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0년대 이후 한국 방송 산업의 신규 매체 및 채널 도입 정책에 관한 통시적 접근 = A Diachronic Study of the Competition Policy of the Korean Broadcasting Industry Since the 200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183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등장한 위성 방송, DMB, IPTV, 종합 편성 채널 등 신규매체 및 채널 도입 과정을 경쟁 정책적 관점에서 통시적으로 분석·평가하고 향후 경쟁 정책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정책 의제설정, 정책 결정, 정책 집행, 정책 평가로 구성되는 정책 과정을 기본 틀로 하여 신규 매체 도입에 있어 각 정책 단계가 갖는 경쟁 정책적 의미를 고찰했다. 연구결과 나타난 신규 매체 도입 과정의 경쟁 정책 차원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정 경쟁 관점에서의 거시적이고 장기적 정책 수립이 부재한 대신 단기적이고 정치적인 규제 대응이 주를 이뤘다. 둘째, 핵심적 정책 사안에 대한 경쟁 관점의 판단 및 규제 체계 정립에 실패했다. 셋째, 경쟁 정책 수립 실패가 규제 기관의 후견주의적 정책 결정이나 관할권 다툼, 조정 능력 부재 등과 맞물리면서 특정 사업자에 과도하게 편향되는 정책 결정을 낳았다.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더욱 부각되고 있는 공정 경쟁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시장 구조 변화에 대한 분석, 신규 진입 사업자의 시장 안착이나 기존 사업자의 보호를 넘어서는 경쟁 원칙 수립,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정책 평가 등을 수행하고 이에 기반하여 경쟁 정책의 틀을 새롭게 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등장한 위성 방송, DMB, IPTV, 종합 편성 채널 등 신규매체 및 채널 도입 과정을 경쟁 정책적 관점에서 통시적으로 분석·평가하고 향후 경쟁 정책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

      이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등장한 위성 방송, DMB, IPTV, 종합 편성 채널 등 신규매체 및 채널 도입 과정을 경쟁 정책적 관점에서 통시적으로 분석·평가하고 향후 경쟁 정책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정책 의제설정, 정책 결정, 정책 집행, 정책 평가로 구성되는 정책 과정을 기본 틀로 하여 신규 매체 도입에 있어 각 정책 단계가 갖는 경쟁 정책적 의미를 고찰했다. 연구결과 나타난 신규 매체 도입 과정의 경쟁 정책 차원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정 경쟁 관점에서의 거시적이고 장기적 정책 수립이 부재한 대신 단기적이고 정치적인 규제 대응이 주를 이뤘다. 둘째, 핵심적 정책 사안에 대한 경쟁 관점의 판단 및 규제 체계 정립에 실패했다. 셋째, 경쟁 정책 수립 실패가 규제 기관의 후견주의적 정책 결정이나 관할권 다툼, 조정 능력 부재 등과 맞물리면서 특정 사업자에 과도하게 편향되는 정책 결정을 낳았다.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더욱 부각되고 있는 공정 경쟁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시장 구조 변화에 대한 분석, 신규 진입 사업자의 시장 안착이나 기존 사업자의 보호를 넘어서는 경쟁 원칙 수립,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정책 평가 등을 수행하고 이에 기반하여 경쟁 정책의 틀을 새롭게 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a competitive policy perspective, is to analyzes and evaluates the introduction process of new media and channels such as satellite broadcasting, DMB, IPTV,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since 2000, as well 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competition policies. To do this, we analyzed the each policy stage in the introduction of new media based on the policy process consisting of policy agenda setting, policy decision and enforcement, policy evalu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itive policy of the new media introduction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instead of macro and long‐term policy formulation in terms of fair competition, short‐term and political regulatory responses were dominant. Second, it has failed to judge the decision on core policy issues and establish a regulatory system from a competitive viewpoint. Third, the failure to establish a competitive policy has resulted in policy decisions that are overly biased to specific operators, in combination with the regulatory body’s parental policy decision, competition between regulatory jurisdictions over jurisdiction, and lack of coordination. In order to establish fair competitive policies that are becoming more important in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competition policy framework should be newly established based on analysis of changes in market structure, establishment of competition principles beyond the successful entry of new entrants or the protection of existing ones, and long‐term and macroscopic policy evalu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a competitive policy perspective, is to analyzes and evaluates the introduction process of new media and channels such as satellite broadcasting, DMB, IPTV,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since 2000, as well as to 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a competitive policy perspective, is to analyzes and evaluates the introduction process of new media and channels such as satellite broadcasting, DMB, IPTV,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since 2000, as well 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competition policies. To do this, we analyzed the each policy stage in the introduction of new media based on the policy process consisting of policy agenda setting, policy decision and enforcement, policy evalu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itive policy of the new media introduction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instead of macro and long‐term policy formulation in terms of fair competition, short‐term and political regulatory responses were dominant. Second, it has failed to judge the decision on core policy issues and establish a regulatory system from a competitive viewpoint. Third, the failure to establish a competitive policy has resulted in policy decisions that are overly biased to specific operators, in combination with the regulatory body’s parental policy decision, competition between regulatory jurisdictions over jurisdiction, and lack of coordination. In order to establish fair competitive policies that are becoming more important in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competition policy framework should be newly established based on analysis of changes in market structure, establishment of competition principles beyond the successful entry of new entrants or the protection of existing ones, and long‐term and macroscopic policy evalu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논의
      • 3. 위성 방송 도입과 경쟁 정책의 부상
      • 4.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도입과 이동형 경쟁 시장 형성
      • 5. IPTV 도입과 방송 통신 융합 대응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논의
      • 3. 위성 방송 도입과 경쟁 정책의 부상
      • 4.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도입과 이동형 경쟁 시장 형성
      • 5. IPTV 도입과 방송 통신 융합 대응
      • 6. 종합 편성 채널 도입과 채널 경쟁의 심화
      • 7.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