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체간 조절이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runk Control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체간 조절이 상지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87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체간 조절 평가는 체간 조절 검사(Trunk Control Test...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체간 조절이 상지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87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체간 조절 평가는 체간 조절 검사(Trunk Control Test, TCT),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체간 조절(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Trunk Control, PASS-TC), 수정된 체간 장애 척도(modified Trunk Impairment Scale, mTIS)를 상지 기능 평가는 Wolf 운동 기능 검사(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퓨글 마이어 상지 검사(Fugl Meyer Assessment-Upper/Extremity, FM-U/E)를 이용하였다. 체간 조절이 상지 기능 수행에 미치는 요인 분석과 상지 기능 구분( FM-U/E: 만점 66점, 51∼65점: 경미한 장애/ FM-U/E=0∼50점: 중증 또는 경증 장애)을 위한 체간 조절 평가의 변별력은 수용자 작업 특성곡선을 이용하여 선별 기준값과 우도비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 체간조절이 상지 기능에 미치는 요인 분석에서 mTIS-동적 항목(체간 외측 굴곡)과 협응(체간 회전)이 (설명력 37%) WMFT에 영향을 주었고, mTIS-동적 항목(42%)이 FM-U/E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지 기능 수행 예측을 위한 최적의 선별 기준값은 mTIS-협응 >2.5점, mTIS-총점은 >7.5점이었다. mTIS-총점이 상지 기능 수행(FM-U/E: 51∼65점)을 예측할 수 있는 변수로 mTIS 총점이 >7.5점인 경우 ≤7.5점인 환자들에 비해 0.16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환자들은 여전히 체간 조절 결핍과 상지 기능에 장애가 보인다. 따라서 체간 조절은 상지 기능 회복과 유의한 관련이 있으므로 체간 조절의 외측 굴곡과 회전 훈련은 강조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unk control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evaluation of trunk control in 87 stroke patients was conducted using trunk control test(TCT),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unk control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evaluation of trunk control in 87 stroke patients was conducted using trunk control test(TCT),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trunk control(PASS-TC), modified trunk impairment scale(mTIS), and the evaluation of upper extremity function was conducted using Wolf Motor Function Test(WMFT) and Fugl-Meyer Upper Extremity(FM-U/E). This study calculated the selection criteria value and the likelihood ratio using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 to analyze the factors by which trunk control affects the performance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identify the discriminant power of trunk control evaluation for upper extremity functional classification [FM-U/E (66 points in full scale) = 51-65 points (minor disability) / FM-U/E = 0-50 points (severe or mild dis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by which trunk control affects upper extremity function, it turned out that mTIS-dynamic items (lateral trunk bending) and coordination (trunk rotation) affected the WMFT (explanatory power of 37%) and that mTIS-dynamic items (42%) affected FM-U/E. The optimal selection criteria value for the prediction of upper extremity functional performance were mTIS - coordination > 2.5 points and mTIS - total score > 7.5 points. t turned out that the patients with mTIS total score > 7.5 points was 0.161 times higher than the patients with ≤7.5 points in mTIS - total score, which is a predictor of upper extremity functional performance (FM-U/E: 51-65 points). Stroke patients are still deficient in trunk control and they have an impaire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conclusion, trunk control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upper extremity function recovery, and thus, lateral trunk bending and rotation training should be emphasiz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