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가정배달도시락 수혜 아동의 도시락 서비스 이용 실태와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415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결식아동을 위한 급식은 지역 실정과 아동 여건에 따라 급식소 급식, 일반음식점 급식, 도시락 배달, 부식 지원 등의 방법으로 지원하고 있으나, 그중 도시락 배달은 완전한 식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낙인 현상 없이 아동이 원하는 시간에 편리하게 먹을 수 있다는 면에서 만족도가 높다. 그러나 도시락은 생산하는 장소와 섭취하는 장소가 분리되고, 섭취 전까지 취급 방법에 따라 식중독 발생 위험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락이 가정으로 배달된 후 가정 내 보관과 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도시락 급식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도시락 서비스를 이용한 기간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길어졌고, 절반 정도의 아동들이 일주일에 4~5회 도시락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기 중보다는 방학 중 도시락 서비스 이용 빈도가 증가하였다. 조사대상자의 86.1%는 도시락을 받은 후 4시간 이내에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3.9%는 4시간이 지나거나 다음 날 아침에 먹는 경우가 있었고, 도시락을 섭취 시까지 싱크대나 식탁 등의 상온보관을 하는 비율이 30.1%였다. 특히 학년이 낮을수록 그 비율이 높게 나타나 도시락을 섭취하기 전 안전한 보관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였다. 남은 음식은 냉장고에 보관 후 섭취전 가스레인지나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다. 배달도시락 서비스 품질 점수는 보통 정도였으나 음식의 간과 맛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이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메뉴 요인의 평가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이 서울 일부 지역에서 도시락 배달을 받는 수혜자로 제한되어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결식아동을 대상으로 가정에서 배달된 도시락을 어떻게 보관하고 섭취하는지에 대해 수혜 아동의 입장에서 수행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역에 따라 급식서비스 운영 방법이 다양하므로 향후 다양한 지역과 급식서비스 업장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요구된다.
      번역하기

      결식아동을 위한 급식은 지역 실정과 아동 여건에 따라 급식소 급식, 일반음식점 급식, 도시락 배달, 부식 지원 등의 방법으로 지원하고 있으나, 그중 도시락 배달은 완전한 식사를 제공할 ...

      결식아동을 위한 급식은 지역 실정과 아동 여건에 따라 급식소 급식, 일반음식점 급식, 도시락 배달, 부식 지원 등의 방법으로 지원하고 있으나, 그중 도시락 배달은 완전한 식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낙인 현상 없이 아동이 원하는 시간에 편리하게 먹을 수 있다는 면에서 만족도가 높다. 그러나 도시락은 생산하는 장소와 섭취하는 장소가 분리되고, 섭취 전까지 취급 방법에 따라 식중독 발생 위험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락이 가정으로 배달된 후 가정 내 보관과 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도시락 급식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도시락 서비스를 이용한 기간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길어졌고, 절반 정도의 아동들이 일주일에 4~5회 도시락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기 중보다는 방학 중 도시락 서비스 이용 빈도가 증가하였다. 조사대상자의 86.1%는 도시락을 받은 후 4시간 이내에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3.9%는 4시간이 지나거나 다음 날 아침에 먹는 경우가 있었고, 도시락을 섭취 시까지 싱크대나 식탁 등의 상온보관을 하는 비율이 30.1%였다. 특히 학년이 낮을수록 그 비율이 높게 나타나 도시락을 섭취하기 전 안전한 보관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였다. 남은 음식은 냉장고에 보관 후 섭취전 가스레인지나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다. 배달도시락 서비스 품질 점수는 보통 정도였으나 음식의 간과 맛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이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메뉴 요인의 평가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이 서울 일부 지역에서 도시락 배달을 받는 수혜자로 제한되어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결식아동을 대상으로 가정에서 배달된 도시락을 어떻게 보관하고 섭취하는지에 대해 수혜 아동의 입장에서 수행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역에 따라 급식서비스 운영 방법이 다양하므로 향후 다양한 지역과 급식서비스 업장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onsumption of home-delivered meals amo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to assess their perception of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 A survey was conducted on 392 children who had received home-delivered meals, and 208 questionnaires (response rate: 53.1%)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8.0). The respondents consiste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36.1%), middle school students (33.7%), and high school students (30.2%). Approximately half of children received home-delivered meals during their semester and vacation periods, and 52.2% of respondents shared the delivered meals with their brothers or sisters. Eighty-six point one percent of respondents consumed delivered meals within 4 hours after the meals were received at home, and approximately a fifth of respondents left the delivered meal boxes on a sink counter or table until eating. Leftover foods were kept in the refrigerator (52.2%) or on the sink counter/table (2.5%). The quality of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 was assessed as 3.3 points based on a 5-point scale. ‘Food safety is good’ received the highest score (3.62) and ‘Food taste is good’ received the lowest score (3.07).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receiving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 should be provided information on proper handling and consumption of the delivered meals at home.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onsumption of home-delivered meals amo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to assess their perception of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 A survey was conducted on 392 children who had received hom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onsumption of home-delivered meals amo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to assess their perception of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 A survey was conducted on 392 children who had received home-delivered meals, and 208 questionnaires (response rate: 53.1%)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8.0). The respondents consiste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36.1%), middle school students (33.7%), and high school students (30.2%). Approximately half of children received home-delivered meals during their semester and vacation periods, and 52.2% of respondents shared the delivered meals with their brothers or sisters. Eighty-six point one percent of respondents consumed delivered meals within 4 hours after the meals were received at home, and approximately a fifth of respondents left the delivered meal boxes on a sink counter or table until eating. Leftover foods were kept in the refrigerator (52.2%) or on the sink counter/table (2.5%). The quality of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 was assessed as 3.3 points based on a 5-point scale. ‘Food safety is good’ received the highest score (3.62) and ‘Food taste is good’ received the lowest score (3.07).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receiving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 should be provided information on proper handling and consumption of the delivered meals at ho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순정, "혼자 또는 온 가족이 함께 하는 식사형태가 아동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관한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대전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206-226, 2010

