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의 '역통합학교' 사례를 통한 한국의 완전통합교육의 발전방안에 대한 모색 = Searching for ways to develop Full-inclusio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99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to follow the trend of an era when the paradigm of special education is shifted to full-inclusio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committed to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Disabled. Korea, as a party to the agreement, has practiced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past 10 years, and the ratio of integrated school exceeds 70 percent. However, the placement rate of special classes is 53% and that of integrated classes is only 17.5%. Disabled students are still separated into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and even if integrated into general classes, they are discriminated against and neglected, and often become victims of school violence.
      Korean government, as a member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Disabled, will continue to establish special schools to implement education policies aimed at implementing full-inclusion. Therefore, this research introduces Germany's ultimate full-inclusion, which can be a role model for Korea conflicting before the paradigm of full-inclusion.
      It may be difficult to take Germany as a role model if its integrated school ratio is evaluated only quantitatively. However, if we pay attention to the achievements and posture that Germany has shown in terms of the quality of the special education, and look at how it is making efforts to develop the integrated education quality, we can get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ultimate full-inclusion by analyzing specific cases of reverse-inclusion schools.

      1. Germany, which has a low ratio of integrated school, can be a role model for Korea's ultimate full-inclusion.
      2. Germany can also be a role model for issues on integrated education before and after school age.
      3. Education support is needed for learning disabilities (poor learning and borderline intelligence) students caught between non-disabled and severely disabled.
      4. The Korean education system should be reformed.
      5. Efforts should be launched to realize ultimate full-inclusion.
      번역하기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to follow the trend of an era when the paradigm of special education is shifted to full-inclusio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committed to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to follow the trend of an era when the paradigm of special education is shifted to full-inclusio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committed to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Disabled. Korea, as a party to the agreement, has practiced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past 10 years, and the ratio of integrated school exceeds 70 percent. However, the placement rate of special classes is 53% and that of integrated classes is only 17.5%. Disabled students are still separated into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and even if integrated into general classes, they are discriminated against and neglected, and often become victims of school violence.
      Korean government, as a member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Disabled, will continue to establish special schools to implement education policies aimed at implementing full-inclusion. Therefore, this research introduces Germany's ultimate full-inclusion, which can be a role model for Korea conflicting before the paradigm of full-inclusion.
      It may be difficult to take Germany as a role model if its integrated school ratio is evaluated only quantitatively. However, if we pay attention to the achievements and posture that Germany has shown in terms of the quality of the special education, and look at how it is making efforts to develop the integrated education quality, we can get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ultimate full-inclusion by analyzing specific cases of reverse-inclusion schools.

      1. Germany, which has a low ratio of integrated school, can be a role model for Korea's ultimate full-inclusion.
      2. Germany can also be a role model for issues on integrated education before and after school age.
      3. Education support is needed for learning disabilities (poor learning and borderline intelligence) students caught between non-disabled and severely disabled.
      4. The Korean education system should be reformed.
      5. Efforts should be launched to realize ultimate full-inclu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교육의 패러다임이 완전통합교육으로 이동하고 있기에 한국의 완전통합교육의 실천을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려고 하였다. 국제사회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통해 통합교육을 약속하고 있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한국도 협약의 당사국으로서 지난 10년간 통합교육을 실천해야 했고 그 결과 통합교육비율은 70%를 넘는다. 그러나 특수학급 배치 율이 53%이고 통합학급 배치율은 겨우 17.5% 뿐이다. 여전히 장애학생은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분리되어 있고, 그나마 일반학급에 통합되어 있어도 차별 받고, 소외당하며 학교폭력의 피해자가 되기도 한다. 정부는 유엔장애인권리협약 당사국으로서 완전통합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교육정책을 펼쳐야 하는데, 계속 특수학교를 설립하겠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이 완전통합교육의 패러다임 앞에서 갈팡질팡 하는 모습에 롤모델이 될 수 있는 독일의 궁극적 완전통합교육을 소개하고자 한다. 통합교육비율을 양적으로만 평가하면 독일을 롤모델로 삼기 어렵지만, 독일이 그 동안 분리교육인 특수교육의 질적인 면에서 보여주었던 성과와 자세를 주목하고 그렇게 통합교육도 질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구체적인 역통합학교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궁극적 완전통합교육의 발전방안을 위한 제안을 하였다. 1. 독일은 한국의 궁극적 완전통합교육을 위해 롤모델이 될 수 있다. 2. 독일은 학령기 통합교육 이전과 이후의 문제를 위해서도 롤모델이 될 수 있다. 3. 독일처럼 비장애학생과 중증장애학생 사이에 낀 학습장애(학습부진과 경계선급 지능)학생의 교육지원이 필요하다. 4. 한국의 교육제도는 개혁되어야 한다. 5.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완전통합교육(Voll-Inklusion)의 실현을 위한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특수교육의 패러다임이 완전통합교육으로 이동하고 있기에 한국의 완전통합교육의 실천을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려고 하였다. 국제사회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통해 통합교...

