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82124
2021
Korean
59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890-899(1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용, "화산력-바이오 블록의 식생 및 수질정화 특성" 한국농공학회 58 (58): 47-54, 2016
2 성봉재, "하우스에서 재배된 새싹인삼의 재배시기별 생육, 유효성분 및 물성의 변화" 한국약용작물학회 27 (27): 126-135, 2019
3 김민정, "청색과 적색 LED 처리가 인삼의 생육 및 사포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 17 (17): 187-191, 2009
4 장은하, "저장온도 및 필름처리가 묘삼의 생장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7 (27): 534-543, 2020
5 조봉희, "원적외선 처리수가 봄 무의 자엽, 하배축, 뿌리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분석과학회 22 (22): 277-284, 2009
6 이연리, "수경재배 인삼 뿌리와 잎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학회 33 (33): 58-63, 2020
7 이호진, "배지경 포트재배에서 비료용액의 NO3-:NH4+ 비율이 고추의 생장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31 (31): 65-71, 2013
8 박지은,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인공광원과 광조사 시간에 따른 상추의 생장 및 안토시아닌 함량" 한국원예학회 30 (30): 673-679, 2012
9 노승원, "담액수경재배 시스템에서 플라즈마수 처리가 상추의 생육 및 페놀류 함량에 미치는 영향"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9 (29): 464-472, 2020
10 손기호, "단색 발광다이오드에서 자란 축면상추 두 품종의 엽형, 생장 및 기능성 물질" 한국원예학회 30 (30): 664-672, 2012
1 박성용, "화산력-바이오 블록의 식생 및 수질정화 특성" 한국농공학회 58 (58): 47-54, 2016
2 성봉재, "하우스에서 재배된 새싹인삼의 재배시기별 생육, 유효성분 및 물성의 변화" 한국약용작물학회 27 (27): 126-135, 2019
3 김민정, "청색과 적색 LED 처리가 인삼의 생육 및 사포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 17 (17): 187-191, 2009
4 장은하, "저장온도 및 필름처리가 묘삼의 생장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7 (27): 534-543, 2020
5 조봉희, "원적외선 처리수가 봄 무의 자엽, 하배축, 뿌리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분석과학회 22 (22): 277-284, 2009
6 이연리, "수경재배 인삼 뿌리와 잎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학회 33 (33): 58-63, 2020
7 이호진, "배지경 포트재배에서 비료용액의 NO3-:NH4+ 비율이 고추의 생장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31 (31): 65-71, 2013
8 박지은,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인공광원과 광조사 시간에 따른 상추의 생장 및 안토시아닌 함량" 한국원예학회 30 (30): 673-679, 2012
9 노승원, "담액수경재배 시스템에서 플라즈마수 처리가 상추의 생육 및 페놀류 함량에 미치는 영향"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9 (29): 464-472, 2020
10 손기호, "단색 발광다이오드에서 자란 축면상추 두 품종의 엽형, 생장 및 기능성 물질" 한국원예학회 30 (30): 664-672, 2012
11 신보경, "관비용액의 비료 조성 및 농도가 상추의 생장과 근권 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2 (22): 193-201, 2013
12 이종두, "가락지나물의 생장과 생리활성물질 함량에 미치는 차광, 광질 및 화학적 엘리시테이션" 한국자원식물학회 29 (29): 363-375, 2016
13 Mampholo BM, "Variety-specific responses of lettuce grown in a gravelfilm technique closed gydroponic system to N supply on yield, morphology, phytochemicals, mineral content and safety" 17 : 2447-2457, 2018
14 Fournier AR, "Understory light and root ginsenosides in forest-grown Panax quinquefolius" 63 : 777-782, 2003
15 Chee CK,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15 : 4-13, 2001
16 Erwin JE, "Temperature and photoperiod effects on Fuchsia × hybrid morphology" 116 : 955-960, 1991
17 Yoo SJ, "Status of plasma technology applied to agriculture and foods" 2 : 4-8, 2015
1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DFS),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s"
19 Mittler R, "Reactive oxygen gene network of plants" 9 : 490-498, 2004
20 Seo SG, "Plant Factory" World Science 10-28, 2008
21 Park SH, "Origin of hydroxyl radicals in a weakly ionized plasma-facing liquid" 378 : 1-8, 2019
22 Saebo A, "Light quality affects photosynthesis and leaf anatomy of birch plantlets in vitro" 41 : 177-185, 1995
23 김성진, "LED의 간헐조명과 RGB 비율에 따른 상추의 품종별 생육 특성"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6 (26): 123-132, 2017
24 Ryu JH, "Improving seedling growth by microwave plasma activated-water" 83-, 2016
25 "Health Functional Food Standards and Standards (Notification No. 2004-14). Ginseng/Red Samsung Powder Products"
26 Yang DC, "Effects of light on the pigment production and chloroplast development of ginseng hairy roots" 21 : 28-34, 1997
27 Moreno MIN,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71 : 109-114, 2000
28 Singleton VL,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16 : 144-158, 1965
29 Lichtenthaler HK,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 Pigments of photosynthetic biomembranes" 148 : 350-382, 1987
30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31 류승민, "2계면 플라즈마 방전시스템(DBD System)의 특징 및 소독제로서 방전수의 사용가능성에 대한연구" 대한상하수도학회 18 (18): 529-536, 2004
국내산 생강의 데옥시니발레놀과 니발레놀 발생 및 저감화 저장조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1-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6-0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5-03-0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영문명 :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8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1 | 0.9 | 1.63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