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인 초기 청년들의 그릿과 정신적 안녕감: 진로소명과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Mental Well-Being Among Young Adults: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alling and Job-Seeking S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33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grit on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well-being indicators that form “mental well-being”) and examined whether career calling and job-seeking stress mediate these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were 339 currently unemployed young adults(mean age=22.6, SD=2.7). Grit directly predicted young adults’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In addition, career calling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except that of grit and emotional well-being. Job-seeking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the three types of well-being. These results showed that not only does young adults’ grit promote various states of well-being by strengthening career calling but also by alleviating job-seeking stress. We further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grit for young adults who face various uncertainties and instabilities and its role in career development and the maintenance of well-being.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grit on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well-being indicators that form “mental well-being”) and examined whether career calling and job-seeking stress mediate these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grit on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well-being indicators that form “mental well-being”) and examined whether career calling and job-seeking stress mediate these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were 339 currently unemployed young adults(mean age=22.6, SD=2.7). Grit directly predicted young adults’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In addition, career calling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except that of grit and emotional well-being. Job-seeking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the three types of well-being. These results showed that not only does young adults’ grit promote various states of well-being by strengthening career calling but also by alleviating job-seeking stress. We further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grit for young adults who face various uncertainties and instabilities and its role in career development and the maintenance of well-be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그릿이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각각의 관계에서 진로소명과 취업스트레스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미취업 성인 초기 청년 3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대상에 적합하고 성실하게 응답한 339명(남 155명, 여 184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그릿은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진로소명은 그릿과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의 관계를, 취업스트레스는 그릿과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 초기 발달단계에 놓인 청년들에게 미래지향적인 목표의 설정과 이를 달성하고자 끈기 있게 노력하는 그릿이 이들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그 과정에서 진로결정 과업을 좀 더 건강하고 적응적으로 성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주체적으로 자신의 미래 목표를 설정하며 미래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성인 초기 청년들에게 그릿의 발달과 고취의 필요성이 시사되며, 본 연구를 통해 이를 위한 실증적인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그릿이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각각의 관계에서 진로소명과 취업스트레스가 매개변인으로 작...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그릿이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각각의 관계에서 진로소명과 취업스트레스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미취업 성인 초기 청년 3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대상에 적합하고 성실하게 응답한 339명(남 155명, 여 184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그릿은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진로소명은 그릿과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의 관계를, 취업스트레스는 그릿과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 초기 발달단계에 놓인 청년들에게 미래지향적인 목표의 설정과 이를 달성하고자 끈기 있게 노력하는 그릿이 이들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그 과정에서 진로결정 과업을 좀 더 건강하고 적응적으로 성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주체적으로 자신의 미래 목표를 설정하며 미래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성인 초기 청년들에게 그릿의 발달과 고취의 필요성이 시사되며, 본 연구를 통해 이를 위한 실증적인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수현, "호텔 직원의 직업소명의식과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열의 및 직무성과의 구조적 영향관계"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7 (27): 103-122, 2018

      2 김정은, "한국형 그릿(Grit) 특성에 대한 고찰: 높은 그릿집단의 다차원적 유형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4 (24): 131-151, 2018

      3 심예린, "한국판 소명 척도(CVQ-K)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847-872, 2012

      4 하유진, "한국판 다차원적 소명척도(MCM-K)의 타당화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7 (27): 191-220, 2014

      5 임세헌, "학생들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 학년에 따른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193-199, 2013

      6 이정림,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45-264, 2016

      7 이형순, "취업 스트레스와 자아 존중감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553-562, 2018

      8 이미희, "초등교사의 소명의식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초등교육연구원 28 (28): 215-229, 2017

      9 김석일,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및 진로준비행동" 한국사회체육학회 (71) : 295-307, 2018

      10 정우희, "진로소명이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4 (24): 445-472, 2017

      1 박수현, "호텔 직원의 직업소명의식과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열의 및 직무성과의 구조적 영향관계"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7 (27): 103-122, 2018

      2 김정은, "한국형 그릿(Grit) 특성에 대한 고찰: 높은 그릿집단의 다차원적 유형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4 (24): 131-151, 2018

      3 심예린, "한국판 소명 척도(CVQ-K)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847-872, 2012

      4 하유진, "한국판 다차원적 소명척도(MCM-K)의 타당화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7 (27): 191-220, 2014

      5 임세헌, "학생들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 학년에 따른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193-199, 2013