      본 연구는 특수교육의 패러다임이 완전통합교육으로 이동하고 있기에 한국의 완전통합교육의 실천을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려고 하였다. 국제사회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통해 통합교육을 약속하고 있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한국도 협약의 당사국으로서 지난 10년간 통합교육을 실천해야 했고 그 결과 통합교육비율은 70%를 넘는다. 그러나 특수학급 배치 율이 53%이고 통합학급 배치율은 겨우 17.5% 뿐이다. 여전히 장애학생은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분리되어 있고, 그나마 일반학급에 통합되어 있어도 차별 받고, 소외당하며 학교폭력의 피해자가 되기도 한다. 정부는 유엔장애인권리협약 당사국으로서 완전통합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교육정책을 펼쳐야 하는데, 계속 특수학교를 설립하겠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이 완전통합교육의 패러다임 앞에서 갈팡질팡 하는 모습에 롤모델이 될 수 있는 독일의 궁극적 완전통합교육을 소개하고자 한다. 통합교육비율을 양적으로만 평가하면 독일을 롤모델로 삼기 어렵지만, 독일이 그 동안 분리교육인 특수교육의 질적인 면에서 보여주었던 성과와 자세를 주목하고 그렇게 통합교육도 질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구체적인 역통합학교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궁극적 완전통합교육의 발전방안을 위한 제안을 하였다. 1. 독일은 한국의 궁극적 완전통합교육을 위해 롤모델이 될 수 있다. 2. 독일은 학령기 통합교육 이전과 이후의 문제를 위해서도 롤모델이 될 수 있다. 3. 독일처럼 비장애학생과 중증장애학생 사이에 낀 학습장애(학습부진과 경계선급 지능)학생의 교육지원이 필요하다. 4. 한국의 교육제도는 개혁되어야 한다. 5.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완전통합교육(Voll-Inklusion)의 실현을 위한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하, "한국에서의 통합교육의 현상과 쟁점"

      2 민천식, "한국 통합교육의 현황과 해결과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49-69, 2013

      3 교육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18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2018

      4 교육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16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2016

      5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12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2012

      6 이주화, "통합교육의 발전 방안에 관한 소고 - 독일 통합교육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국립특수교육원 18 (18): 137-158, 2011

      7 정정련,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협력교수에 대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인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8 교육부, "초·중등학교 통합교육 실행 가이드북 I, 초·중등학교 공통" 2017

      9 교육부, "제5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18~`22)" 교육부 특수교육정책과 2018

      10 교육부, "제4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13~`17)" 교육부 특수교육정책과 2013

      1 김병하, "한국에서의 통합교육의 현상과 쟁점"

      2 민천식, "한국 통합교육의 현황과 해결과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49-69, 2013

      3 교육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18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2018

      4 교육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16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2016

      5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12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2012

      6 이주화, "통합교육의 발전 방안에 관한 소고 - 독일 통합교육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국립특수교육원 18 (18): 137-158, 2011

      7 정정련,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협력교수에 대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인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8 교육부, "초·중등학교 통합교육 실행 가이드북 I, 초·중등학교 공통" 2017

      9 교육부, "제5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18~`22)" 교육부 특수교육정책과 2018

      10 교육부, "제4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13~`17)" 교육부 특수교육정책과 2013

      11 박승희, "전국 중학교 특수학급 및 통합학급 수업의실제: 중학교 통합교육의 실상과 허상" 특수교육연구소 14 (14): 27-62, 2015

