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 S. 엘리엇 연구』의 현황과 전망 = The Present and Prospect of The Journal of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e-Sup ChoiThe first issue of The Journal of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was published in 1993, two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in 1991. The society published the eighteenth volume of the journal on December 31, 2005. At first the journal was issued annually but since the year 2000, it has been published biannually. It can be said that the journal has been being developed both in quantity and in quality.The aim of this paper is to check the present of the journal and to prospect the future. As there is no precedent, the method I take is to examine how many scholars cite the journal in their papers. Amazingly enough, it turns out that very few scholars seem to read the papers published by other Korean scholars. Only 30 papers out of 132 papers published in this journal acknowledge that they cite papers issued in Korea. Among 30 papers, only 14 papers cite other scholars' papers published in this journal. One scholar cites his/her papers published in this journal and two scholars cite other scholars' papers presented in the society's conference. Only 22 authors show the evidence that they read other scholars' papers at all. Only 11 scholars from 63 authors cite other scholars' papers published in this journal. All these numbers make us wonder whether we should continue to maintain this society and to publish this journal. That's why I check the present of the society. There seems to be lots of problems in the running of the society. But they can be corrected sooner or later. We can hope for the future of the society and the journal, when the executive officers, such as president, vice presidents, secretary general, and treasurer, try to make the society and the journal better.
      번역하기

      Hie-Sup ChoiThe first issue of The Journal of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was published in 1993, two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in 1991. The society published the eighteenth volume of the journal on December...

      Hie-Sup ChoiThe first issue of The Journal of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was published in 1993, two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in 1991. The society published the eighteenth volume of the journal on December 31, 2005. At first the journal was issued annually but since the year 2000, it has been published biannually. It can be said that the journal has been being developed both in quantity and in quality.The aim of this paper is to check the present of the journal and to prospect the future. As there is no precedent, the method I take is to examine how many scholars cite the journal in their papers. Amazingly enough, it turns out that very few scholars seem to read the papers published by other Korean scholars. Only 30 papers out of 132 papers published in this journal acknowledge that they cite papers issued in Korea. Among 30 papers, only 14 papers cite other scholars' papers published in this journal. One scholar cites his/her papers published in this journal and two scholars cite other scholars' papers presented in the society's conference. Only 22 authors show the evidence that they read other scholars' papers at all. Only 11 scholars from 63 authors cite other scholars' papers published in this journal. All these numbers make us wonder whether we should continue to maintain this society and to publish this journal. That's why I check the present of the society. There seems to be lots of problems in the running of the society. But they can be corrected sooner or later. We can hope for the future of the society and the journal, when the executive officers, such as president, vice presidents, secretary general, and treasurer, try to make the society and the journal bett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구슬, "회전하는 세계 속의 엘리엇" 14 (14): 2004

      2 신양숙, "황무지의 생태학적 비젼 ; 문화교육의 녹화사업 모색" 14 (14): 2004

      3 최희섭, "황무지의 불의 설교의 불교적 고찰 ; 2001-2 ; 2001-2 ; 2001-2 ; 1993 ; 2001-2 ; 2001-1 ; 엘리엇의 “전통”의 불교적 고찰 ; 엘리엇의 전통의 형성과 발전" 12 (12): 2002

      4 양병현, "포스트모던 T. S. 엘리엇" 4 : 1996

      5 구자광, "천둥이 말한 것: 황무지의 윤리적 읽기;T. S. 엘리엇은 왜 인도의 종교와 철학을 수용할 수 없었는가?" 14 (14): 2004