      2 윤선재, "학교급식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인식 및 잔반율 영향 요인 분석 - 경남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대한영양사협회 18 (18): 126-140, 2012

      3 박형수, "푸드뱅크 기탁 조리식품의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I"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617-629, 2007

      4 류경, "푸드뱅크 기탁 조리식품의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Ⅱ)" 대한영양사협회 13 (13): 389-406, 2007

      5 정경아, "초등학생들의 식행동 분석에 따른 어린이 요리책 개발에 관한 연구 - 일부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 한국조리학회 16 (16): 351-366, 2010

      6 권정은, "중학생의 가족식사 횟수에 따른 식행동, 식품섭취 및 삶의 만족도"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8 (28): 272-281, 2013

      7 윤보람, "여름방학 중 결식아동에게 제공된 도시락 식단의 식품 구성 평가"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1 (21): 118-124, 2011

      8 윤보람, "여름방학 중 결식아동 도시락 제공 기관의 운영관리 실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4 (14): 206-215, 2009

      9 김미라, "아동소비자의 식품위생에 대한 지식과 행동의 인과관계 분석" 대한가정학회 44 (44): 143-151, 2006

      10 김혜영, "시판 도시락 중 동태전과 달걀말이의 생산단계에 따른 품질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 (20): 292-298, 2004

      1 성순정, "혼자 또는 온 가족이 함께 하는 식사형태가 아동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관한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대전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206-226, 2010

      2 윤선재, "학교급식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인식 및 잔반율 영향 요인 분석 - 경남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대한영양사협회 18 (18): 126-140, 2012

      3 박형수, "푸드뱅크 기탁 조리식품의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I"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617-629, 2007

      4 류경, "푸드뱅크 기탁 조리식품의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Ⅱ)" 대한영양사협회 13 (13): 389-406, 2007

      5 정경아, "초등학생들의 식행동 분석에 따른 어린이 요리책 개발에 관한 연구 - 일부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 한국조리학회 16 (16): 351-366, 2010

      6 권정은, "중학생의 가족식사 횟수에 따른 식행동, 식품섭취 및 삶의 만족도"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8 (28): 272-281, 2013

      7 윤보람, "여름방학 중 결식아동에게 제공된 도시락 식단의 식품 구성 평가"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1 (21): 118-124, 2011

      8 윤보람, "여름방학 중 결식아동 도시락 제공 기관의 운영관리 실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4 (14): 206-215, 2009

      9 김미라, "아동소비자의 식품위생에 대한 지식과 행동의 인과관계 분석" 대한가정학회 44 (44): 143-151, 2006

      10 김혜영, "시판 도시락 중 동태전과 달걀말이의 생산단계에 따른 품질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 (20): 292-298, 2004

      11 최미화, "수원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급식 위생지식과 수행수준의 평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1 (21): 311-322, 2010