      12 국가법령정보센터,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13 박재국, "장애유아통합교육" 서현사 2005

      14 황정원, "우리나라의 특수교육 현황" 교육통계연구센터. 한국교육개발원 2016

      15 정용석, "완전통합교육: 한국학적 뿌리는 존재하는가" 1 (1): 231-234, 2000

      16 채희태, "독일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방안 분석과 한국에의 시사점 탐색"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37-60, 2007

      17 김기흥, "독일의 통합교육 현황과 운영사례를 통한 시사점"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221-255, 2012

      18 김성애, "독일의 통합교육" 4 (4): 145-155, 1997

      19 정기섭, "독일의 종합학교 현황과 시사점, 교육정책네트워크 세계교육정책 인포메이션" 한국교육개발원 2015

      20 채희태, "독일 특수교육체제에 따른 통합교육 의미 탐색: 미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51-274, 2006

      21 김명신, "대안교육 어제-오늘-내일" 문음사 2002

      22 김철, "교육인간학적 관점에서 본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논쟁" 한독교육학회 22 (22): 37-54, 2017

      23 교육인적자원부, "교원양성개선방안" 교육인적자원부 2007

      24 이한우,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18~`22) 계획 발표” 인터뷰 영상"

      25 Sander, A., "über die Integration zur Inklusion" Roehrig 2003

      26 "https://www.avp-schule.de/ (2018.10.5. 인출)https://www.aktion-mensch.de/inklusion/bildung/hintergrund/inklusive-bildung/zahlen-daten-und-fakten/inklusiondeutschland.html"

      27 "https://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2&nNewsNumb=002384100013"

      28 "https://news.joins.com/article/7785792"

      29 "http://www.sisain.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30258"

      30 "http://www.moe.go.kr/sub/info.do?m=040601&s=moe"

      31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m=0201&s=moe&page=1&boardID=339&boardSeq=72816&lev=0&opType=N)"

      32 "http://www.law.go.kr/%EB%B2%95%EB%A0%B9/%EC%9E%A5%EC%95%A0%EC%9D%B8%EB%93%B1%EC%97%90%EB%8C%80%ED%95%9C%ED%8A%B9%EC%88%98%EA%B5%90%EC%9C%A1%EB%B2%95/(15367,20180221"

      33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861333.html#csidxae5cd23eeecc4c4a3d11e9d6d71aec3"

      34 "http://www.ablenews.co.kr/News/Include/NewsContentInc.aspx?CategoryCode=0011&NewsCode=001120171218164647566747"

      35 "http://m.cowalk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731"

      36 "http://beminor.com/detail.php?number=7463"

      37 "http://beminor.com/detail.php?number=12722"

      38 "http://beminor.com/detail.php?number=12178&thread=04r06"

      39 "http://beminor.com/detail.php?number=11685"

      40 Knauf, H., "Schulische Inklusion in Deutschland 2009-2017. Eine bildungsstatistische Analyse" 2019

      41 Bertelsmann Stiftung, "Lagebericht aus bildungsstatistischer Perspektive"

      42 Bundesregierung, "Kinder- und Jugendbericht. Bericht über die Lebenssituation junger Menschen und die Leistungen der Kinder- und Jugendhilfe in Deutschland" 2017

      43 Heinrich-Böoll-Stiftung, "Inklusion in progress. Analysen, Herausforderungen, Empfehlungen"

      44 Klemm, "Inklusion in Deutschland. Daten und Fakten. Im Auftrag der Bertelsmann Stiftung"

      45 Bertelsmann Stiftung, "Inklusion in Deutschland. Daten und Fakten"

      46 Hinz, A., "Heterogenität in der Schule. Integration-Interkulturelle Erziehung-Koedukation" Curio Verlag 1993

      47 Klemm, "Gemeinsam lernen. Inklusion leben. Status Quo und Herausforderungen inklusiver Bildung in Deutschland" Bertelsmann Stiftung 2010

      48 Müller, H., "Der Hamburger Schulversuch. Integration behinderter Kinder in der Grundschule"

      49 Projektgruppe Interaktionsversuch, "Das Flämingmodell. Gemeinsamer Unterricht für behinderte und nichtbehinderte Kinder in der Grundschul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1 1.91 1.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8 1.8 2.36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