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는 이제 우리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수준에까지 이르렀다.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동안 많은 학교에서 환경교육이 이루어졌으나, 이에 대한 환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02804
201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는 이제 우리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수준에까지 이르렀다.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동안 많은 학교에서 환경교육이 이루어졌으나, 이에 대한 환경...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는 이제 우리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수준에까지 이르렀다.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동안 많은 학교에서 환경교육이 이루어졌으나, 이에 대한 환경교육적 성과를 충분히 이루어내지 못하였다. 이는 ‘환경 지식을 얼마나 알고 있느냐’(knowing that)보다 ‘환경 지식을 어떻게 활용하느냐’(knowing how)에 초점을 둔 환경교육으로의 개선에 대한 요구이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핵심역량’(key competencies)이라는 개념은 이러한 현대 사회에 요구되는 개인의 능력을 표현하는 개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은 여러 가지 얽혀있는 상황에서 어떠한 행위를 선택하게 되는데 그 선택에 있어서 ‘어떠한 능력을 발휘하는가’를 교실에서 학습의 출발점으로 삼게 되는 것이다. 학생들은 교사로부터 일방적인 강의를 듣는 것이 아니라, 자율적으로 지식을 찾고, 예상하고, 선택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실생활 중심, 문제해결 중심, 지속가능발전의 통합적 수업을 위해서 환경교육과정은 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개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저서는 지금까지 환경교육과정의 발전 과정을 되돌아보고 21세기 바람직한 환경교육과정으로 나아가는데 요구되는 목표, 내용선정 및 조직, 운영, 평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21세기 바람직한 환경교육과정에 필요한 요소로 역량을 제안하며 역량 중심의 환경교육과정이 가져야 할 기본 개념과 특징을 환경교육과정 측면에서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환경교육과정의 철학을 재정립하고, 목표를 재수립함으로써 실제 생활에 필요한 환경교육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환경교육과정의 재정향은 앞으로 교실 상황에서 환경교육이 구현되는데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21세기 환경교육과정론』을 통한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환경교육과정의 철학을 밝힐 수 있다.
『21세기 환경교육과정론』은 환경 교육과정의 관점을 환경적 관점과 환경교육 연구 관점을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환경교육과정의 철학적 기저를 명확하게 밝힐 수 있다. 이는 환경교육이 타교과와 구별되는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2) 환경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를 명료화할 수 있다.
앞으로 환경교육과정은 그 동안 환경교육이 지향해온 1980년 UNESCO에서 제시한 목표인 인식, 지식, 태도, 기능 참여와 헝거퍼드(Harold Hungerford)의 선형적 모델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다. 또 환경교육과정의 목표는 환경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성에도 초점에 맞추어야 하며, 이러한 조화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역량이란 무엇이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본 저서는 21세기 환경교육과정의 목적에 지속가능성과 역량을 포함시킴으로써, 환경교육과정의 목적을 재수립하는데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3) 지속가능성을 추가로 하여 내용을 선정 및 조직할 수 있다.
초기 환경교육론은 환경문제만 강조하였고, 지속가능성에 대한 부분은 누락되었다. 그러나 환경문제는 인간 생활에서 크게 경제와 사회와 밀접하게 관련 맺으며 발생한다. 이러한 교육을 지속가능발전교육이라고 하는데, 이 책의 내용 요소에 환경ㆍ경제ㆍ사회 측면에서의 환경 내용을 추가한다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4) 교육과정의 운영 및 평가를 효율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환경과목은 학습자의 내신성적에 포함되지 않고 ‘이수’라고 표기한다. 따라서 환경교육과정은 단답형이나 선다형 위주의 평가보다 수행능력을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평가에 맞는 교육과정의 운영이 필요하다.
5) 핵심역량에 대한 이해를 포함한다.
직업 교육 분야에서 논의된 역량의 개념부터 교육 분야에서 대두된 역량, 그리고 지금 논의되는 핵심역량이란 무엇인지, 환경교육에서 접근해왔던 행위 역량이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한다. 이를 통해 환경교육과정에서 역량에 대한 이해를 돕고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 동안 연구자는 우리나라 환경 교과가 처음 신설되었을 때부터 지금까지 제반 환경교육 분야에 대해서 연구하여 왔다. 연구자가 연구한 환경 철학, 성격 및 목표, 내용 및 교수-학습방법 등 다수의 논문과 프로젝트, 그리고 수상 실적은 연구자가 『21세기 환경교육과정론』을 집필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역량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책은 출판하는 것과 더불어 독자에게 읽혀지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즉 우수한 책이 출판되었다면 이 책을 독자의 손에 닿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구자는 몇 권의 책을 출판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출판 경험은 『21세기 환경교육과정론』을 마케팅 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