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관상동맥질환 환자들에서 스트레스지각과 대응전략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91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138명의 관상동맥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스트레스인자 및 스트레스반응 지각과 대응전략 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이들 환자에서 효과적 혹은 비효과적인 대응전략을 발견함으로써 이를 나중에 이런 환자들의 정신사회적 치료에 응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방법:
      스트레스인자 및 스트레스반응에 대한 지각은 각각 스트레스인자 지각 척도(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및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Perceived Stress Response Inventory)를, 대응전략은 대응척도(Coping Scale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일 및 직장, 대인관계, 대인관계의 변화, 질병 및 상해, 경제적인 문제, 비일상적인 사건, 일상생활 변화의 유무, 전반적인 스트레스인자 지각 점수는 도피-회피와, 질병 및 상해, 경제적인 문제, 전반적인스트레스지각 점수는 책임수용과, 경제적인 문제와 관련된 스트레스 지각점수는 계획적 문제해결 및 긍정적 재평가와 양성 상관성을 보였다. 도피-회피는 부정적 감정반응, 인지기능저하 및 일반적 부정적 사고, 자기비하적 사고, 충동공격적 사고, 일반적 신체증산, 특정신체증상, 수동반응적 및 부주의 행동,충동공격적 행동과 같은 모든 스트레스반응 항목들과 유의한 양성 상관성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 거리감 유지는 부정적 감정반응, 인지기능저하 및 일반적 부정적 사고, 일반적 신체증산, 수동반응적 및 부주의 행동과 양성 상관성을 보였다. 남자가 여자보다 직면, 자기통제, 사회적 지지추구, 책임수용, 계획적 문제해결, 긍정적 재평가를 유의하게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육수준은 직면, 자기통제, 사회적 지지추구, 책임수용, 계획적 문제해결, 긍정적 재평가와 같은 대응전략과 양성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관상동맥질환 환자들이 사용하는 대응전략이 스트레스인자의 종류, 성별, 교육수준에 따라 달라지고 있고 대응전략 중 도피-회피 및 거리감유지가 가장 비교화적일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138명의 관상동맥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스트레스인자 및 스트레스반응 지각과 대응전략 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이들 환자에서 효과적 혹은 비효과적...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138명의 관상동맥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스트레스인자 및 스트레스반응 지각과 대응전략 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이들 환자에서 효과적 혹은 비효과적인 대응전략을 발견함으로써 이를 나중에 이런 환자들의 정신사회적 치료에 응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방법:
      스트레스인자 및 스트레스반응에 대한 지각은 각각 스트레스인자 지각 척도(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및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Perceived Stress Response Inventory)를, 대응전략은 대응척도(Coping Scale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일 및 직장, 대인관계, 대인관계의 변화, 질병 및 상해, 경제적인 문제, 비일상적인 사건, 일상생활 변화의 유무, 전반적인 스트레스인자 지각 점수는 도피-회피와, 질병 및 상해, 경제적인 문제, 전반적인스트레스지각 점수는 책임수용과, 경제적인 문제와 관련된 스트레스 지각점수는 계획적 문제해결 및 긍정적 재평가와 양성 상관성을 보였다. 도피-회피는 부정적 감정반응, 인지기능저하 및 일반적 부정적 사고, 자기비하적 사고, 충동공격적 사고, 일반적 신체증산, 특정신체증상, 수동반응적 및 부주의 행동,충동공격적 행동과 같은 모든 스트레스반응 항목들과 유의한 양성 상관성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 거리감 유지는 부정적 감정반응, 인지기능저하 및 일반적 부정적 사고, 일반적 신체증산, 수동반응적 및 부주의 행동과 양성 상관성을 보였다. 남자가 여자보다 직면, 자기통제, 사회적 지지추구, 책임수용, 계획적 문제해결, 긍정적 재평가를 유의하게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육수준은 직면, 자기통제, 사회적 지지추구, 책임수용, 계획적 문제해결, 긍정적 재평가와 같은 대응전략과 양성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관상동맥질환 환자들이 사용하는 대응전략이 스트레스인자의 종류, 성별, 교육수준에 따라 달라지고 있고 대응전략 중 도피-회피 및 거리감유지가 가장 비교화적일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in 138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s.
      Methods: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and perceived stress response inventory(PSRI) were used to measure perception for stressors and stress responses. Cop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coping strategies.
      Results: Scores of perceived stress related to work, job, interpersonal area, changes in relationship, sickness or injury, financial area, and overall global area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escape-avoidance. Also scores of perceived stress related to sickness or injury, financial problems, overall global area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ccepting responsibility. Scores related to financial area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lanful problem
      solving and positive reappraisal.
      Escape-avoidanc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al response, lowered cognitive function and general negative thinking, self-depreciative thinking, impulsive - aggressive thinking, general somatic symptoms, specific somatic symptoms, passive-responsive careless behavior and impulsive-aggressive behavior. Distancing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al response, lowered cognitive function and general negative thinking, general somatic symptoms and passive-responsive careless behavior.
      Confrontive coping, self-control, seeking social support, accpting responsibility, planful problem solving, and positive reappraisal were more frequently used in men than in women.
      Educ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frontive coping, self-control, seeking social support, accepting responsibility, planful problem solving, and positive reappraisal.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coping strategies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ay be affected by types of perceived stressors, sex, and level of education, and that escape-avoidance and distancing may be the most ineffective coping strategies used in these patients.
      번역하기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in 138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s. Methods: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and perceived stress res...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in 138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s.
      Methods: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and perceived stress response inventory(PSRI) were used to measure perception for stressors and stress responses. Cop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coping strategies.
      Results: Scores of perceived stress related to work, job, interpersonal area, changes in relationship, sickness or injury, financial area, and overall global area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escape-avoidance. Also scores of perceived stress related to sickness or injury, financial problems, overall global area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ccepting responsibility. Scores related to financial area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lanful problem
      solving and positive reappraisal.
      Escape-avoidanc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al response, lowered cognitive function and general negative thinking, self-depreciative thinking, impulsive - aggressive thinking, general somatic symptoms, specific somatic symptoms, passive-responsive careless behavior and impulsive-aggressive behavior. Distancing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al response, lowered cognitive function and general negative thinking, general somatic symptoms and passive-responsive careless behavior.
      Confrontive coping, self-control, seeking social support, accpting responsibility, planful problem solving, and positive reappraisal were more frequently used in men than in women.
      Educ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frontive coping, self-control, seeking social support, accepting responsibility, planful problem solving, and positive reappraisal.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coping strategies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ay be affected by types of perceived stressors, sex, and level of education, and that escape-avoidance and distancing may be the most ineffective coping strategies used in these pati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 Ⅱ.방법
      • 1.대상
      • 2.방법
      • Ⅲ.결과
      • Ⅰ.서론
      • Ⅱ.방법
      • 1.대상
      • 2.방법
      • Ⅲ.결과
      • 1.사회인구학적 특징
      • 2.스트레스인자 지각과 대응전략 간의 관계
      • 3.대응전략과 스트레스반응 지각 간의 관계
      • 4.사회인구학적 특징과 스트레스인자 및 스트레스반응 지각 간의 관계
      • 5.사회인구학적 특징과 대응전략 간의 관계
      • Ⅳ.고찰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