      6 최희섭, "원로 정치가 에서 클레버튼 경의 자아의 탐구 ; T. S. 엘리엇과 불교 - 엘리엇 연구의 대전환을 위한 방법론 서설 ; T. S. 엘리엇의 추방 (자) 의 시와 니르바나의 시학 : 불교적 엘리엇 읽기를 위한 서론 ; T. S. 엘리엇의 원로 정치가에서의 죄와 구원 : 베르그송의 영향과 한계 ;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순교 : 대성당에서의 살인 읽기 ; T. S. 엘리엇의 칵테일 파티와 불교사상 ; T. S. 엘리엇의 비서와 불교사상 ; 엘리엇 시극에 비친 미스터리 ; The Waste Land 의 인도사상적 접근" 10 : 2001

      7 배숙자, "엘리엇의 회의주의적 관점과 네 개의 사중주" 서울: 한신문화사 5 : 1997

      8 여인천, "엘리엇의 인생과정과 작품의 관계 ; 객관 상관물의 두 가지 해석 : 신비평과 해체비평" 13 (13): 2003

      9 노저용, "엘리엇의 악마적 천사" 14 (14): 2004

      10 김신표, "엘리엇의 시에 나타난 정점의 개념과 그 구현 ; Bradley 철학의 관점에서 본 Four Quartets ; T. S. 엘리엇과 불교 - 엘리엇 연구의 대전환을 위한 방법론 서설 ; 엘리엇의 The 정점와 만달라" 14 (14): 2004

      1 김구슬, "회전하는 세계 속의 엘리엇" 14 (14): 2004

      2 신양숙, "황무지의 생태학적 비젼 ; 문화교육의 녹화사업 모색" 14 (14): 2004

      3 최희섭, "황무지의 불의 설교의 불교적 고찰 ; 2001-2 ; 2001-2 ; 2001-2 ; 1993 ; 2001-2 ; 2001-1 ; 엘리엇의 “전통”의 불교적 고찰 ; 엘리엇의 전통의 형성과 발전" 12 (12): 2002

      4 양병현, "포스트모던 T. S. 엘리엇" 4 : 1996

      5 구자광, "천둥이 말한 것: 황무지의 윤리적 읽기;T. S. 엘리엇은 왜 인도의 종교와 철학을 수용할 수 없었는가?" 14 (14): 2004

      6 최희섭, "원로 정치가 에서 클레버튼 경의 자아의 탐구 ; T. S. 엘리엇과 불교 - 엘리엇 연구의 대전환을 위한 방법론 서설 ; T. S. 엘리엇의 추방 (자) 의 시와 니르바나의 시학 : 불교적 엘리엇 읽기를 위한 서론 ; T. S. 엘리엇의 원로 정치가에서의 죄와 구원 : 베르그송의 영향과 한계 ;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순교 : 대성당에서의 살인 읽기 ; T. S. 엘리엇의 칵테일 파티와 불교사상 ; T. S. 엘리엇의 비서와 불교사상 ; 엘리엇 시극에 비친 미스터리 ; The Waste Land 의 인도사상적 접근" 10 : 2001

      7 배숙자, "엘리엇의 회의주의적 관점과 네 개의 사중주" 서울: 한신문화사 5 : 1997

      8 여인천, "엘리엇의 인생과정과 작품의 관계 ; 객관 상관물의 두 가지 해석 : 신비평과 해체비평" 13 (13): 2003

      9 노저용, "엘리엇의 악마적 천사" 14 (14): 2004

      10 김신표, "엘리엇의 시에 나타난 정점의 개념과 그 구현 ; Bradley 철학의 관점에서 본 Four Quartets ; T. S. 엘리엇과 불교 - 엘리엇 연구의 대전환을 위한 방법론 서설 ; 엘리엇의 The 정점와 만달라" 14 (14): 2004

      11 정형철, "엘리엇의 비개성 시론 : 지성사적 맥락과 사회적 조건 ; 엘리엇의 후기 비평과 종교 ; T. S. 엘리엇의 정치사상 ; T. S. 엘리엇과 불교 - 엘리엇 연구의 대전환을 위한 방법론 서설 ; T. S. 엘리엇과 낭만주의 ; T. S. 엘리엇과 유교 ; 안개 , 고양이 , 그리고 인어들 : 엘리엇의 J. A. 프루프록의 사랑 노래 에 대한 포스트 - 구조주의적 접근" 4 : 1996

