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모바일 메신저의 이모티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 국내, 해외 대표 앱(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왓츠앱)을 중심으로 - =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moticons used in Mobile Messengers - Mainly on Korean and Foreign Mobile Messenger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616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와 같은 문자 소통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고 감정을 표현하고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모티콘의 구성, 표현 방법을 살펴보고 감성 기호로서 이모티콘의 활용 가능성과 전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외 대표적인 모바일 메신저인 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왓츠앱 등 네 가지를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모티콘의 신속한 활용을 위해 유사 유형별로 일관성있게 구성하는 배치 전략 측면에서 보면 국내 메신저들보다 해외 메신저들이 더 우수하다고 할 수 있고 특히 페이스북은 단순화, 최소화의 전략에 따라 이모티콘 활용의 효과성을 높이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디자인과 UI측면에서는 네이버 라인은 조형적 측면에서 서로 유사한 이모티콘 그림을 사용한 타사와 달리 캐릭터화한 만화적 표현 방식으로 친밀감을 더해 차별화한 점이 돋보인다. 또한 라인은 UI관점에서도 이미 사용한 이모티콘 모아보기 등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점도 특징적이다.

      감성 전달 도구라는 이모티콘의 본래적 활용 목적을 고려한 이모티콘의 효과성은 카테고리, 용도, 기호 유형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페이스북이 가장 강점이 높고 카카오톡이 가장 약점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결론적으로, 모바일 메신저의 이모티콘의 구성과 표현은 신속성(활용성), 유용성, 심미성, 유희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와 같은 문자 소통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고 감정을 표현하고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모티콘의 구성, 표현 방법을 살펴보고 감성 기호로서 이모티콘의 활용 가능...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와 같은 문자 소통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고 감정을 표현하고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모티콘의 구성, 표현 방법을 살펴보고 감성 기호로서 이모티콘의 활용 가능성과 전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외 대표적인 모바일 메신저인 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왓츠앱 등 네 가지를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모티콘의 신속한 활용을 위해 유사 유형별로 일관성있게 구성하는 배치 전략 측면에서 보면 국내 메신저들보다 해외 메신저들이 더 우수하다고 할 수 있고 특히 페이스북은 단순화, 최소화의 전략에 따라 이모티콘 활용의 효과성을 높이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디자인과 UI측면에서는 네이버 라인은 조형적 측면에서 서로 유사한 이모티콘 그림을 사용한 타사와 달리 캐릭터화한 만화적 표현 방식으로 친밀감을 더해 차별화한 점이 돋보인다. 또한 라인은 UI관점에서도 이미 사용한 이모티콘 모아보기 등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점도 특징적이다.

      감성 전달 도구라는 이모티콘의 본래적 활용 목적을 고려한 이모티콘의 효과성은 카테고리, 용도, 기호 유형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페이스북이 가장 강점이 높고 카카오톡이 가장 약점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결론적으로, 모바일 메신저의 이모티콘의 구성과 표현은 신속성(활용성), 유용성, 심미성, 유희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태, "인터페이스 환경에서의 이모티콘 디자인에 관한연구- 플래시콘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7 (7): 33-42, 2007

      2 박현구, "인터넷 환경에서 비언어적 공손 전략으로서 도상문자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48 (48): 142-165, 2004

      3 노승관,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이모티콘 시각 표현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영상학회 7 (7): 123-147, 2010

      4 김승연, "이모티콘(Emoticon)의 표현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8 : 1-25, 2012

      5 박지혜, "스마트폰의 아이콘 디자인의 표현 경향 분석" 9 (9): 2011

      6 김선진, "스마트폰 앱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아이폰 한국, 미국 앱 아이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3 (13): 215-224, 2013

      7 황하성, "문자메시지의 이모티콘 활용에 대한 관한 연구: 이용동기와 사회적 현존감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9) : 133-162, 2008

      8 안원미, "메시지 해석에 이모티콘이 미치는 정서적 효과 -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5 (5): 11-18, 2010

      9 이혜수, "로제카이와의 놀이이론 관점에서 본 시각놀이로서 이모티콘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3 (13): 211-218, 2010

      10 이경아,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이모티콘의 활용과 새 이모티콘 개발 가능성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6 (6): 305-316, 2005

      1 조성태, "인터페이스 환경에서의 이모티콘 디자인에 관한연구- 플래시콘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7 (7): 33-42, 2007

      2 박현구, "인터넷 환경에서 비언어적 공손 전략으로서 도상문자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48 (48): 142-165, 2004

      3 노승관,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이모티콘 시각 표현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영상학회 7 (7): 123-147, 2010

      4 김승연, "이모티콘(Emoticon)의 표현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8 : 1-25, 2012

      5 박지혜, "스마트폰의 아이콘 디자인의 표현 경향 분석" 9 (9): 2011

      6 김선진, "스마트폰 앱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아이폰 한국, 미국 앱 아이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3 (13): 215-224, 2013

      7 황하성, "문자메시지의 이모티콘 활용에 대한 관한 연구: 이용동기와 사회적 현존감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9) : 133-162, 2008

      8 안원미, "메시지 해석에 이모티콘이 미치는 정서적 효과 -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5 (5): 11-18, 2010

      9 이혜수, "로제카이와의 놀이이론 관점에서 본 시각놀이로서 이모티콘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3 (13): 211-218, 2010

      10 이경아,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이모티콘의 활용과 새 이모티콘 개발 가능성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6 (6): 305-316, 2005

      11 차윤수, "동·서양 이모티콘의 차이점 연구 - 문화적 성향과 정서를 중심으로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5 (15): 227-238, 2012

      12 Fischer, A. H., "The regulation of emo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4

      13 Kim-Mai Cutler, "The Reality Of The Global Messaging App Market, Techcrunch.com"

      14 이영미, "SNS 모바일 메신저 융합형 이모티콘의 디자인 분석 -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8) : 93-102, 2013

      15 방송통신위원회/한국인터넷진흥원, "2012년 하반기 스마트폰 이용실태조사"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81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