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서도패총 출토 신석기시대토기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Neolithic Earthenwares Excavated from the Yoseodo Shell Mou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903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여서도패총에서 출토한 신석기시대 토기는 크게 융기문토기와 영선동식토기로 나뉘는데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토기 편년을 보면 융기문토기는 조기, 영선동식토기는 전기로 편년되는데 이들이 동일 층에서 공반하여 출토되는 것이다. 즉 여서도패총에서 출토된 토기의 구순각목문토기의 비율, 구순부의 형태와 저부, AMS연대를 통하여 보았을 때 패총의 중심 시기는 신석기시대전기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여서도패총에서 출토한 융기문토기는 영선동식토기의 성립과 함께 전기까지는 공존한 사례를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는 문화가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 연결되어 간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여서도패총에서는 융기문토기에서 영선동식토기로의 변화과정에 대한 새로운 자료와 남해안지역과 제주도지역과의 문화교류루트 규명에 대한 직접적인 자료 및 제주도지역 영선동식토기의 개시를 알 수 있는 간접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의 연구과제로는 융기문토기와 영선동식토기의 공존현상이 여서도패총에 국한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유적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여서도패총에서 출토한 신석기시대 토기는 크게 융기문토기와 영선동식토기로 나뉘는데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토기 편년을 보면 융기문토기는 조기, 영...

      여서도패총에서 출토한 신석기시대 토기는 크게 융기문토기와 영선동식토기로 나뉘는데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토기 편년을 보면 융기문토기는 조기, 영선동식토기는 전기로 편년되는데 이들이 동일 층에서 공반하여 출토되는 것이다. 즉 여서도패총에서 출토된 토기의 구순각목문토기의 비율, 구순부의 형태와 저부, AMS연대를 통하여 보았을 때 패총의 중심 시기는 신석기시대전기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여서도패총에서 출토한 융기문토기는 영선동식토기의 성립과 함께 전기까지는 공존한 사례를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는 문화가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 연결되어 간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여서도패총에서는 융기문토기에서 영선동식토기로의 변화과정에 대한 새로운 자료와 남해안지역과 제주도지역과의 문화교류루트 규명에 대한 직접적인 자료 및 제주도지역 영선동식토기의 개시를 알 수 있는 간접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의 연구과제로는 융기문토기와 영선동식토기의 공존현상이 여서도패총에 국한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유적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changing process of settlements in the Neolithic period of Korea according to periods and regions after examining spatial arrangement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remain structure focusing on the shape of distribution at that period. I selected 16 remains of settlement in order to certify the structure between the spatial arrangement structure and the position and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e remains. The general area of this study will be restricted to the cast and west coast. southern and central part in South Korea.
      Research data analyzed that residence and producing spaces were constructed separately in settlements in the Neolithic period in general. The separated arrangements of producing spaces for earthenware that has significant risk of conflagrations were noticeable although the differences of the period and region showed on the common remains. Moreover, it is estimated that small scale settlement places existed with those of large scales in the former period through the process of settlements. With spreading the culture of the Neolithic period from coast region to inland region. the shape of large scale settlement were accepted generally in the middle period. There are, however. dissimilarities in scales and formations of spatial structures and individual residential structures of settlement according to regions. and a few small scale residences and dependant residential structures existed. Even though there were some large settlement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he scale of settlements seemed to be reduced gradua lly in the latter period.
      번역하기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changing process of settlements in the Neolithic period of Korea according to periods and regions after examining spatial arrangement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remain structure focu...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changing process of settlements in the Neolithic period of Korea according to periods and regions after examining spatial arrangement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remain structure focusing on the shape of distribution at that period. I selected 16 remains of settlement in order to certify the structure between the spatial arrangement structure and the position and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e remains. The general area of this study will be restricted to the cast and west coast. southern and central part in South Korea.
      Research data analyzed that residence and producing spaces were constructed separately in settlements in the Neolithic period in general. The separated arrangements of producing spaces for earthenware that has significant risk of conflagrations were noticeable although the differences of the period and region showed on the common remains. Moreover, it is estimated that small scale settlement places existed with those of large scales in the former period through the process of settlements. With spreading the culture of the Neolithic period from coast region to inland region. the shape of large scale settlement were accepted generally in the middle period. There are, however. dissimilarities in scales and formations of spatial structures and individual residential structures of settlement according to regions. and a few small scale residences and dependant residential structures existed. Even though there were some large settlement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he scale of settlements seemed to be reduced gradua lly in the latter peri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머리말
      • Ⅱ. 유적의 위치와 층위
      • Ⅲ. 여서도패총의 연대
      • Ⅳ. 맺음말
      • 요약
      • Ⅰ. 머리말
      • Ⅱ. 유적의 위치와 층위
      • Ⅲ. 여서도패총의 연대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