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의 인성교육 정책과 교사교육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946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보다 앞서 인성교육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현재 본격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미국 인성교육의 역사와 현황, 목표와 방향, 성과와 저해요인 및 교사 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미국의 인성교육 정책이 우리나라의 인성교육이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 다. 미국의 인성교육이 갖는 특성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정 부가 중심이 되어 모든 것을 결정하는 방식보다는 지역이 처한 현실이나 상황에 맞게 운영할 수 있도록 각 시·도 교육청에 권한을 대폭 이양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들에 대한 연수 확 대와 함께, 다양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자료 및 수업안 개발 등을 통해 보다 손쉽게 인성교육 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교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교사들에 대한 연수 및 자료 제공 등 지원을 확 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우리나라에서도 초등학교의 경우 특히 더 일반 수업 시간 및 정규 활 동 시간 중에 인성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사 양성 과정에서 인성교육 강좌를 개설 할 경우 학급경영이나 수업 방법 및 전략과 결합된 특화된 강좌를 개설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보다 앞서 인성교육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현재 본격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미국 인성교육의 역사와 현황, 목표와 방향, 성과와 저해요인 및 교사 교육에 대해 ...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보다 앞서 인성교육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현재 본격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미국 인성교육의 역사와 현황, 목표와 방향, 성과와 저해요인 및 교사 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미국의 인성교육 정책이 우리나라의 인성교육이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 다. 미국의 인성교육이 갖는 특성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정 부가 중심이 되어 모든 것을 결정하는 방식보다는 지역이 처한 현실이나 상황에 맞게 운영할 수 있도록 각 시·도 교육청에 권한을 대폭 이양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들에 대한 연수 확 대와 함께, 다양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자료 및 수업안 개발 등을 통해 보다 손쉽게 인성교육 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교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교사들에 대한 연수 및 자료 제공 등 지원을 확 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우리나라에서도 초등학교의 경우 특히 더 일반 수업 시간 및 정규 활 동 시간 중에 인성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사 양성 과정에서 인성교육 강좌를 개설 할 경우 학급경영이나 수업 방법 및 전략과 결합된 특화된 강좌를 개설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purpose and policy direction, results and problems, and teacher education on character education in the U.S. Also, the study try to implications for the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various papers and researches published in the U.S.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transfer the power on the character education to local government, so the local government formulate and implement its own character education policies based on its own conditions. In the process, parents and the community are needed to participate and contribute for more realistic policy-making and policy implementation. Second, teachers need to more help and supports for teaching core values and conducting character education. Teachers need more on-the-job training on the character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ction plans. There will make teachers focus on the character education and instruction for core values Third, curriculums and subjects on the character education in teachers colleges need to be more directly related to the classroom management, methods and strategies of instructions, because especially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character education is conducted in general classes and regular school activ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purpose and policy direction, results and problems, and teacher education on character education in the U.S. Also, the study try to implications for the character education in K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purpose and policy direction, results and problems, and teacher education on character education in the U.S. Also, the study try to implications for the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various papers and researches published in the U.S.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transfer the power on the character education to local government, so the local government formulate and implement its own character education policies based on its own conditions. In the process, parents and the community are needed to participate and contribute for more realistic policy-making and policy implementation. Second, teachers need to more help and supports for teaching core values and conducting character education. Teachers need more on-the-job training on the character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ction plans. There will make teachers focus on the character education and instruction for core values Third, curriculums and subjects on the character education in teachers colleges need to be more directly related to the classroom management, methods and strategies of instructions, because especially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character education is conducted in general classes and regular school activ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미국의 인성교육
      • 1. 미국 인성교육의 역사와 현황
      • 2. 인성교육의 목표와 방향
      • 요약
      • Ⅰ. 서론
      • Ⅱ. 미국의 인성교육
      • 1. 미국 인성교육의 역사와 현황
      • 2. 인성교육의 목표와 방향
      • 3. 인성교육의 성과와 저해요인
      • Ⅲ.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창우,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2015