      12 남경희, "서울시내 일부 저소득층 학동기 아동의 신체발달 및 식습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1 (11): 172-179, 2006

      13 이주희, "무료급식소를 이용하는 아동의 가족유형에 따른 식습관 및 영양지식 비교" 한국영양학회 44 (44): 255-263, 2011

      14 김윤화, "대구·경북지역 고등학생의 식생활교육 요구도 조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77-90, 2010

      15 김혜영, "노인을 위한 가정배달급식의 포장방법 및 저장조건에 따른 이화학적?미생물학적 품질 변화 2"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9 (19): 240-253, 2003

      16 김혜영, "노인을 위한 가정배달급식의 생산 및 배송단계에 HACCP 적용을 위한 위해요인 분석 1"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9 (19): 195-209, 2003

      17 박정연, "노인급식 수혜자의 가정에서 배달 도시락 취급 및 섭취 실태와 가정배달 급식서비스에 대한 인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379-392, 2010

      18 이윤정, "경북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에 대한 위생교육 필요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4 (24): 577-588, 2011

      19 나수영, "경기 일부지역 초등학생의 채소와 과일 섭취 및 관련 인식, 자아효능감, 영양지식과 식행동"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329-341, 2010

      20 문정아, "결식아동을 위한 가정배달 도시락의 생산과 배달과정 중 미생물적 평가" 대한영양사협회 19 (19): 236-252, 2013

      21 권혜영, "결식아동에 제공되는 도시락 지원 수혜자의 만족도, 메뉴 기호도 및 식습관 조사" 한국식품영양학회 24 (24): 320-328, 2011

      22 정경아, "강원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조리활동에 필요한 기초 조리능력 및 식품준비 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 17 (17): 204-220, 2011

      23 Yang IS, "Were the healthy meals served for low-income children during long school vacations? What the summer/winter foodservice program should be?" 101 : 15-23, 2005

      24 Cho AJ, "The poorly-fed children in Korea and the reform of the public meal delivery system" 128 : 37-46, 2007

      25 Kwak TK, "The improvement of the sanitar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actices for packaged meals(Kim Pab)marketed in convenience stores using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HACCP)system" 11 : 177-187, 1996

      26 Cho AJ, "The food delivery services of community child centers for poor children" 139 : 43-54, 2008

      27 Kim MS, "Status on food service support systems for low-income childre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10-, 2007

      28 Yoon JH, "Status on 'Happy Meal Box' foodservice for low-income children. Research Report" The Happiness Foundation 2008

      2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Standard Growth Chart for Children 2007"

      30 Kwak TK, "Relationships between actual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Dosirak items marketed in CVS" 11 : 235-242, 1996

      31 Lim WS, "Poverty statistical yearbook 201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75-, 2013

      32 Kim HR, "Obesity and underweight among children in low income families: Status, and policy options for childhood health equality" 188 : 55-66, 2012

      33 Son SM, "Nutritional status of 5th grade school children residing in low-income area of Pucheon city" 2 : 267-274, 1997

      34 Ministry Health and Welfare, "Ministry Health and Welfare year book 2012" Ministry Health and Welfare 284-, 2012

      35 Chung GH, "Lunch program for needy children: Current status and policy recommendations" 101 : 5-14, 2005

      36 Statistics Korea, "KOSIS 100 Index"

      37 Fey-Yensan N, "Food safety risk identified in a population of elderly home-delivered meal participants" 101 : 1055-1057, 2001

      38 Kwak TK, "Current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operations for children and the improvement strategies" 11 (11): 41-54, 2006

      39 Almanza BA, "Clients' safe food-handling knowledge and risk behavior in a home-delivered meal program" 107 : 816-821, 2007

      40 Wolfe WS, "Building household foodsecurity measurement tools from the ground up" 22 : 5-12, 2001

      41 Park JS, "A study on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unprivileged children without lunch" 23 : 721-728, 2002

      42 Choi YD, "A study on the efficient food service program to the poorly-fed children" 3 : 1-24, 2007

      43 Lee HH, "A study on support policies for undernourished children during vacation" 8 : 159-176, 2006

      44 Kye SH,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sanitary condition and the quality of packaged meals(Dosirak)produced in packaged meal manufacturing establishments in Seoul city and Kyungki-do province" 3 : 117-129, 1988

      45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13 The child welfare program guide"

      4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School Health Examination Sampling Survey"

      47 양일선, "2010년도 조사대상별 학교급식 만족도 및 급식품질 속성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8 (18): 491-504,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