      6 이정림,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45-264, 2016

      7 이형순, "취업 스트레스와 자아 존중감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553-562, 2018

      8 이미희, "초등교사의 소명의식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초등교육연구원 28 (28): 215-229, 2017

      9 김석일,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및 진로준비행동" 한국사회체육학회 (71) : 295-307, 2018

      10 정우희, "진로소명이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4 (24): 445-472, 2017

      11 이선영, "직장인의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열정적 끈기(그릿)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2 김유민,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그릿(Grit)과 기본심리욕구 만족도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18

      13 이정은, "정신적 웰빙이 노인의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 K-MHC-SF의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지역사회학회 19 (19): 195-219, 2018

      14 임영진, "정신적 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369-386, 2012

      15 한주원, "전문대학 비서학전공 대학생의 그릿(Grit)과 회복탄력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서학회 27 (27): 5-27, 2018

      16 조경서,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의 정서적 안녕감 척도개발 및 요인구조 확인" 국립특수교육원 26 (26): 69-86, 2019

      17 강명희,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Grit),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간의 관계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109-129, 2016

      18 박진홍,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7 (17): 105-126, 2018

      19 이혜원,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군집유형에 따른 성격 5요인과 자기효능감의 차이"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249-268, 2017

      20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신입사원의 소명의식과 직장 적응" KRIVET 2015

      21 김정호,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하는동기 및 인지" 학교생활연구소 16 : 1-26, 2000

      22 정은선,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낙관성, 일희망, 부모양육태도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205-214, 2015

      23 서희연, "소명의식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 8 : 430-430, 2018

      24 권대훈, "성장 마인드셋, 미래시간조망, 그릿과 지연의 관계" 교육연구소 19 (19): 725-744, 2018

      25 장휘숙, "성인초기의 발달과업과 행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2 (22): 19-36, 2009

      26 김영빈, "성인여성학습자의 진로장벽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03-822, 2018

      27 노경미, "사회적 기업 종사원의 소명의식과 직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8 (18): 27-36, 2018

      28 이미선,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검증" 경기개발연구원 19 (19): 159-182, 2017

      29 함성수, "사관생도의 소명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95-713, 2018

      30 신여울, "보육교사의 그릿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9 (39): 15-26, 2018

      31 이수란, "무엇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과 투지(Grit)"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349-366, 2013

      32 김성경,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0 (10): 215-237, 2003

      33 최진오,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증상의 다중매개효과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5 (15): 65-73, 2017

      34 한금상,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20 (20): 235-251, 2015

      35 김종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313-1334, 2016

      36 김미영,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희망을 통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4 (24): 29-51, 2017

      37 백은주,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49-469, 2017

      38 조혜정,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157-184, 2013

      39 이가영,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KNU 기업경영연구소 6 (6): 197-209, 2015

      40 전해옥,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성인애착, 자기표현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12-323, 2014

      41 심지은,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2 (32): 103-118, 2011

      42 윤영란, "대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분석 연구" 교육연구소 13 (13): 123-168, 2007

      43 박미경, "대학생의 진로소명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7 (17): 207-225, 2016

      44 신지민, "대학생의 진로소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원 54 (54): 169-194, 2015

      45 윤명숙, "대학생의 우울, 취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문제음주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09-137, 2012

      46 박인주,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래지향목표의 매개효과" 관광경영학회 22 (22): 425-445, 2018

      47 강문선,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조화․강박열정과 그릿(Grit)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32 (32): 79-101, 2019

      48 정은선, "대학생의 낙관성, 비관성,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 및 삶의 의미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4 (24): 27-49, 2017

      49 고영희, "대학 고학년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73-83, 2018

      50 신명용, "뇌교육 기반 인성프로그램이그릿에 미치는 영향-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21 : 7-37, 2018

      51 류영주, "내재적∙친사회적 동기와 삶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30 (30): 93-115, 2017

      52 고영남, "남녀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안암교육학회 20 (20): 97-120, 2014

      53 임효진, "그릿, 내-외재가치, 수업참여, 인지조절과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교육종합연구원 27 (27): 235-256, 2018

      54 임효진, "그릿(Grit)의 요인구조 및 초등학생과 대학생 집단에서 나타나는 잠재평균의 차이" 한국교육학회 55 (55): 87-113, 2017

      55 정현, "그릿(Grit)과 직무개선(Job Crafting)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1 (21): 31-51, 2018

