 기록화의 과정과 의의" 한국기록학회 (44) : 217-241, 2015

      10 이정우, "사건의 철학 : 삶, 죽음, 운명" ㈜그린비출판사 2011

      1 설문원, "환경갈등의 기록화를 위한 내러티브 설계 -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사례로" 한국기록학회 (42) : 287-326, 2014

      2 이미영, "재해 지역의 기록화 사례 연구 - 한신·아와지 대지진 기록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학회 (21) : 85-116, 2009

      3 곽건홍, "일상 아카이브(Archives of everyday life)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한국기록학회 (29) : 3-33, 2011

      4 설문원, "오픈소스를 활용한 사건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 사건을 사례로 -" 한국기록관리학회 14 (14): 7-36, 2014

      5 최재희, "영국의 마이너리티 역사교육과 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 확대 연구" 한국기록학회 (36) : 121-152, 2013

      6 이경래, "영국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의 전개와 실천적 함의" 한국기록학회 (37) : 3-39, 2013

      7 윤은하, "아키비스트의 객관성에 대한 재고찰 - 클리포드 기어츠(Clifford Geertz)의 인류학적 방법론을 통해" 한국기록학회 (47) : 131-159, 2016

      8 김진성, "세월호 참사에 관한 기록정보관리 분야의 사회적 역할" 한국기록학회 (44) : 199-215, 2015

      9 안병우, "세월호 사건 기록화의 과정과 의의" 한국기록학회 (44) : 217-241, 2015

      10 이정우, "사건의 철학 : 삶, 죽음, 운명" ㈜그린비출판사 2011

      11 채오병, "사건사의 인식론과 방법론" 한국사회사학회 (83) : 157-185, 2009

      12 이건, "사건사 분석(Event History Data Analysis)의 개요 : 와이불(Weibull)모델을중심으로" 3 : 139-157, 1994

      13 이경래, "북미지역 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논의와 비판적 독해" 한국기록학회 (38) : 225-264, 2013

      14 윤은하, "북미 기록학의 동향과 전망 - 패러다임 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 11 (11): 77-94, 2011

      15 김지현, "미국, 캐나다, 호주 주립기록관의 민간기록물 수집정책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 14 (14): 105-126, 2014

      16 손동유,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활성화 방" 한국기록학회 (35) : 161-206, 2013

      17 김화경, "마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 전략 - 부산 산복도로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 12 (12): 143-161, 2012

      18 박규택, "로컬의 공간성 이해를 위한 이론적 틀 ―사회ㆍ역사 구성주의 관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3) : 159-183, 2009

      19 차철욱, "로컬시간을 고민한다" 42 : 6-7, 2015

      20 박지애, "디지털기록유산 평가·수집 모형에 대한 연구: 캐나다 ‘Whole-of-Society 접근법’을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44) : 51-99, 2015

      21 설문원, "디지털 환경에서의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론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1 (11): 207-230, 2011

      22 김유승, "노근리사건 도큐멘테이션 전략 수립을 위한 예비 분석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5 (15): 173-194, 2015

      23 윤은하, "노근리 사건의 사회적 기억과 기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6 (16): 57-79, 2016

      24 이현정,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의 과제와 전망 - 월가점령운동 기록화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42) : 213-243, 2014

      25 이영남, "기록의 전회<포스트1999>를 전망하며(2)" 한국기록학회 (40) : 225-277, 2014

      26 김영, "구술생애사 기록을 통해 본 사회운동참여의 맥락: 밀양765kV송전탑건설반대운동에 참여한 여성주민들의 구술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44) : 101-151, 2015

      27 권명숙, "구술기록의 수집 절차에 관한 연구-민간인학살사건 다큐멘테이션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28 이주영, "구술기록을 통한 민간인학살사건의 역사화" 한국기록학회 (29) : 79-127, 2011

      29 윤은하,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한국기록학회 (33) : 3-37, 2012

      30 오명진, "공공영역의 2004년 대통령 탄핵사건 기록" 한국기록학회 (32) : 45-78, 2012

      31 박규택, "공간, 시간, 사회/자연의 상호관계성에 의한 지역이해" 5 (5): 15-27, 1999

      32 김익한, "‘세월호 기억 저장소’를 만들자" (107) : 12-24, 2014

      33 Josias, A., "Toward an Understanding of Archives as a Feature of Collective Memory" 11 : 95-112, 2011

      34 Leitner, H., "The Spatialities of Contentious Politics" 33 (33): 157-172, 2008

      35 Sewell, W. Jr., "The Historic Turn in the Human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45-280, 1996

      36 Giddens, A., "The Constitution of Society: Outline of the Theory of Structur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37 Cook, T., "Macro-appraisal and Functional Analysis : Documenting governance rather than government" 25 (25): 5-18, 2004

      38 Cox, R. J., "Documenting Localities: a Practical Model for American Archivists and Manuscript Curators" 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and the Scarecrow Press 1996

      39 Trubowitz, P., "Defining the National Interest: Conflict and Change in American Foreign Polic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40 강주연, "5.18 민주화 운동 기록물을 활용한 PBL모형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 15 (15): 29-54, 2015

      41 심성보, "4. 16 세월호 참사 기록, 어떻게 할 것인가?" 57 : 14-26,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rchival Studies ->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14 1.767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