      12 김병옥, "엘리엇과 니체: 개성배제론의 탄생 ; 엘리엇의 시관 ; 니체의 역사" 15 (15): 2005

      13 김구슬, "엘리엇 시의 다성적 목소리: 여인의 초상을 중심으로 ; 엘리엇과 베르그송 : 바람부는 밤의 광상시의 베르그송적 해석" 15 (15): 2005

      14 전종봉, "신애요가 사상과 네 사중주 ; 번트 노튼과 이스트 코우커에 나타난 엘리엇의 시간관" 15 (15): 2005

      15 김신표, "신비주의와 엘리엇의 비평문 ; Burnt Norton 해석" 13 (13): 2003

      16 이만식, "시간의 공간화와 공간의 시간화 - T. S. 엘리엇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 쟈크 데리다의 문학이론" 12 (12): 2002

      17 김원중, "생태 묵시록으로서의 엘리엇의 황무지 ; 엘리엇의 사회, 문화, 성서 고찰 ; 시체, 유골, 그리고 죽은 시인들: 황무지에 나타난 정화 의식으로서의 시쓰기" 서울: 영국문화원 11 : 2001

      18 신기철, "새 우리말 큰사전" 서울: 삼성출판사 1980

      19 노저용, "비비언 엘리엇의 비극적 삶" 12 (12): 2002

      20 박경일, "독존 (獨尊)과 상생 (相生)의 비전 - T. S. 엘리엇의 전통론 다시 읽기 (1) ; 해체철학의 선구들: 노자로부터 엘리엇, 데리다까지" 2000

      21 김명옥, "니르바나의 시학 : 회전하는 세계의 정지점 탐구" 12 (12): 2002

      22 서광원, "네 사중주에 구체화된 부정의 원리 ; 제라드 맨리 홉킨스의 그리스도 시학―이냐시오 영성 수련의 측면에서" 14 (14): 2004

      23 양재용, "네 사중주 의 시간과 기억 : 베르그송의 영향과 영원한 현재와의 관계 ; Four Quartets 와 태장계 만달라에 육화된 자비와 신앙 ; T. S. 엘리엇의 탈구조주의 ; 역으로 본 역신학 ; 베르그송의 사간관과 생명의 드라마" 6 : 1998

      24 양재용, "네 사중주 (Four Quartets) 와 동양의 성인 (聖人) : 바가바드 기타 (The Bhagavad Gita) 와 노자 (老子)를 중심으로 ; T. S. 엘리엇과 불교 - 엘리엇 연구의 대전환을 위한 방법론 서설 ; Four Quartets 와 태장계 만달라에 육화된 자비와 신앙 ; The Waste Land 의 인도사상적 접근 ; 불교와 데리다의 연기(緣起/延期)와 시간관" 2000

      25 "http://www.soeliot.or.kr"

      26 "http://www.soeliot.or.kr"

      27 "http://www.soeliot.or.kr"

      28 "http://www.ellak.or.kr/"

      29 김병옥, "The Early T. S. Eliot and Western Philosophy" 11 : 2001

      30 심명호, "Ted Hughes, A Dancer to God : Tributes to T. S. Eliot" 2 : 1995

      31 양재용, "T. S. 엘리엇의 원로 정치가 에서의 죄와 구원 : 베르그송의 영향과 한계 ; T. S. 엘리엇의 시극과 구원의 길 : 칵테일 파티를 중심으로 ; Four Quartets 와 태장계 만달라에 육화된 자비와 신앙 ; T. S. Eliot의 시와 시극에 나타난 궁극적 관심" 7 : 1999

      32 김양수, "T. S. 엘리엇의 시극과 구원의 길 : 칵테일 파티를 중심으로 ; T. S. Eliot의 시와 시극에 나타난 궁극적 관심" 6 : 1998