      56 김수영,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학지사 2016

      57 통계청, "고용보조지표(청년층, 15~29세) 경제활동 인구조사"

      58 윤성혜,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직업교육학회 36 (36): 47-66, 2017

      59 최효선, "고등학생의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31 (31): 105-123, 2018

      60 권대훈, "고등학교 교사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그릿(grit), 스트레스, 삶의 만족 간의 관계" 교육연구원 34 (34): 209-228, 2018

      61 전겸구,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5 (5): 316-335, 2000

      62 김주엽,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 재검토 -" 경영연구소 41 (41): 171-186, 2004

      63 류현숙,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그릿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 (13): 261-269, 2019

      64 Cantor, N., "Well-being: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Russell Sage Foundation 230-243, 2003

      65 Von Culin, K. R., "Unpacking grit : Motivational correlates of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9 (9): 306-312, 2014

      66 Robertson-Kraft, C., "True grit : Trait-level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predicts effectiveness and retention among novice teachers" 116 (116): 1-27, 2014

      67 Salles, A.,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resident well-being" 207 (207): 251-254, 2014

      68 Hillygus, D. S., "The nitty gritty: The unexplored role of grit and perseverance in voter turnout"

      69 Lauren Eskreis-Winkler, "The grit effect: predicting retention in the military, the workplace, school and marriage" Frontiers Media SA 5 : 36-, 2014

      70 Borghans, L., "The economics and psychology of personality traits" 43 (43): 972-1059, 2008

      71 Holbein, J., "The development of students’ engagement in school, community and democracy" 2018

      72 황명주, "The Effect of Job Search Stress of College Students on Suicide Ideation: Mediating Effect of Adjustment to College" 사회복지연구소 58 : 73-100, 2018

      73 Joshanloo, M., "The Big Five personality domains as predictors of social wellbeing in Iranian university students" 29 (29): 639-660, 2012

      74 Schulenberg, J. E., "Taking hold of some kind of life : How developmental tasks relate to trajectories of well-being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16 : 1119-1140, 2004

      75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95 : 542-575, 1984

      76 Wang, J.,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lications using Mplus" John Wiley & Sons 2012

      77 Keyes, C. L. M., "Social well-being" 61 (61): 121-140, 1998

      78 Duffy, R. D., "Research on calling: What have we learned and where are we going?" 83 (83): 428-436, 2013

      79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lications 2015

      80 Singh, K.,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grit as predictors of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34 (34): 40-45, 2008

      81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57): 1069-1081, 1989

      82 Duckworth, A. L.,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Scribner 2016

      83 Jin, B., "Grit, basic needs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38 (38): 29-35, 2017

      84 Jesus Alfonso D. Datu, "Grit is Associated with Lower Depression via Meaning in Life among Filipino High School Students" SAGE Publications 51 (51): 865-876, 2017

      85 Vainio, M. M., "Grit and different aspects of well-being :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via sense of coherence and authenticity" 17 (17): 2119-2147, 2016

      86 Duckworth, A. L., "Grit :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92 (92): 1087-1101, 2007

      87 Keyes, C. L.,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MHC–SF)in setswana speaking South Africans" 15 (15): 181-192, 2008

      88 Dobrow, S. R., "Dynamics of calling : A longitudinal study of musicians" 34 (34): 431-452, 2013

      89 Bollen, K. A., "Direct and indirect effects: Classical and bootstrap estimates of variability" 115-140, 1990

      90 Havighurst, R. J.,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McKay 1948

      91 Dik, B. J., "Development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 2008

      92 Hu, L. T.,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93 Bentler, P. M.,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107 (107): 238-246, 1990

      94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W. W. Norton 1963

      95 Fleeson, W., "Character : The prospects for a personality based perspective on morality" 8 (8): 178-191, 2014

      96 Savickas, M. L.,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ssey-Bass 149-205, 2002

      97 Torrey, C. L., "Calling and well-being among adults : Differential relations by employment status" 20 (20): 415-425, 2012

      98 Dik, B. J.,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 Definitions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practice" 37 (37): 424-450, 2009

      99 Duffy, R. D.,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vestigating mediators and moderators" 13 (13): 469-479, 2012

      100 Russell, D. W.,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45 (45): 18-29, 1998

      101 Browne, M. W.,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154 : 136-136, 1993

      102 교육부, "2017년 대학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 발표" 교육부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5 2.085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