      2 안범희, "미국 학교에서의 인성교육 내용 및 특성 연구" 13 : 133-169, 2005

      3 이성호, "미국 학교 인성교육의 동향과 시사점" 한국교육개발원 41 (41): 35-59, 2014

      4 "www.edutopia.com"

      5 "http://www.sandiego.edu/soles/centers-and-research/character-development-center/index.php"

      6 "http://www.rucharacter.org/index.php"

      7 "http://www.bu.edu/ccsr/professional-development/"

      8 "http://www.ascd.org/professional-development/pls/social-emotional-learning-and-character-educatio n.aspx"

      9 Brown, J., "character education: Resurgence to safety, a perspective in curricula trend" 3 (3): 2007

      10 Larson, K. A.,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Wisconsin-Stout 2009

      1 정창우,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2015

      2 안범희, "미국 학교에서의 인성교육 내용 및 특성 연구" 13 : 133-169, 2005

      3 이성호, "미국 학교 인성교육의 동향과 시사점" 한국교육개발원 41 (41): 35-59, 2014

      4 "www.edutopia.com"

      5 "http://www.sandiego.edu/soles/centers-and-research/character-development-center/index.php"

      6 "http://www.rucharacter.org/index.php"

      7 "http://www.bu.edu/ccsr/professional-development/"

      8 "http://www.ascd.org/professional-development/pls/social-emotional-learning-and-character-educatio n.aspx"

      9 Brown, J., "character education: Resurgence to safety, a perspective in curricula trend" 3 (3): 2007

      10 Larson, K. A.,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Wisconsin-Stout 2009

      11 Ryan, K., "Those who can, teach" Houghton Mifflin Company 2010

      12 Lickona, "The return of character education" 51 (51): 6-11, 1993

      13 Sojourner, R. J., "The rebirth and retooling of character education in America"

      14 McBrien, J. L., "The language of learning: A guide to education terms"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7

      15 Thompson, W. G., "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on student behavior" School of Graduate Studies, East Tennessee State University 2002

      16 Leming, J. S., "Tell me a story: An evaluation of a literature-bas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29 (29): 413-518, 2000

      17 Yandles, J., "Teachers’perceptions of their role in character education" Walden University 2008

      18 U.S. Department of Education, "Strategic Plan 2002-2007.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Education"

      19 Ledford, A. T.,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haracter education"

      20 Michigan State Board of Education, "Policy on quality character education"

      21 Nebraska Department of Education, "Nebraska character education guidelines"

      22 Ryan, K., "Moral education: A brief history of moral education, the return of character education, current approaches to moral education"

      23 McClellan, B. E., "Moral education in America" Columbia University 1999

      24 Ornstein, A. C., "Foundations of education" Houghton Mifflin Co 2004

      25 Johnson, J. A., "Foundations of American education" Allyn & Bacon 2008

      26 Bulach, C. R., "Evaluating the impact of character education curriculum"

      27 Milson, A. J.,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nse of efficacy for character education" 93 (93): 101-103, 2002

      28 US. Department of Education, "Efficacy of schoolwide programs to promote social and character development and reduce problem behavior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National Center for Excellence in Education 2010

      29 Charcter.org, "Character education: What states are doing"

      30 Berkowitz, M. W., "Character education: Parents as partners" 63 (63): 64-69, 2005

      31 NCDPI(North Carolina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Character education: Informational handbook & guide Ⅱ for support and implementation of the Student Citizen Act of 2001"

      32 Clouse, B., "Character education: Borrowing from the past to advance the future" 72 (72): 23-28, 2001

      33 Princeton ISD,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34 NCDPI, "Character education initiative grant 2011 guidelines and application"

      35 Prestwich, D. L., "Character education in Americas’s schools" 14 (14): 139-150, 2004

      36 Powhatan County Public Schools, "Character education"

      37 American School Counseling Association, "American School Counseling Association's position statement on Character Education"

      38 Character.org, "11 principles of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