      33 양병현, "T. S. 엘리엇의 사유체계는 중심적인가 탈중심적인가 ? - 체험의 미학인 심미 비평을 중심으로 ; 안개 고양이 그리고 언어들: 엘리엇의 J.A. 프루프록의 사랑노래에 대한 포스트-구조주의적 접근" 2 : 1995

      34 정갑동, "T. S. 엘리엇의 비서 와 불교사상 ; T. S. Eliot의 The Still Point와 만다라" 7 : 1999

      35 박경일, "T. S. 엘리엇의 비개성주의와 포스트모던 이론들 ; Four Quartets 와 태장계 만달라에 육화된 자비와 신앙" 6 : 1998

      36 정갑동, "T. S. 엘리엇의 칵테일 파티 와 불교사상 ; T. S. Eliot의 The Still Point와 만다라" 6 : 1998

      37 박경일, "T. S. 엘리엇의 추방 (자) 의 시 와 니르바나의 시학 : 불교적 엘리엇 읽기를 위한 서론 ; 전통과 자기 추방: 엘리엇의 문화적 위상에 대한 서설" 5 : 1997

      38 양병현, "T. S. 엘리엇과 쟈크 데리다 : 기호학적 해체와 정치 이데올로기 ; T. S. 엘리엇의 사유체계는 중심적인가 탈중심적인가 ? - 체험의 미학인 심미 비평을 중심으로 ;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이론의 해석학적 기반에 대해서" 6 : 1998

      39 정정호, "T. S. 엘리엇과 21 세기 문학비평 : 엘리엇의 초기 비평 다시 읽기 ; T. S. 엘리엇의 비개성주의와 포스트모던 이론들" 2000

      40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창간호" 1993

      41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2-3호 합본" 1995

      42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15 (15): 2005

      43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15 (15): 2005

      44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14 (14): 2004

      45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14 (14): 2004

      46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13 (13): 2003

      47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13 (13): 2003

      48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12 (12): 2002

      49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11) : 2001

      50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10) : 2001

      51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9) : 2000

      52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8) : 2000

      53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7) : 1999

      54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6) : 1998

      55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5) : 1997

      56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4) : 1996

      57 한국 T. S. 엘리엇 학회, "T. S. 엘리엇 연구" 12 (12): 2002

      58 이명용, "T. S. 엘리엇 시의 해체론적 접근 : 재창조를 위한 해체 ; 구도자로서의 프루프록" 7 : 1999

      59 노저용, "T. S. 엘리엇 새로 읽기" 12 (12): 2002

      60 노저용, "T. S. Eliot`s Inventions of the March Hare : Poems 1909 - 1917 Edited by Christopher Ricks" 5 : 1997

      61 봉준수, "T. S. Eliot`s Commentaries in The Criterion (1922-1939) 와 T. S. Eliot`s Publications in The Criterion (1922-1939)" 2 : 1995

      62 이정호, "T. S. Eliot and Mysticism : The Secret History of Four Quartets" 1993

      63 황소부, "T. S. Eliot and Indic Tradition : A Study in Poetry and Belief" 1993

      64 노저용, "T. S. Eliot and Dante" 1993

      65 이영걸, "T. S. Eliot : His Art and Faith" 1993

      66 신성철, "Gerontion에 관한 종교적 이해 ; T. S. 엘리엇의 초기시에 있어서 시적 의미 전달문제에 대한 재평가: “Prufrock”과 The Waste Land를 중심으로" 1993

      67 이명섭, "Four Quartets 와 태장계 만달라에 육화된 자비와 신앙 ; T. S. Eliot의 The Still Point와 만다라" 1993

      68 김구슬, "Bradley 철학의 인식과 경험" 5 : 1997

      69 이정호, "Anthony Julius, T. S. Eliot , Anti - Semitism , and Literary Form" 4 :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2 0.12 0.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1 0.36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